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FLOATING TYPE STRUCTURE ON WATER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type marine facility assembly coping with a change in a water level enabling a marine structure installed on the inland waters, riverside or seaside to be stably positioned at a right position even though the water level is changed. The floating type marine facility assembly includes a concrete retaining wall with an internal receiving space; a buoyant body where a marine facility (H) is loaded and install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and a lifting unit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buoyant body and maintaining a floated stat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The floating type marine facility assembly includes a support installed on a bottom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thereby maintaining the buoyant body. A penetration passag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The lifting unit is composed of an external pile fixated and installed by being buried in the ground through the concrete retaining wall; a mooring pile lift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external pile; and a cleaning pipe installed inside the mooring pile. An upper guide for guiding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mooring pile and lower guides mounted in a lower front end of the mooring pile at intervals ar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The buoyant body and an upper front end of the mooring pile are maintained to be integrated by a coupling member coupled by a bolt.
본 발명은, 내수면, 수변 또는 해상 등에 설치되는 수상 시설물이 수위의 변화에 따라 안정적으로 제 위치에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콘크리트 옹벽과, 수상 시설물(H)이 탑재됨과 동시에 수용공간 내에 배설되는 부력체와, 이 부력체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수위 변화에 따른 부양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승하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옹벽의 수용공간을 이루는 바닥에는 받침대가 설치되어 부력체를 유지함과 동시에 바닥 일측으로 관통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승하강 유닛은 콘크리트 옹벽을 통해 지반에 매립되어 고정 설치되는 외부파일과, 이 외부파일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하는 계류파일과, 이 계류파일의 내에 매립되는 청소용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크리트 옹벽의 바닥에는 계류파일의 승하강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 및 상기 계류파일의 하측 선단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된 하부 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부력체와 계류파일의 상측 선단부는 볼트로 체결되는 결속부재에 의해 일체형으로 유지되어 있다.
FLOATING TYPE STRUCTURE ON WATER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type marine facility assembly coping with a change in a water level enabling a marine structure installed on the inland waters, riverside or seaside to be stably positioned at a right position even though the water level is changed. The floating type marine facility assembly includes a concrete retaining wall with an internal receiving space; a buoyant body where a marine facility (H) is loaded and install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and a lifting unit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buoyant body and maintaining a floated stat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The floating type marine facility assembly includes a support installed on a bottom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thereby maintaining the buoyant body. A penetration passag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The lifting unit is composed of an external pile fixated and installed by being buried in the ground through the concrete retaining wall; a mooring pile lift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external pile; and a cleaning pipe installed inside the mooring pile. An upper guide for guiding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mooring pile and lower guides mounted in a lower front end of the mooring pile at intervals ar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The buoyant body and an upper front end of the mooring pile are maintained to be integrated by a coupling member coupled by a bolt.
본 발명은, 내수면, 수변 또는 해상 등에 설치되는 수상 시설물이 수위의 변화에 따라 안정적으로 제 위치에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콘크리트 옹벽과, 수상 시설물(H)이 탑재됨과 동시에 수용공간 내에 배설되는 부력체와, 이 부력체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수위 변화에 따른 부양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승하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옹벽의 수용공간을 이루는 바닥에는 받침대가 설치되어 부력체를 유지함과 동시에 바닥 일측으로 관통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승하강 유닛은 콘크리트 옹벽을 통해 지반에 매립되어 고정 설치되는 외부파일과, 이 외부파일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하는 계류파일과, 이 계류파일의 내에 매립되는 청소용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크리트 옹벽의 바닥에는 계류파일의 승하강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 및 상기 계류파일의 하측 선단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된 하부 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부력체와 계류파일의 상측 선단부는 볼트로 체결되는 결속부재에 의해 일체형으로 유지되어 있다.
FLOATING TYPE STRUCTURE ON WATER SURFACE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
KOH JAE SUNG (Autor:in)
26.04.2017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2B
HYDRAULIC ENGINEERING
,
Wasserbau
Water surface floating construction method of box type water intake structure
Europäisches Patentamt | 2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