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Disclosed is a button-type open device which facilitates a door opening operation of a passe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type open device includes: a mounting bracket having a flat base plate, a button guide unit, a first spring reception unit including a support part and a first spring reception groove, and a through-hole coupled with a hinge pin; an operation button including a push part, a second spring reception unit including a second spring reception groove protruding collinearly with the first spring reception groove in a same structure as the first spring reception groove, and a first gear unit; a return spring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first spring reception unit and the second spring reception unit, respectively; and an open knob formed as a pair of flat panel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ing a cable fixing member and a second gear unit.
본 발명은 버튼식 오픈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오픈 장치는, 차량 실외측 방향인 도어트림의 외측에 도어트림과 수직한 상태로 결합되는 편판형의 베이스판과, 상기 도어트림측과 가까운 베이스판의 일측에서 도어트림측과 먼 방향으로 상면 중앙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버튼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끝단 측인 도어트림측과 먼 방향의 상기 베이스판 상면 타측에서 상방향으로 기립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 도어트림 방향으로 개구된 제 1 스프링 수용홈으로 구성되는 제 1 스프링 수용부 및 힌지핀이 결합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설치브라켓; 상기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일면이 차량 실내측으로 노출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타면으로부터 도어트림 외측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 1 스프링 수용홈과 동일선상에서 동일한 구조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스프링 수용홈으로 구성되는 제 2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누름부의 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일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이(gear tooth)가 형성되는 제 1 기어부로 형성되는 조작버튼; 양단이 상기 제 1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제 2 스프링 수용부에 각각 결합되는 리턴스프링; 및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평판형 패널로 이루어지며, 제 1 기어부의 일측의 베이스판 저면에 위치되고 길이방향 일단측에는 상기 힌지핀의 일단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며 타단측에는 도어래치와 연동되는 래치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홈이 형성된 케이블 고정구와, 상기 일단이 결합홀에 결합되고 베이스판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베이스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힌지핀의 타단에 결합 고정되며 외주면에는 기어이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기어부와 치합되어 연동되는 원형링 형태의 제 2 기어부로 형성되는 오픈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isclosed is a button-type open device which facilitates a door opening operation of a passe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type open device includes: a mounting bracket having a flat base plate, a button guide unit, a first spring reception unit including a support part and a first spring reception groove, and a through-hole coupled with a hinge pin; an operation button including a push part, a second spring reception unit including a second spring reception groove protruding collinearly with the first spring reception groove in a same structure as the first spring reception groove, and a first gear unit; a return spring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first spring reception unit and the second spring reception unit, respectively; and an open knob formed as a pair of flat panel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ing a cable fixing member and a second gear unit.
본 발명은 버튼식 오픈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식 오픈 장치는, 차량 실외측 방향인 도어트림의 외측에 도어트림과 수직한 상태로 결합되는 편판형의 베이스판과, 상기 도어트림측과 가까운 베이스판의 일측에서 도어트림측과 먼 방향으로 상면 중앙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버튼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끝단 측인 도어트림측과 먼 방향의 상기 베이스판 상면 타측에서 상방향으로 기립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 도어트림 방향으로 개구된 제 1 스프링 수용홈으로 구성되는 제 1 스프링 수용부 및 힌지핀이 결합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설치브라켓; 상기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일면이 차량 실내측으로 노출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타면으로부터 도어트림 외측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제 1 스프링 수용홈과 동일선상에서 동일한 구조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스프링 수용홈으로 구성되는 제 2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누름부의 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일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이(gear tooth)가 형성되는 제 1 기어부로 형성되는 조작버튼; 양단이 상기 제 1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제 2 스프링 수용부에 각각 결합되는 리턴스프링; 및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평판형 패널로 이루어지며, 제 1 기어부의 일측의 베이스판 저면에 위치되고 길이방향 일단측에는 상기 힌지핀의 일단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며 타단측에는 도어래치와 연동되는 래치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홈이 형성된 케이블 고정구와, 상기 일단이 결합홀에 결합되고 베이스판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베이스판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힌지핀의 타단에 결합 고정되며 외주면에는 기어이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기어부와 치합되어 연동되는 원형링 형태의 제 2 기어부로 형성되는 오픈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utton-type door open device
버튼식 도어 오픈 장치
LEE YONG KYUN (Autor:in)
14.12.2018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Button Latch Device of Inner Door Having Double Door Type
Europäisches Patentamt | 2015
PUSH BUTTON TYPE DOOR-LOCK APPARATUS FOR SLIDING DOOR
Europäisches Patentamt | 2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