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DOOR LOCK APPARATUS BASED ON ARDUINO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NFC 모듈을 구비한 아두이노 기반 도어락 장치, 이를 이용한 NFC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오픈 소스를 지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를 내장한 기기 제어용 기판으로, I/O 인터페이스(121)를 통해 제 1 NFC 모듈(122), 구동 DC 모터(123), 출력 스크린(124), 키패드(124a), 저장모듈(125)을 포함한 모듈들과 탈착식으로 체결 및 분리되는 아두이노 보드(120); 및 도어락 잠금 해제의 시계 방향(정방향)으로 아두이노 보드(120)에 의해 회전 제어되며, 도어락 잠금 상태의 경우, 디폴트(default) 상태를 유지하며, 도어락 잠금 해제에서 도어락 잠금 상태인 경우, 도어락 잠금 해제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역방향)으로 아두이노 보드(120)에 의해 회전 제어되는 회전 손잡이(130); 를 포함하는 NFC 모듈을 구비한 아두이노 기반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아두이노 보드(120)가 키패드(124a)로 입력되거나, 제 1 NFC 모듈(122)을 NFC 리더기로 하여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제 2 NFC 모듈(210)을 NFC 태그로 인식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제 2 NFC 모듈(210)의 식별명칭을 수신한 뒤, 수신된 각 식별명칭을 코딩하여 저장모듈(125)에 저장하며, 키패드(124a)로 입력되는 도어락 비밀 번호를 인식하여 저장모듈(125)에 저장하는 NFC 모듈을 구비한 아두이노 기반 도어락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NFC 모듈을 구비한 아두이노 기반 도어락 장치(100)의 아두이노 보드(120)가 키패드(124a)로 입력되거나, 제 1 NFC 모듈(122)을 NFC 리더기로 하여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제 2 NFC 모듈(210)을 NFC 태그로 인식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제 2 NFC 모듈(210)의 식별명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및 아두이노 보드(120)가 제 1 단계에 따른 각 식별명칭을 코딩하여 저장모듈(125)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며,상기 제 1 단계 내지 상기 제 2 단계 사이에 또는 상기 제 1 단계 이전 또는 상기 제 2 단계 이후, 아두이노 보드(120)가 키패드(124a)로 입력되는 도어락 비밀 번호를 인식하여 저장모듈(125)에 저장하는 NFC 모듈을 구비한 아두이노 기반 도어락 장치를 NFC 기반 도어락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의해, NFC 태그와 NFC 리더기 기능을 교차하여 수행가능한 NFC 모듈을 이용해 상호 간의 기기값인 NFC 모듈의 식별명칭 또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번호에 대한 사전 등록만으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만의 소지에 의해서도 비밀 번호 입력없이 도어락 개폐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물리적인 전자 키를 소지하지 않아도 소지하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소지만으로 자동으로 인식하여 도어락 개폐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NFC 통신을 기본으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자동인식을 수행하며, 대략 10cm 이상의 거리로 멀리 위치하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기능을 보완적으로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OOR LOCK APPARATUS BASED ON ARDUINO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NFC 모듈을 구비한 아두이노 기반 도어락 장치, 이를 이용한 NFC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오픈 소스를 지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를 내장한 기기 제어용 기판으로, I/O 인터페이스(121)를 통해 제 1 NFC 모듈(122), 구동 DC 모터(123), 출력 스크린(124), 키패드(124a), 저장모듈(125)을 포함한 모듈들과 탈착식으로 체결 및 분리되는 아두이노 보드(120); 및 도어락 잠금 해제의 시계 방향(정방향)으로 아두이노 보드(120)에 의해 회전 제어되며, 도어락 잠금 상태의 경우, 디폴트(default) 상태를 유지하며, 도어락 잠금 해제에서 도어락 잠금 상태인 경우, 도어락 잠금 해제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역방향)으로 아두이노 보드(120)에 의해 회전 제어되는 회전 손잡이(130); 를 포함하는 NFC 모듈을 구비한 아두이노 기반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아두이노 보드(120)가 키패드(124a)로 입력되거나, 제 1 NFC 모듈(122)을 NFC 리더기로 하여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제 2 NFC 모듈(210)을 NFC 태그로 인식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제 2 NFC 모듈(210)의 식별명칭을 수신한 뒤, 수신된 각 식별명칭을 코딩하여 저장모듈(125)에 저장하며, 키패드(124a)로 입력되는 도어락 비밀 번호를 인식하여 저장모듈(125)에 저장하는 NFC 모듈을 구비한 아두이노 기반 도어락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NFC 모듈을 구비한 아두이노 기반 도어락 장치(100)의 아두이노 보드(120)가 키패드(124a)로 입력되거나, 제 1 NFC 모듈(122)을 NFC 리더기로 하여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제 2 NFC 모듈(210)을 NFC 태그로 인식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제 2 NFC 모듈(210)의 식별명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및 아두이노 보드(120)가 제 1 단계에 따른 각 식별명칭을 코딩하여 저장모듈(125)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며,상기 제 1 단계 내지 상기 제 2 단계 사이에 또는 상기 제 1 단계 이전 또는 상기 제 2 단계 이후, 아두이노 보드(120)가 키패드(124a)로 입력되는 도어락 비밀 번호를 인식하여 저장모듈(125)에 저장하는 NFC 모듈을 구비한 아두이노 기반 도어락 장치를 NFC 기반 도어락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의해, NFC 태그와 NFC 리더기 기능을 교차하여 수행가능한 NFC 모듈을 이용해 상호 간의 기기값인 NFC 모듈의 식별명칭 또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번호에 대한 사전 등록만으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만의 소지에 의해서도 비밀 번호 입력없이 도어락 개폐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물리적인 전자 키를 소지하지 않아도 소지하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소지만으로 자동으로 인식하여 도어락 개폐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NFC 통신을 기본으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자동인식을 수행하며, 대략 10cm 이상의 거리로 멀리 위치하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기능을 보완적으로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OOR LOCK APPARATUS BASED ON ARDUINO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USING THE SAME
NFC 모듈을 구비한 아두이노 기반 도어락 장치, 이를 이용한 NFC 기반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24.05.2018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Europäisches Patentamt | 2018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de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Europäisches Patentamt | 2017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de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Europäisches Patentamt | 2018
Europäisches Patentamt | 2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