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n expensive window that opens and closes and locks a sliding-type sliding window on the top of a wall of a building that cannot be reached by a person of an average height, comprising: a first roller member (10); a second roller member (10'); a first inner window fixing member (20); a second inner window fixing member (20'); a window locking member (20A); a wire (30); a first handle (40); a second handle (40'); and an outer window fixing member (50).
본 발명은 평균 신장의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건물 벽면의 상단에 슬라이딩 방식의 미닫이 창문을 개폐 및 잠금을 하는 고가 창문의 개폐 및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 형태의 창틀(W1)과, 상기 창틀(W1)의 내부에 건물 실내 방향 일면에 위치하는 제1내측 창(W2)과. 상기 제1내측 창(W2)의 반대편의 창틀(W1)에 위치하는 제2내측 창(W2')과, 상기 창틀(W1) 중앙에 건물 실외 방향으로 위치하는 외측 창(W3)을 포함하는 평균 신장의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건물 벽면 상단에 설치된 슬라이딩 방식의 미닫이 고가 창문(W)에 있어서, 창문의 건물 실내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창틀(W1)의 일단에 부착되는 제1롤러부재(10);와 상기 제1롤러부재(10)의 반대편에 창틀(W1)에 대칭 형상으로 부착되는 제2롤러부재(10');와 상기 제1롤러부재(10)와 제2롤러부재(10') 사이에 건물 실내 방향으로 위치한 제1내측 창(W2)의 하단면에 부착되는 제1내측 창 고정부재(20);와 상기 제1내측 창 고정부재(20)의 반대편 제2내측 창(W2')의 하단면에 부착되는 제2내측 창 고정부재(20');와 창문 아래의 건물 내벽에 부착되어 창의 잠금 기능을 하는 창 잠금부재(20A);와 상기 제1내측 창 고정부재(20)와 제2내측 창 고정부재(20')를 통과하고, 상기 제2롤러부재(10')에서 180도 꺾이며 통과하며, 상기 제1롤러부재(10)를 통과하여 아래로 꺾여 창 잠금부재(20A)를 통과하는 와이어(30);와 상기 창 장금 부재(20A)를 통과하여 아래로 내려오는 와이어(30)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1손잡이(40);와 상기 제1손잡이의(40)가 고정된 와이어(30)의 반대편 일단에 고정되는 제2손잡이(40');와 건물 외부 방향에 위치하는 외측 창(W3)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외측 창(W3)의 유동을 방지하는 외측 창 고정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n expensive window that opens and closes and locks a sliding-type sliding window on the top of a wall of a building that cannot be reached by a person of an average height, comprising: a first roller member (10); a second roller member (10'); a first inner window fixing member (20); a second inner window fixing member (20'); a window locking member (20A); a wire (30); a first handle (40); a second handle (40'); and an outer window fixing member (50).
본 발명은 평균 신장의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건물 벽면의 상단에 슬라이딩 방식의 미닫이 창문을 개폐 및 잠금을 하는 고가 창문의 개폐 및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 형태의 창틀(W1)과, 상기 창틀(W1)의 내부에 건물 실내 방향 일면에 위치하는 제1내측 창(W2)과. 상기 제1내측 창(W2)의 반대편의 창틀(W1)에 위치하는 제2내측 창(W2')과, 상기 창틀(W1) 중앙에 건물 실외 방향으로 위치하는 외측 창(W3)을 포함하는 평균 신장의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건물 벽면 상단에 설치된 슬라이딩 방식의 미닫이 고가 창문(W)에 있어서, 창문의 건물 실내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창틀(W1)의 일단에 부착되는 제1롤러부재(10);와 상기 제1롤러부재(10)의 반대편에 창틀(W1)에 대칭 형상으로 부착되는 제2롤러부재(10');와 상기 제1롤러부재(10)와 제2롤러부재(10') 사이에 건물 실내 방향으로 위치한 제1내측 창(W2)의 하단면에 부착되는 제1내측 창 고정부재(20);와 상기 제1내측 창 고정부재(20)의 반대편 제2내측 창(W2')의 하단면에 부착되는 제2내측 창 고정부재(20');와 창문 아래의 건물 내벽에 부착되어 창의 잠금 기능을 하는 창 잠금부재(20A);와 상기 제1내측 창 고정부재(20)와 제2내측 창 고정부재(20')를 통과하고, 상기 제2롤러부재(10')에서 180도 꺾이며 통과하며, 상기 제1롤러부재(10)를 통과하여 아래로 꺾여 창 잠금부재(20A)를 통과하는 와이어(30);와 상기 창 장금 부재(20A)를 통과하여 아래로 내려오는 와이어(30)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1손잡이(40);와 상기 제1손잡이의(40)가 고정된 와이어(30)의 반대편 일단에 고정되는 제2손잡이(40');와 건물 외부 방향에 위치하는 외측 창(W3)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외측 창(W3)의 유동을 방지하는 외측 창 고정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pening and locking of high windows
고가 창문의 개폐 및 잠금장치
KIM DON WOO (Autor:in)
14.09.2021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5F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
Vorrichtungen zum Bewegen der Flügel in die Offen- oder Schließstellung
/
E06B
Feste oder bewegliche Abschlüsse für Öffnungen in Bauwerken, Fahrzeugen, Zäunen oder ähnlichen Einfriedungen allgemein, z.B. Türen, Fenster, Läden, Tore
,
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System for unlocking/locking and opening/closing windows
Europäisches Patentamt | 2018
|Systems and methods for unlocking/locking and opening/closing windows
Europäisches Patentamt | 2016
|SYSTEMS AND METHODS FOR UNLOCKING/LOCKING AND OPENING/CLOSING WINDOWS
Europäisches Patentamt | 2016
|Systems and methods for unlocking/locking and opening/closing windows
Europäisches Patentamt | 2016
|LOCK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WITH HIGHT AIRTIGHTNESS AND EASY OPENING
Europäisches Patentamt | 2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