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Food waste Treatment Device and Food waste Treatment System equipped with Bioenergy Manufacturing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treatment device having a bioenergy producing function, and a food waste treatment system thereof, which maximize the efficiency of ethanol production. 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rinder (110) installed below a sink (113); a first pipe (120); a second pipe (130); an ethanol production device (500)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pipe (120); and a methanol production device (600)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pipe (130).
바이오에너지 제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 및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에 대해 개시된다. 개시된 바이오에너지 제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 및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은, 복수의 세대가 거주하는 집합건물에 설치되어 바이오에너지를 제조 가능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각 세대의 싱크대(113) 하부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블레이드(112)가 설치되고, 싱크대(113)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114)를 통해 전달받아 분쇄시켜 하부의 유출구(116)로 배출하는 분쇄기(110); 상기 분쇄기(110) 하부에 상기 유출구(116)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되, 분쇄기(110)에 의해 분쇄된 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의 유동경로를 이루는 제1 세대배관(210); 상기 분쇄기(110) 하부에 상기 유출구(116)와 연통되도록 제1 세대배관(21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분쇄기(110)에 의해 분쇄된 비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의 유동경로를 이루는 제2 세대배관(220);으로 구성되어, 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 및 비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를 분류하여 배출하는 세대별 음식물쓰레기 처리유닛(200); 각 세대에 설치된 상기 세대별 음식물쓰레기 처리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된 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의 유동경로를 이루는 제1 공동배관(300); 각 세대에 설치된 상기 세대별 음식물쓰레기 처리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된 비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의 유동경로를 이루는 제2 공동배관(400); 상기 제1 공동배관(3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제1 공동배관(300)을 통해 수집된 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를 에탄올로 전환하는 에탄올 제조장치(500); 상기 제2 공동배관(4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제2 공동배관(400)을 통해 수집된 비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를 메탄올로 전환하는 메탄올 제조장치(600);를 포함하며, 각 세대에서 배출된 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제1 공동배관(300)을 통해 에탄올 제조장치(500)로 수집되어 에탄올 제조 효율을 최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ood waste Treatment Device and Food waste Treatment System equipped with Bioenergy Manufacturing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treatment device having a bioenergy producing function, and a food waste treatment system thereof, which maximize the efficiency of ethanol production. 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rinder (110) installed below a sink (113); a first pipe (120); a second pipe (130); an ethanol production device (500)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pipe (120); and a methanol production device (600)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pipe (130).
바이오에너지 제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 및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에 대해 개시된다. 개시된 바이오에너지 제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 및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은, 복수의 세대가 거주하는 집합건물에 설치되어 바이오에너지를 제조 가능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각 세대의 싱크대(113) 하부에 설치되되 내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블레이드(112)가 설치되고, 싱크대(113)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114)를 통해 전달받아 분쇄시켜 하부의 유출구(116)로 배출하는 분쇄기(110); 상기 분쇄기(110) 하부에 상기 유출구(116)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되, 분쇄기(110)에 의해 분쇄된 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의 유동경로를 이루는 제1 세대배관(210); 상기 분쇄기(110) 하부에 상기 유출구(116)와 연통되도록 제1 세대배관(21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분쇄기(110)에 의해 분쇄된 비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의 유동경로를 이루는 제2 세대배관(220);으로 구성되어, 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 및 비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를 분류하여 배출하는 세대별 음식물쓰레기 처리유닛(200); 각 세대에 설치된 상기 세대별 음식물쓰레기 처리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된 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의 유동경로를 이루는 제1 공동배관(300); 각 세대에 설치된 상기 세대별 음식물쓰레기 처리유닛(200)으로부터 배출된 비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의 유동경로를 이루는 제2 공동배관(400); 상기 제1 공동배관(3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제1 공동배관(300)을 통해 수집된 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를 에탄올로 전환하는 에탄올 제조장치(500); 상기 제2 공동배관(4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제2 공동배관(400)을 통해 수집된 비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를 메탄올로 전환하는 메탄올 제조장치(600);를 포함하며, 각 세대에서 배출된 탄수화물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제1 공동배관(300)을 통해 에탄올 제조장치(500)로 수집되어 에탄올 제조 효율을 최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ood waste Treatment Device and Food waste Treatment System equipped with Bioenergy Manufacturing Function
바이오에너지 제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PARK KYUNG SUP (Autor:in)
08.07.2022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3C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
Hausinstallationen für Frisch- oder Abwasser
/
C12P
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Gärungsverfahren oder Verfahren unter Verwendung von Enzymen zur gezielten Synthese von chemischen Verbindungen oder Zusammensetzungen oder zur Trennung optischer Isomerer aus einer racemischen Mischung
/
E04F
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Ausbau von Bauwerken, z.B. Treppen, Fußbö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