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Fixing device for interior materials for constru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fixing interior materials for construction, comprising a wall bracket (10), a lower bracket (20), an upper bracket (30), a connecting means (40), and a buffer spring (50). The interior material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wall bracket fixed to a wall of a building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ans to firmly fix an interior material while buffering vibrations such as earthquakes transmitted from the building to maintain a safe connection state of the interior material.
본 발명은 건축용 내장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벽면(100)에 앵커볼트(13)를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수직판(11)과, 상기 수직판(11)의 일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폭이 수평 형성하는 수평판(12)으로 형성되는 벽면 브라켓(10); 상기 벽면 브라켓(10)과 대향하는 내장재(200)의 하단부에서 일정 높이에 이중으로 판면이 중첩되게 하여 내장재(200)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 고정판(21)과, 상기 하부 고정판(21)의 일측 하단부를 수평 절곡시켜 상기 벽면 브라켓(10)측으로 일정 폭이 연장되도록 하는 하부 연장판(22)과, 상기 하부 연장판(22)의 단부를 수직으로 상향 절곡되게 하고 일정 높이에서 다시 단부를 수평 절곡되도록 하여 상기 벽면 브라켓(10)의 수평면과 일정 높이가 이격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하부 연결판(23) 및 일단은 내장재(200)의 바닥면에 일정 폭이 부착되고, 상기 하부 고정판(21)과 함께 하부 연장판(22)의 하단면과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보강판(34)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브라켓(20); 내장재(200)의 상단부에서 일정 높이에 이중으로 판면이 중첩되게 하여 내장재(200)에 고정 결합되는 상부 고정판(31)과, 상기 상부 고정판(31)의 일측 상단부를 수평 절곡시켜 상기 벽면 브라켓(10)측으로 일정 폭이 연장되도록 하는 상부 연장판(32)과, 상기 상부 연장판(32)의 단부를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게 하고 일정 높이에서 다시 단부를 수평 절곡되도록 하여 상기 벽면 브라켓(10)의 수평판(12)과 일정 높이가 이격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상부 연결판(33)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브라켓(30); 상기 벽면 브라켓(10)의 수평판(12)과 이 수평판(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하부 브라켓(20)의 하부 연결판(23)과 상기 상부 브라켓(30)의 상부 연결판(33)을 동시에 수직 관통하는 연결 볼트(41)와, 상기 상부 연결판(33)의 하부로 돌출되는 상기 연결 볼트(41)의 하단부에서 스프링 와셔(43)에 의해 풀림 방지되게 나사결합되는 로크 너트(42)로 이루어지게 하여 판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위치에 형성하는 연결수단(40); 상기 연결수단(40)의 연결 볼트(41)가 축결합되는 상기 벽면 브라켓(10)의 수평판(12) 상부와 하부에서 상기 하부 브라켓(20)의 하부 연결판(23)과 상기 상부 브라켓(30)의 상부 연결판(33)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벽면 브라켓(10)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완충되도록 하는 완충 스프링(5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Fixing device for interior materials for constru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fixing interior materials for construction, comprising a wall bracket (10), a lower bracket (20), an upper bracket (30), a connecting means (40), and a buffer spring (50). The interior material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wall bracket fixed to a wall of a building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ans to firmly fix an interior material while buffering vibrations such as earthquakes transmitted from the building to maintain a safe connection state of the interior material.
본 발명은 건축용 내장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벽면(100)에 앵커볼트(13)를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수직판(11)과, 상기 수직판(11)의 일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폭이 수평 형성하는 수평판(12)으로 형성되는 벽면 브라켓(10); 상기 벽면 브라켓(10)과 대향하는 내장재(200)의 하단부에서 일정 높이에 이중으로 판면이 중첩되게 하여 내장재(200)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 고정판(21)과, 상기 하부 고정판(21)의 일측 하단부를 수평 절곡시켜 상기 벽면 브라켓(10)측으로 일정 폭이 연장되도록 하는 하부 연장판(22)과, 상기 하부 연장판(22)의 단부를 수직으로 상향 절곡되게 하고 일정 높이에서 다시 단부를 수평 절곡되도록 하여 상기 벽면 브라켓(10)의 수평면과 일정 높이가 이격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하부 연결판(23) 및 일단은 내장재(200)의 바닥면에 일정 폭이 부착되고, 상기 하부 고정판(21)과 함께 하부 연장판(22)의 하단면과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보강판(34)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브라켓(20); 내장재(200)의 상단부에서 일정 높이에 이중으로 판면이 중첩되게 하여 내장재(200)에 고정 결합되는 상부 고정판(31)과, 상기 상부 고정판(31)의 일측 상단부를 수평 절곡시켜 상기 벽면 브라켓(10)측으로 일정 폭이 연장되도록 하는 상부 연장판(32)과, 상기 상부 연장판(32)의 단부를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게 하고 일정 높이에서 다시 단부를 수평 절곡되도록 하여 상기 벽면 브라켓(10)의 수평판(12)과 일정 높이가 이격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상부 연결판(33)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브라켓(30); 상기 벽면 브라켓(10)의 수평판(12)과 이 수평판(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하부 브라켓(20)의 하부 연결판(23)과 상기 상부 브라켓(30)의 상부 연결판(33)을 동시에 수직 관통하는 연결 볼트(41)와, 상기 상부 연결판(33)의 하부로 돌출되는 상기 연결 볼트(41)의 하단부에서 스프링 와셔(43)에 의해 풀림 방지되게 나사결합되는 로크 너트(42)로 이루어지게 하여 판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위치에 형성하는 연결수단(40); 상기 연결수단(40)의 연결 볼트(41)가 축결합되는 상기 벽면 브라켓(10)의 수평판(12) 상부와 하부에서 상기 하부 브라켓(20)의 하부 연결판(23)과 상기 상부 브라켓(30)의 상부 연결판(33)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벽면 브라켓(10)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완충되도록 하는 완충 스프링(5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Fixing device for interior materials for construction
건축용 내장재 고정장치
KIM SU HWEON (Autor:in)
08.03.2022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Fixing device for interior materials for construction
Europäisches Patentamt | 2021
|Fixing device for interior materials for apartment houses
Europäisches Patentamt | 2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