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PILE ASSEMBLY
본 발명은 제1 부재(10)의 일단에 결합한 숫나사부재(100)와 제2 부재(20)의 일단에 결합한 암나사부재(200)의 나사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숫나사부재(100)는 제1 부재(10)의 외경에 비해 큰 외경을 갖는 숫나사부(110); 숫나사부(110)의 외경에 비해 큰 외경을 갖도록, 숫나사부(110)의 일단에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제1 부재(10)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받침부(120);를 구비하고, 암나사부재(200)는 숫나사부(110)가 삽입됨과 아울러, 일단이 받침부(120)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된 암나사부(210); 암나사부(210)의 타단에 형성됨과 아울러, 제2 부재(20)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지지부(2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조립체를 제시함으로써, 결합부위의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압축강도 뿐만 아니라 충분한 인장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PILE ASSEMBLY
본 발명은 제1 부재(10)의 일단에 결합한 숫나사부재(100)와 제2 부재(20)의 일단에 결합한 암나사부재(200)의 나사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숫나사부재(100)는 제1 부재(10)의 외경에 비해 큰 외경을 갖는 숫나사부(110); 숫나사부(110)의 외경에 비해 큰 외경을 갖도록, 숫나사부(110)의 일단에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제1 부재(10)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받침부(120);를 구비하고, 암나사부재(200)는 숫나사부(110)가 삽입됨과 아울러, 일단이 받침부(120)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된 암나사부(210); 암나사부(210)의 타단에 형성됨과 아울러, 제2 부재(20)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지지부(2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조립체를 제시함으로써, 결합부위의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압축강도 뿐만 아니라 충분한 인장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PILE ASSEMBLY
파일 조립체
28.02.2020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2D
FOUNDATIONS
,
Gründun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