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Simple 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water supply source
본 발명은 우물이나 계곡수 등의 급수원에서 상수도관을 시공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과정에서 약품에 의한 급수 정화처리가 아닌 자연친화적으로 정수를 하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급수원 상수도용 간이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우물 또는 계곡수 중 어느 하나의 급수원에 설치되며, 컨트롤러(7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공급펌프(100)와, 상기 공급펌프(100)와 연결되며, 타측은 정수 관체(300)와 연결되는 용수 공급 관(200)과, 상기 용수 공급 관(200)과 통수가 용이하도록 연결고정되며, 내부에는 정수용 천연광물입자(330)가 충진됨과 동시에 용수가 적어도 3 내지 5회 지그재그로 통수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수직 관(310) 및 그 수직 관(310)의 측면 상, 하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용수가 상, 하 지그재그의 방향으로 통수되면서 정수가 되도록 안내하는 정수 안내 관(320)과, 망(331) 형태의 자루에 담겨 수직 관(310)에 충진되는 정수용 천연광물입자(330)와, 정수 관체(300) 내부의 온도를 수시로 점검하여 컨트롤러(700)로 정보를 제공하는 온도센서(340)와, 상기 온도센서(340)의 정보를 받은 컨트롤러(700)의 동작 제어에 따라 동파 방지를 위해 작동하는 열선(350) 및 정수 관체(3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정수용 천연광물입자(330)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밀유지커버(360)와, 상기 수직 관(3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초음파 탁도계(500)의 정보를 받은 컨트롤러(700)의 동작 제어에 따라 수직 관(310)의 하부를 개폐하여 정수용 천연광물입자(330)를 수압으로 개별 세척해주는 전자밸브(370)를 포함하는 정수 관체(300)와, 상기 정수 관체(300)를 통과하면서 정수 처리가 된 음용수가 저장탱크 또는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분기관(400)과, 상기 분기관(400)의 측면에 고정되어 용수의 탁도를 점검하여 컨트롤러(700)로 정보를 제공하는 초음파 탁도계(500)와, 상기 분기관(400)의 측면에 고정되어 용수의 유속을 점검하여 컨트롤러(700)로 정보를 제공하는 유속 센서(600)와, 상기 공급펌프(100) 및 온도센서(340), 열선(350), 전자밸브(370), 초음파 탁도계(500), 유속 센서(600)와 신호 연결되어 용수의 유속에 따라 공급펌프(100)를 가동시키거나 또는 용수의 탁도에 따라 전자밸브(370)를 순차적으로 개방시켜 천연광물입자(330)의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되, 공급펌프(100)를 가동시켜 수압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한편, 온도센서(340)에서 측정된 온도 값에 따라 열선(350)에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Simple 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water supply source
본 발명은 우물이나 계곡수 등의 급수원에서 상수도관을 시공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과정에서 약품에 의한 급수 정화처리가 아닌 자연친화적으로 정수를 하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급수원 상수도용 간이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우물 또는 계곡수 중 어느 하나의 급수원에 설치되며, 컨트롤러(7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공급펌프(100)와, 상기 공급펌프(100)와 연결되며, 타측은 정수 관체(300)와 연결되는 용수 공급 관(200)과, 상기 용수 공급 관(200)과 통수가 용이하도록 연결고정되며, 내부에는 정수용 천연광물입자(330)가 충진됨과 동시에 용수가 적어도 3 내지 5회 지그재그로 통수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 개의 수직 관(310) 및 그 수직 관(310)의 측면 상, 하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용수가 상, 하 지그재그의 방향으로 통수되면서 정수가 되도록 안내하는 정수 안내 관(320)과, 망(331) 형태의 자루에 담겨 수직 관(310)에 충진되는 정수용 천연광물입자(330)와, 정수 관체(300) 내부의 온도를 수시로 점검하여 컨트롤러(700)로 정보를 제공하는 온도센서(340)와, 상기 온도센서(340)의 정보를 받은 컨트롤러(700)의 동작 제어에 따라 동파 방지를 위해 작동하는 열선(350) 및 정수 관체(3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정수용 천연광물입자(330)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밀유지커버(360)와, 상기 수직 관(3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초음파 탁도계(500)의 정보를 받은 컨트롤러(700)의 동작 제어에 따라 수직 관(310)의 하부를 개폐하여 정수용 천연광물입자(330)를 수압으로 개별 세척해주는 전자밸브(370)를 포함하는 정수 관체(300)와, 상기 정수 관체(300)를 통과하면서 정수 처리가 된 음용수가 저장탱크 또는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분기관(400)과, 상기 분기관(400)의 측면에 고정되어 용수의 탁도를 점검하여 컨트롤러(700)로 정보를 제공하는 초음파 탁도계(500)와, 상기 분기관(400)의 측면에 고정되어 용수의 유속을 점검하여 컨트롤러(700)로 정보를 제공하는 유속 센서(600)와, 상기 공급펌프(100) 및 온도센서(340), 열선(350), 전자밸브(370), 초음파 탁도계(500), 유속 센서(600)와 신호 연결되어 용수의 유속에 따라 공급펌프(100)를 가동시키거나 또는 용수의 탁도에 따라 전자밸브(370)를 순차적으로 개방시켜 천연광물입자(330)의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되, 공급펌프(100)를 가동시켜 수압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한편, 온도센서(340)에서 측정된 온도 값에 따라 열선(350)에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Simple 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water supply source
급수원 상수도용 간이 정수장치
22.04.2021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Simple 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water supply source
Europäisches Patentamt | 2021
|TIBKAT | 1952
|Discussion: Water Supply and Water Purification
ASCE | 2021
|Electric purification separate water supply device and water purifier
Europäisches Patentamt | 2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