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Transition piece for Adjusting Horizontality
본 발명은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는 원통형 부재를 이용하여 타워와 기초 간 경사 접합을 하고, 부재 간의 회전을 통해 손쉽게 구조물의 수평, 수직도를 조절하기 위한 트랜지션 피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하부면은 특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상부경사부(10); 및 상부면은 특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상부경사부(10)의 하부면에 대응되며 접하는 원통형의 하부경사부(12);를 포함하고, 상부경사부(10)를 횡단면 중심을 축으로 회전시켜 구조물의 수평, 수직도를 맞추도록 구성되는 트랜지션 피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반의 편평화 작업이 불필요하거나 최소화 되므로 추가 공정 삭제로 인한 공사비용 및 시공기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Transition piece for Adjusting Horizontality
본 발명은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는 원통형 부재를 이용하여 타워와 기초 간 경사 접합을 하고, 부재 간의 회전을 통해 손쉽게 구조물의 수평, 수직도를 조절하기 위한 트랜지션 피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하부면은 특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상부경사부(10); 및 상부면은 특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상부경사부(10)의 하부면에 대응되며 접하는 원통형의 하부경사부(12);를 포함하고, 상부경사부(10)를 횡단면 중심을 축으로 회전시켜 구조물의 수평, 수직도를 맞추도록 구성되는 트랜지션 피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반의 편평화 작업이 불필요하거나 최소화 되므로 추가 공정 삭제로 인한 공사비용 및 시공기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Transition piece for Adjusting Horizontality
구조물의 수평, 수직도 조절 위한 트랜지션 피스
15.07.2015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Online Contents | 2005
|Taylor & Francis Verlag | 2005
|Taylor & Francis Verlag | 2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