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A door for an apartment house for easy natural ligh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for an apartment house for easy natural lighting, comprising a door vertical outer plate (11) standing vertic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10); a door vertical inner plate (12)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door vertical outer plate (11) and vertically stand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door vertical outer plate (11); left-side inner left and right side plates (13a, 13b), right-side inner left and right side plates (14a, 14b), left-end inner left and right side plates (15a, 15b), and right-end inner left and right side plates (16a, 16b) which connect and support the door vertical inner and outer plates (12, 11); upper and lower end finishing plates (17, 17a) and left and right end finishing plates (17b, 17c) which are positioned to finish at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door vertical outer and inner plates (11, 12), respectively; center upper and lower operation support plates (18, 18a) fixed horizontally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iddle side between the left end inner left side plate (15a) and the left end finishing plate (17b), respectively; a rack gear horizontal bar (20); a lighting operation tool (30); and lighting opening and closing members (40, 40a, 40b, 40c).
본 발명은 도어(10) 외측면에 수직기립된 판체로, 중심부 좌우측에 일정간격을 갖고 상하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통공형성되어 외부세로투명창(11aa,11ba)이 각각 고정설치되는 좌우측세로창통공(11a,11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세로창통공(11a,11b)의 좌우측으로는 각각 외부세로투명창(11ca,11da)을 갖는 좌우측단부세로창통공(11c,11d)이 각각 형성되며, 우측 중심측에 도어레버홈(11e)을 갖는 도어수직외판(11); 상기 도어수직외판(11)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도어수직외판(11)과 일정간격 도어(10) 내측면에 수직기립된 판체로, 상기 좌우측세로창통공(11a,11b) 내측 연장선상에 내부세로투명창(12aa,12ba)을 갖는 좌우측세로창통공(12a,12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단부세로창통공(11c,11d) 내측 연장선상에 내부세로투명창(12ca,12da)을 갖는 좌우측단부세로창통공(12c,12d)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도어레버홈(11e) 내측 연장선상에 도어레버홈(12e)을 갖는 도어수직내판(12); 상기 도어수직내외판(12,11)을 이음연결하고 지지하는 수직기립된 판체로, 상기 도어수직내외판(12,11)의 좌측세로장통공(12a,11a)을 각각 연결이음하되, 상단부의 서로 마주보는 동일 높이의 내측면에는 수평판(13c)이 상측에서 걸림안착되게 안착요부턱(13aa,13b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착요부턱(13aa,13ba)이 형성된 내측 상부에는 동일 높이로 사각형상의 사각가이드공(13ab,13bb)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사각가이드공(13ab,13bb) 내부 중심측 선단 상하측에는 