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Construction method of temporary bridge using camber
본 발명은 가설교량의 상부 구조물을 이루는 거더를 캠버를 가하여 선단이 들리도록 고정시킨 후 강관 말뚝과 받침보를 설치하고 캠버를 제거해나가면서 교량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캠버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a) 가설교량의 시작단 또는 종단측에 최초로 제1 강관 말뚝을 복열로 관입한 후 제1 받침보를 제1 강관 말뚝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조립 설치하고, 복수개 이상의 제1 거더를 제1 받침보 상에 교축방향으로 지정된 라인상에 배치 고정하고, 데크플레이트를 제1 거더의 상면에 설치한 후 크레인을 데크플레이트에 탑재시켜 인양준비를 하는 단계와; (b) 제2 거더를 상기 크레인으로 인양한 후 선 시공된 제1 거더들의 전단부에 각기 위치시켜 놓고, 제1 거더와 제2 거더의 접합부를 볼트로 체결 고정하되 볼트 홀 공차만큼 접합부에서 캠버각을 형성하도록 캠버를 가한 후, 제2 거더의 상부를 클램프유닛으로 체결시켜 제2 거더의 전단부에 휨 각이 발생하도록 교축방향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c) 크레인으로 데크 플레이트를 인양하여 상기 제2 거더의 상면에 설치한 후, 이후 설치되는 항타용 가이드 설치작업대의 설치 위치에 존재하는 일부의 데크 플레이트를 제거하여 작업용 이동공간을 확보하는 단계와; (d) 항타용 가이드 설치작업대를 인양하여 제2 거더에 지정된 위치에 설치하고, 측량으로 파일 항타 위치를 확인한 후 항타용 가이드를 항타용 가이드 설치작업대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e) 크레인으로 제2 강관 말뚝을 인양하여 항타용 가이드에 삽입시킨 후 진동해머로 제2 강관 말뚝을 일정 깊이만큼 지반으로 관입되도록 1차 항타하는 단계와; (f) 항타용 가이드 설치작업대와 항타용 가이드를 제거한 후 유압 해머를 이용하여 허용 리바운드가 측정될 때까지 제2 강관 말뚝에 2차 항타를 수행하는 단계와; (g) 제2 강관 말뚝의 관입 레벨을 측량한 후 상단을 절단하여 두부를 정리하는 단계와; (h) 말뚝 캡이 선조립되어 있는 제2 받침보를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제2 거더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두부 정리된 제2 강관 말뚝의 상단에 올려 고정 조립시킨 후, 상기 (b)단계에서 설치된 클램프유닛을 해체시켜 놓고 캠버각을 제거하는 단계와; (i) 가설 교량의 교축방향으로 상기 (b) 단계부터 상기 (i) 단계까지를 수회 반복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가교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onstruction method of temporary bridge using camber
본 발명은 가설교량의 상부 구조물을 이루는 거더를 캠버를 가하여 선단이 들리도록 고정시킨 후 강관 말뚝과 받침보를 설치하고 캠버를 제거해나가면서 교량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캠버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a) 가설교량의 시작단 또는 종단측에 최초로 제1 강관 말뚝을 복열로 관입한 후 제1 받침보를 제1 강관 말뚝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조립 설치하고, 복수개 이상의 제1 거더를 제1 받침보 상에 교축방향으로 지정된 라인상에 배치 고정하고, 데크플레이트를 제1 거더의 상면에 설치한 후 크레인을 데크플레이트에 탑재시켜 인양준비를 하는 단계와; (b) 제2 거더를 상기 크레인으로 인양한 후 선 시공된 제1 거더들의 전단부에 각기 위치시켜 놓고, 제1 거더와 제2 거더의 접합부를 볼트로 체결 고정하되 볼트 홀 공차만큼 접합부에서 캠버각을 형성하도록 캠버를 가한 후, 제2 거더의 상부를 클램프유닛으로 체결시켜 제2 거더의 전단부에 휨 각이 발생하도록 교축방향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c) 크레인으로 데크 플레이트를 인양하여 상기 제2 거더의 상면에 설치한 후, 이후 설치되는 항타용 가이드 설치작업대의 설치 위치에 존재하는 일부의 데크 플레이트를 제거하여 작업용 이동공간을 확보하는 단계와; (d) 항타용 가이드 설치작업대를 인양하여 제2 거더에 지정된 위치에 설치하고, 측량으로 파일 항타 위치를 확인한 후 항타용 가이드를 항타용 가이드 설치작업대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e) 크레인으로 제2 강관 말뚝을 인양하여 항타용 가이드에 삽입시킨 후 진동해머로 제2 강관 말뚝을 일정 깊이만큼 지반으로 관입되도록 1차 항타하는 단계와; (f) 항타용 가이드 설치작업대와 항타용 가이드를 제거한 후 유압 해머를 이용하여 허용 리바운드가 측정될 때까지 제2 강관 말뚝에 2차 항타를 수행하는 단계와; (g) 제2 강관 말뚝의 관입 레벨을 측량한 후 상단을 절단하여 두부를 정리하는 단계와; (h) 말뚝 캡이 선조립되어 있는 제2 받침보를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제2 거더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두부 정리된 제2 강관 말뚝의 상단에 올려 고정 조립시킨 후, 상기 (b)단계에서 설치된 클램프유닛을 해체시켜 놓고 캠버각을 제거하는 단계와; (i) 가설 교량의 교축방향으로 상기 (b) 단계부터 상기 (i) 단계까지를 수회 반복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가교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onstruction method of temporary bridge using camber
캠버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LEE JONG RAN (Autor:in)
07.06.2017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1D
BRIDGES
,
Brücken
/
F16B
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
Vorrichtungen zum Befestigen oder Sichern von Konstruktionselementen oder Maschinenteilen, z.B. Nägel, Bolzen, Schrauben, Sprengringe, Klemmen, Klammern oder Keile
TEMPORARY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EMPORARY BRIDGE
Europäisches Patentamt | 2023
|TEMPORARY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EMPORARY BRIDGE
Europäisches Patentamt | 2020
|BRIDGE USING TEMPORARY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Europäisches Patentamt | 2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