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Fire resistant charging structure for connecting vertical pipe
수직배기관 연결겸용 내화충전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수직배기관 연결겸용 내화충전 구조체는 건축물의 각 층(floor)을 이루는 슬래브(slab)에 매립되게 마련되는 슬리브(sleeve); 단의 일 영역은 상기 슬리브 내에 삽입 결합하게 상기 슬리브에 연결되고 상단의 일 영역은 수직배기관 내에 삽입되면서 연결되되 상기 슬리브에 결합하는 방향을 따라 양측 단부 영역의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는 이경 개스킷(gasket); 및 상기 이경 개스킷 내에 마련되며, 화재 발생 시 발포팽창하면서 상기 이경 개스킷 내의 개구를 차폐해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개스킷 내화충전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내부에 관통 공간부가 형성되게 파이프(pipe) 형상을 이루는 슬리브 바디, 및 화재 발생 시 층간 화재 발생을 차단시키도록 열에 의해 자체적으로 발포팽창하면서 상기 슬리브 바디의 관통 공간부를 차폐하되 사출 방식으로 제작되어 상기 슬리브 바디 내에 배치되는 사출형 내화충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사출형 내화충전부재는 상기 슬리브 바디의 내벽에 접촉하거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화재 발생 시 상기 관통 공간부의 외곽 사이드(side) 영역에서 발포팽창하면서 해당 영역을 차폐하는 사이드 발포팽창부, 및 상기 사이드 발포팽창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사이드 발포팽창부와 연결되며, 화재 발생 시 상기 관통 공간부의 내부 센터(center) 영역에서 발포팽창하면서 해당 영역을 차폐하는 센터 발포팽창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발포팽창부가 링(ring) 형상을 링(ring) 형상을 이루며, 상기 사이드 발포팽창부와 상기 센터 발포팽창부의 높이가 서로 같거나 다르며, 상기 슬리브 바디의 내벽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부가 형성된다. 단부가 상기 걸림턱부에 걸리게 상기 슬리브 바디에 결합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사출형 내화충전부재의 하부 이탈을 저지시키는 서포트 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 바디는 상기 걸림턱부의 상부에 상기 걸림턱부와는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메인 바디부, 상기 메인 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바디부보다 폭이 넓은 하부 플랜지부, 및 상기 메인 바디부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바디부보다 폭이 넓은 상부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출형 내화충전부재는 상기 걸림턱부 및 상기 외부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서포트 베이스에는 단부에 후크가 형성된 탄성 걸쇠가 마련되며, 얇은 금속판으로 제작된 상기 탄성 걸쇠는 탄성을 위해 평상시 휘어져 있다가 상기 사출형 내화충전부재와 상기 서포트 베이스가 결합할 때 변형된 다음,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사출형 내화충전부재와 상기 서포트 베이스가 분리되지 않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면서 상기 후크로 하여금 상기 사출형 내화충전부재가 걸리도록 한다.
Fire resistant charging structure for connecting vertical pipe
수직배기관 연결겸용 내화충전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수직배기관 연결겸용 내화충전 구조체는 건축물의 각 층(floor)을 이루는 슬래브(slab)에 매립되게 마련되는 슬리브(sleeve); 단의 일 영역은 상기 슬리브 내에 삽입 결합하게 상기 슬리브에 연결되고 상단의 일 영역은 수직배기관 내에 삽입되면서 연결되되 상기 슬리브에 결합하는 방향을 따라 양측 단부 영역의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는 이경 개스킷(gasket); 및 상기 이경 개스킷 내에 마련되며, 화재 발생 시 발포팽창하면서 상기 이경 개스킷 내의 개구를 차폐해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개스킷 내화충전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내부에 관통 공간부가 형성되게 파이프(pipe) 형상을 이루는 슬리브 바디, 및 화재 발생 시 층간 화재 발생을 차단시키도록 열에 의해 자체적으로 발포팽창하면서 상기 슬리브 바디의 관통 공간부를 차폐하되 사출 방식으로 제작되어 상기 슬리브 바디 내에 배치되는 사출형 내화충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사출형 내화충전부재는 상기 슬리브 바디의 내벽에 접촉하거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화재 발생 시 상기 관통 공간부의 외곽 사이드(side) 영역에서 발포팽창하면서 해당 영역을 차폐하는 사이드 발포팽창부, 및 상기 사이드 발포팽창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사이드 발포팽창부와 연결되며, 화재 발생 시 상기 관통 공간부의 내부 센터(center) 영역에서 발포팽창하면서 해당 영역을 차폐하는 센터 발포팽창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발포팽창부가 링(ring) 형상을 링(ring) 형상을 이루며, 상기 사이드 발포팽창부와 상기 센터 발포팽창부의 높이가 서로 같거나 다르며, 상기 슬리브 바디의 내벽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부가 형성된다. 단부가 상기 걸림턱부에 걸리게 상기 슬리브 바디에 결합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사출형 내화충전부재의 하부 이탈을 저지시키는 서포트 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 바디는 상기 걸림턱부의 상부에 상기 걸림턱부와는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부 돌출부를 구비하는 메인 바디부, 상기 메인 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바디부보다 폭이 넓은 하부 플랜지부, 및 상기 메인 바디부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바디부보다 폭이 넓은 상부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출형 내화충전부재는 상기 걸림턱부 및 상기 외부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서포트 베이스에는 단부에 후크가 형성된 탄성 걸쇠가 마련되며, 얇은 금속판으로 제작된 상기 탄성 걸쇠는 탄성을 위해 평상시 휘어져 있다가 상기 사출형 내화충전부재와 상기 서포트 베이스가 결합할 때 변형된 다음,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사출형 내화충전부재와 상기 서포트 베이스가 분리되지 않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면서 상기 후크로 하여금 상기 사출형 내화충전부재가 걸리도록 한다.
Fire resistant charging structure for connecting vertical pipe
수직배기관 연결겸용 내화충전 구조체
NAM MYUNG SOO (Autor:in) / NAM JUNG HWA (Autor:in)
22.12.2021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Vertical pipe embedded part and vertical pipe connecting system
Europäisches Patentamt | 2021
|earthquake-resistant pipe connecting structure of valve room
Europäisches Patentamt | 2023
|Steel pipe combination column and vertical connecting structure thereof
Europäisches Patentamt | 2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