각각 상하부로 돌출되데 직사각형상인 상하측가이드돌기(13aba,13abb)(13bba,13bb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13c) 내측면 좌측에는 축공(13ca)이 형성되며, 하단부 내측면에는 하단부수평고정판(13d)이 삽입고정되는 좌우측삽입요부(13ac,13bc)가 각각 형성되고, 하단부수평고정판(13d)의 상기 축공(13ca) 연장선상에는 축지지공(13da)이 형성되는 좌측내부좌우측판(13a,13b); 상기 좌측내부좌우측판(13a,13b)의 우측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수직내외판(12,11)을 이음연결하고 지지하는 수직기립된 판체로, 상기 도어수직내외판(12,11)의 우측세로장통공(12b,11b)을 각각 연결이음하되, 상단부의 서로 마주보는 동일 높이의 내측면에는 수평판(14c)이 상측에서 걸림안착되게 안착요부턱(14aa,14b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착요부턱(14aa,14ba)이 형성된 내측 상부에는 상기 사각가이드공(13ab,13bb)과 동일 높이로 사각형상의 사각가이드공(14ab,14bb)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사각가이드공(14ab,14bb) 내부 중심측 선단 상하측에는 각각 상하부로 돌출되데 직사각형상인 상하측가이드돌기(14aba,14abb)(14bba,14bb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14c) 내측면 좌측에는 축공(14ca)이 형성되며, 하단부 내측면에는 하단부수평고정판(14d)이 삽입고정되는 좌우측삽입요부(14ac,14bc)가 각각 형성되고, 하단부수평고정판(14d)의 상기 축공(14ca) 연장선상에는 축지지공(14da)이 형성되는 우측내부좌우측판(14a,14b); 상기 좌측내부좌우측판(13a,13b)의 좌측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수직내외판(12,11)을 이음연결하고 지지하는 수직기립된 판체로, 상기 도어수직내외판(12,11)의 좌측단부세로장통공(12c,11c)을 각각 연결이음하되, 상단부의 서로 마주보는 동일 높이의 내측면에는 수평판(15c)이 상측에서 걸림안착되게 안착요부턱(15aa,15b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착요부턱(15aa,15ba)이 형성된 내측 상부에는 상기 사각가이드공(13ab,13bb)과 동일 높이로 사각형상의 사각가이드공(15ab,15bb)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사각가이드공(15ab,15bb) 내부 중심측 선단 상하측에는 각각 상하부로 돌출되데 직사각형상인 상하측가이드돌기(15aba,15abb)(15bba,15bb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15c) 내측면 좌측에는 축공(15ca)이 형성되며, 하단부 내측면에는 하단부수평고정판(15d)이 삽입고정되는 좌우측삽입요부(15ac,15bc)가 각각 형성되고, 하단부수평고정판(15d)의 상기 축공(15ca) 연장선상에는 축지지공(15da)이 형성되는 좌측단부내부좌우측판(15a,15b); 상기 우측내부좌우측판(14a,14b)의 우측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수직내외판(12,11)을 이음연결하고 지지하는 수직기립된 판체로, 상기 도어수직내외판(12,11)의 우측단부세로장통공(12d,11d)을 각각 연결이음하되, 상단부의 서로 마주보는 동일 높이의 내측면에는 수평판(16c)이 상측에서 걸림안착되게 안착요부턱(16aa,16b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착요부턱(16aa,16ba)이 형성된 내측 상부에는 상기 사각가이드공(13ab,13bb)과 동일 높이로 사각형상의 사각가이드공(16ab,16bb)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사각가이드공(16ab,16bb) 내부 중심측 선단 상하측에는 각각 상하부로 돌출되데 직사각형상인 상하측가이드돌기(16aba,16abb)(16bba,16bb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16c) 내측면 좌측에는 축공(16ca)이 형성되며, 하단부 내측면에는 하단부수평고정판(16d)이 삽입고정되는 좌우측삽입요부(16ac,16bc)가 각각 형성되고, 하단부수평고정판(16d)의 상기 축공(16ca) 연장선상에는 축지지공(16da)이 형성되는 우측단부내부좌우측판(16a,16b); 상기 도어수직외판(11)과 상기 도어수직내판(12)의 상하단과 좌우측단에 각각 위치되어 마감하는 상하단마감판(17,17a)과 좌우측단마감판(17b,17c); 상기 좌측단부내부좌측판(15a)과 상기 좌측단마감판(17b) 