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wall
Disclosed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using a rebar exposed concrete wall, comprising the steps of: installing a rebar foundation in a wall by a plurality of rebars at positions forming the wall; continuously installing a plurality of form bodies to correspond to an area of the exposed concrete wall, installing cross-shaped grid strip fixing members, and inserting and engaging both ends of a grid strip into the grid strip fixing members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same line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form a grid line form; disposing the grid line form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rebar foundation being interposed therebetween; securing a spaced distance between the grid line forms by Sepa bolts; engaging both ends of the Sepa bolts to a D-cone forming a position of a cone hole in the exposed concrete wall; penetrating a body bolt through the grid line forms and fastening the body bolt to the D-cone; fastening rectangular washers to the body bolt from the outside of the grid line forms; fastening nuts to the body bolts to prevent the rectangular washer from being released; filling a gap of the grid line forms with concrete and curing the concrete; and removing the grid line forms, the D-cones, the body bolt, the rectangular washers and the nuts before the concrete is completely cur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ork of separately installing and removing the plurality of grid strips to or from the forms, thereby reducing costs related to the process.
본 발명은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은, 벽체가 형성되는 위치에 다수의 철근을 이용하여 벽체 내부에 위치되는 철근 기초물을 설치하는 철근 기초물 설치단계; 노출콘크리트 벽체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판상의 거푸집 본체들을 연속적으로 설치한 다음, 거푸집 본체의 전면부 상에 노출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되는 줄눈의 교차 지점과 각각 대응되도록 십자형(+)의 구조 줄눈바 고정부재들을 설치한 다음 수평 및 수직방향별 동일선상으로 인접한 줄눈바 고정부재에 줄눈바의 양단을 각각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줄눈용 거푸집을 제작하는 줄눈용 거푸집 제작단계; 줄눈용 거푸집 제작단계를 통해 제작된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을 철근 기초물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하는 줄눈용 거푸집 배치단계; 세파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간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이격거리 확보단계; 상기 노출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되는 콘구멍의 자리를 형성하는 D 콘을 상기 세파 볼트의 양단부에 결합시키는 D 콘 결합단계; 본체 볼트를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을 각각 통과하도록 한 후에 상기 본체 볼트를 상기 D 콘에 결합시키는 본체 볼트 결합단계;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 볼트에 끼워지게 주물 사각와셔를 체결하는 주물 사각와셔 체결단계; 상기 주물 사각와셔가 이탈되지 않도록 주물 너트를 체결하는 주물 너트 체결단계;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사이로 콘크리트를 넣어 양생하는 콘크리트 양생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상기 D 콘, 상기 본체 볼트, 상기 주물 사각와셔 및 상기 주물 너트를 제거하는 부품 제거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줄눈바는, 반원관(Half-pipe) 구조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날개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길이방향 중앙지점 부근에 기립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탈거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줄눈바는, 상기 결합날개부가 형성된 상기 몸체부의 양단측이 상기 줄눈바 고정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벌어진 후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줄눈바 고정부재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거푸집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wall
Disclosed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using a rebar exposed concrete wall, comprising the steps of: installing a rebar foundation in a wall by a plurality of rebars at positions forming the wall; continuously installing a plurality of form bodies to correspond to an area of the exposed concrete wall, installing cross-shaped grid strip fixing members, and inserting and engaging both ends of a grid strip into the grid strip fixing members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same line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form a grid line form; disposing the grid line form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rebar foundation being interposed therebetween; securing a spaced distance between the grid line forms by Sepa bolts; engaging both ends of the Sepa bolts to a D-cone forming a position of a cone hole in the exposed concrete wall; penetrating a body bolt through the grid line forms and fastening the body bolt to the D-cone; fastening rectangular washers to the body bolt from the outside of the grid line forms; fastening nuts to the body bolts to prevent the rectangular washer from being released; filling a gap of the grid line forms with concrete and curing the concrete; and removing the grid line forms, the D-cones, the body bolt, the rectangular washers and the nuts before the concrete is completely cur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ork of separately installing and removing the plurality of grid strips to or from the forms, thereby reducing costs related to the process.
본 발명은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은, 벽체가 형성되는 위치에 다수의 철근을 이용하여 벽체 내부에 위치되는 철근 기초물을 설치하는 철근 기초물 설치단계; 노출콘크리트 벽체의 면적에 대응되도록 판상의 거푸집 본체들을 연속적으로 설치한 다음, 거푸집 본체의 전면부 상에 노출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되는 줄눈의 교차 지점과 각각 대응되도록 십자형(+)의 구조 줄눈바 고정부재들을 설치한 다음 수평 및 수직방향별 동일선상으로 인접한 줄눈바 고정부재에 줄눈바의 양단을 각각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줄눈용 거푸집을 제작하는 줄눈용 거푸집 제작단계; 줄눈용 거푸집 제작단계를 통해 제작된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을 철근 기초물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하는 줄눈용 거푸집 배치단계; 세파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간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이격거리 확보단계; 상기 노출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되는 콘구멍의 자리를 형성하는 D 콘을 상기 세파 볼트의 양단부에 결합시키는 D 콘 결합단계; 본체 볼트를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을 각각 통과하도록 한 후에 상기 본체 볼트를 상기 D 콘에 결합시키는 본체 볼트 결합단계;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 볼트에 끼워지게 주물 사각와셔를 체결하는 주물 사각와셔 체결단계; 상기 주물 사각와셔가 이탈되지 않도록 주물 너트를 체결하는 주물 너트 체결단계;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사이로 콘크리트를 넣어 양생하는 콘크리트 양생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상기 줄눈용 거푸집들, 상기 D 콘, 상기 본체 볼트, 상기 주물 사각와셔 및 상기 주물 너트를 제거하는 부품 제거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줄눈바는, 반원관(Half-pipe) 구조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양단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날개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길이방향 중앙지점 부근에 기립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판,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탈거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줄눈바는, 상기 결합날개부가 형성된 상기 몸체부의 양단측이 상기 줄눈바 고정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벌어진 후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줄눈바 고정부재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거푸집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wall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IM JIN MOO (Autor:in)
28.06.2018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4G
SCAFFOLDING
,
Baugerüste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wall
Europäisches Patentamt | 2017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wall
Europäisches Patentamt | 2018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wall
Europäisches Patentamt | 2018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wall
Europäisches Patentamt | 2017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process
Europäisches Patentamt |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