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Vent of architectural prefabricated joi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joint exhaust pip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joint exhaust pipe for a building comprises: a first steel exhaust pipe having a hollow first air inlet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steel exhaust pipe vertically coupled to an opening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eel exhaust pipe, and having a hollow second air inlet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r cleanliness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안착된 상태로 건축물의 외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외측면에는 건축물의 저층에 형성된 제1 에어 덕트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1 에어 유입부가 건축물을 향해 돌출형성되고, 제1 에어 유입부의 내측에는 제1 에어 덕트 내의 에어를 강제 흡입하는 제1 흡입팬이 장착되며, 제2 배기 강관에 연통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장방형의 제1 배기 강관 및 제1 배기 강관의 상면 개구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외측면에는 건축물의 고층에 형성된 제2 에어 덕트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2 에어 유입부가 건축물을 향해 돌출형성되고, 제2 에어 유입부의 내측에는 제2 에어 덕트 내의 에어를 강제 흡입하는 제2 흡입팬이 장착되며, 제1 배기 강관과 연통되도록 상하면이 개구된 장방형의 제2 배기 강관을 포함하며, 제2 배기 강관의 외측면에는, 제2 배기 강관의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요홈이 제2 배기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요홈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홈이 더 형성되며, 요홈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힌지축에 의해 하단부가 요홈의 내측 하단부에 힌지결합된 결합판이 구비되며, 제1 배기 강관의 상단부에는, 제1 배기 강관의 하측을 향해 일정 깊이로 오목한 음각의 절곡홈이 형성되고, 절곡홈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정홈이 더 형성되며, 제2 배기 강관의 하단부가 제1 배기 강관의 상면 개구부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이 서로 대응된 상태로 결합판이 제2 배기 강관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결합판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을 향해 결합판이 가압되면, 결합판의 하단 일부가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에 결합판이 고정되어 제1 배기 강관과 제2 배기 강관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공동 배기구의 내부로 강제로 흡입하여 공동 배기구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물을 통해 오염된 공기를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함으로써 공동 배기구가 설치된 주변 공기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Vent of architectural prefabricated joi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joint exhaust pip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joint exhaust pipe for a building comprises: a first steel exhaust pipe having a hollow first air inlet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steel exhaust pipe vertically coupled to an opening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eel exhaust pipe, and having a hollow second air inlet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r cleanliness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안착된 상태로 건축물의 외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외측면에는 건축물의 저층에 형성된 제1 에어 덕트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1 에어 유입부가 건축물을 향해 돌출형성되고, 제1 에어 유입부의 내측에는 제1 에어 덕트 내의 에어를 강제 흡입하는 제1 흡입팬이 장착되며, 제2 배기 강관에 연통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장방형의 제1 배기 강관 및 제1 배기 강관의 상면 개구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외측면에는 건축물의 고층에 형성된 제2 에어 덕트에 삽입되는 중공의 제2 에어 유입부가 건축물을 향해 돌출형성되고, 제2 에어 유입부의 내측에는 제2 에어 덕트 내의 에어를 강제 흡입하는 제2 흡입팬이 장착되며, 제1 배기 강관과 연통되도록 상하면이 개구된 장방형의 제2 배기 강관을 포함하며, 제2 배기 강관의 외측면에는, 제2 배기 강관의 내측으로 오목한 음각의 요홈이 제2 배기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요홈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홈이 더 형성되며, 요홈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힌지축에 의해 하단부가 요홈의 내측 하단부에 힌지결합된 결합판이 구비되며, 제1 배기 강관의 상단부에는, 제1 배기 강관의 하측을 향해 일정 깊이로 오목한 음각의 절곡홈이 형성되고, 절곡홈의 하단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정홈이 더 형성되며, 제2 배기 강관의 하단부가 제1 배기 강관의 상면 개구부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이 서로 대응된 상태로 결합판이 제2 배기 강관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결합판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을 향해 결합판이 가압되면, 결합판의 하단 일부가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에 결합판이 고정되어 제1 배기 강관과 제2 배기 강관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공동 배기구의 내부로 강제로 흡입하여 공동 배기구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물을 통해 오염된 공기를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함으로써 공동 배기구가 설치된 주변 공기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Vent of architectural prefabricated joint
건축물 조립식 공동 배기구
CHO KWAN YEOB (Autor:in)
30.11.2020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