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Block for engineering works
본 발명은 식생면과 배수부위가 일체화되도록 하여 뒷채움공사가 필요치않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블록 내부 또는 후면에 위치되는 토양의 수압을 낮추어 구조적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안정적인 곡면 시공이 가능토록 한 토목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관통된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되어 여기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 구조물의 지지력을 보강하면서 상기 식재공에 식재된 식물의 식생기반을 이루도록 보강토가 충전되는 보강토충전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면서 수분은 통과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보강토충전공에 채워진 보강토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토양의 수분을 하방향으로 배수하는 배수부가 전위로부터 순차 위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Block for engineering works
본 발명은 식생면과 배수부위가 일체화되도록 하여 뒷채움공사가 필요치않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블록 내부 또는 후면에 위치되는 토양의 수압을 낮추어 구조적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안정적인 곡면 시공이 가능토록 한 토목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관통된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되어 여기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 구조물의 지지력을 보강하면서 상기 식재공에 식재된 식물의 식생기반을 이루도록 보강토가 충전되는 보강토충전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면서 수분은 통과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보강토충전공에 채워진 보강토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토양의 수분을 하방향으로 배수하는 배수부가 전위로부터 순차 위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How building block design works
Engineering Index Backfile | 1958
|TIBKAT | 79.1926 - 116.1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