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Tension introduction method for thunderbolt protection cable of cable bridge
본 발명은 사장교, 현수교 등의 케이블 교량에 있어서 케이블을 낙뢰로부터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낙뢰보호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낙뢰보호 케이블을 동시다발적으로 신속하게 인장시켜 정착시킬 수 있고, 정착된 이후에도 각각의 낙뢰보호 케이블을 필요 장력으로 개별적으로 인장시켜 효과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케이블 교량의 낙뢰보호 케이블 장력 도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교량의 낙뢰보호 케이블 장력 도입방법은, 낙뢰보호 케이블의 정착단에 고정된 정착프레임 부분에 강봉을 연결시키는 단계와; 정착프레임 부분에 연결될 낙뢰보호 케이블의 연결부를 인장 초기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낙뢰보호 케이블의 연결부와 접촉되도록 클램핑부재를 낙뢰보호 케이블에 체결하는 단계와; 클램핑부재와 접촉되도록 인장프레임을 강봉에 체결하는 단계와; 강봉에 인장기를 설치한 후 인장기를 통해 인장프레임을 전진시켜 낙뢰보호 케이블을 인장시키는 단계와; 낙뢰보호 케이블의 연결부를 연결핀을 통해 정착프레임 부분에 체결하여 정착시키는 단계와; 각 낙뢰보호 케이블에 필요한 장력을 개별적으로 도입하는 장력튜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ension introduction method for thunderbolt protection cable of cable bridge
본 발명은 사장교, 현수교 등의 케이블 교량에 있어서 케이블을 낙뢰로부터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낙뢰보호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낙뢰보호 케이블을 동시다발적으로 신속하게 인장시켜 정착시킬 수 있고, 정착된 이후에도 각각의 낙뢰보호 케이블을 필요 장력으로 개별적으로 인장시켜 효과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케이블 교량의 낙뢰보호 케이블 장력 도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교량의 낙뢰보호 케이블 장력 도입방법은, 낙뢰보호 케이블의 정착단에 고정된 정착프레임 부분에 강봉을 연결시키는 단계와; 정착프레임 부분에 연결될 낙뢰보호 케이블의 연결부를 인장 초기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낙뢰보호 케이블의 연결부와 접촉되도록 클램핑부재를 낙뢰보호 케이블에 체결하는 단계와; 클램핑부재와 접촉되도록 인장프레임을 강봉에 체결하는 단계와; 강봉에 인장기를 설치한 후 인장기를 통해 인장프레임을 전진시켜 낙뢰보호 케이블을 인장시키는 단계와; 낙뢰보호 케이블의 연결부를 연결핀을 통해 정착프레임 부분에 체결하여 정착시키는 단계와; 각 낙뢰보호 케이블에 필요한 장력을 개별적으로 도입하는 장력튜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ension introduction method for thunderbolt protection cable of cable bridge
케이블 교량의 낙뢰보호 케이블 장력 도입방법
11.01.2021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1D
BRIDGES
,
Brücken
Tension introduction method for thunderbolt protection cable of cable bridge
Europäisches Patentamt | 2020
Tension introduction method for thunderbolt protection cable of cable bridge
Europäisches Patentamt | 2018
|Tension introduction method for thunderbolt protection cable of cable bridge
Europäisches Patentamt | 2020
|Tension introduction method for thunderbolt protection cable of cable bridge
Europäisches Patentamt | 2019
|Europäisches Patentamt | 2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