사이의 중간측 상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중심상하측작동지지판(18,18a); 상기 수평판(15c)의 좌측연장선상으로 수평연장되고 상기 중심상하측작동지지판(18,18a) 상측에서 상기 좌측단마감판(17b)에 고정설치되는 상단부작동지지판(18b); 측단면이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좌우측으로 수평을 이루는 기어바로, 일단은 상기 상단부작동지지판(18b) 상부 중심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순차적으로 상기 좌측단부내부좌우측판(15a,15b)의 사각가이드공(15ab,15bb)을 관통하며, 상기 좌측내부좌우측판(13a,13b)의 사각가이드공(13ab,13bb)을 관통하고, 상기 우측내부좌우측판(14a,14b)의 사각가이드공(14ab,14bb)을 관통하며, 상기 우측단부내부좌우측판(16a,16b)의 사각가이드공(16ab,16bb)을 관통하되, 측단면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좌우연속적으로 내측랙기어부(21)와 외측랙이어부(21a)가 각각 형성되고, 측단면 상단면과 하단면에는 상기 사각가이드공(15ab,15bb)(13ab,13bb)(14ab,14bb)(16ab,16bb)의 상하측가이드돌기(15aba,15abb,15bba,15bbb)(13aba,13abb,13bba,13bbb)(14aba,14abb,14bba,14bbb)(16aba,16abb,16bba,16bbb)가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가이드되는 가이드상하단장홈(22,22a)이 각각 내측으로 요부형성되는 랙기어수평바(20); 수직기립된 축으로 상기 중심상하측작동지지판(18.18a) 사이에 위치되어 축결합되고 중심측에 기어부(31a)를 갖는 레버축(31)이 형성되고, 원형판체로 상기 레버축(31)의 기어부(31a) 상하측에서 각각 축결합되어 동반회동되면서 내측 일부가 실내측으로 돌출되는 상하레버작동판(31b,31c)이 형성되며, 수직기립된 축으로 하단부는 상기 중심상하측작동지지판(18.18a) 사이에 위치되어 축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상단부작동지지판(18b)을 관통하여 축결합되데 하단부에는 상기 레버축(31)의 기어부(31a)와 체인(32b)에 의해 동력연결되는 구동기어(32a)를 갖고 상단부에는 상기 랙기어수평바(20)의 외측기어부(21a)에 기어결합되는 피니언연동기어(32c)가 축결합되는 연동수직축(32)이 형성되는 채광작동구(30); 및 상기 좌측내부좌우측단판(13a,13b) 및 수평판(13c)과 하단부수평고정판(13d) 사이와, 우측내부좌우측단판(14a,14b) 및 수평판(14c)과 하단부수평고정판(14d) 사이와, 좌측단부내부좌우측단판(15a,15b) 및 수평판(15c)과 하단부수평고정판(15d) 사이와, 우측단부내부좌우측단판(16a,16b) 및 수평판(16c)과 하단부수평고정판(16d) 사이에 각각 수직기립되어 상기 도어수직내판(12)의 좌측세로장통공(12a)과 우측세로장통공(12b)과 좌측단부세로장통공(12c)과 우측단부세로장통공(12d)을 각각 개폐시키는 판체인 개폐몸체(4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폐몸체(41) 좌측단 상단면에서 직상부로 돌출되는 상단원형축바(42)가 형성되며, 상단원형축바(42)가 상기 수평판(13c,14c,15c,16c)의 축공(13ca,14ca,15ca,16ca)을 관통하여서는 평단면이 사각형상인 사각축바(43)로 형성되고, 사각축바(43)에는 상기 랙기어수평바(20)의 내측랙기어부(21)에 기어결합되는 회동피니언기어(44)가 축결합되며, 상기 상단원형축바(42)가 형성된 개폐몸체(41) 상단면에서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직상부로 수직기립된 걸림바(45)가 형성되고, 표면이 반원형상인 탄성스프링으로 일단은 사각축바(43)가 삽입되는 사각공(46a)을 갖고 타단은 걸림바(45)가 삽입되는 바공(46b)을 갖는 장력스프링(46)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몸체(41) 하단면 상단원형축바(42) 연장선상에는 직하부로 돌출되어 하단부수평고정판(13d,14d,15d,16d)의 축지지공(13da,14da,15da,16da)에 각각 축삽입되는 하단원형축바(42a)가 각각 형성되는 채광개폐구(40,40a,40b,40c)를 구비하는 자연채광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외부세로투명창과 이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내부세로투명창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내부세로투명창을 채광작동구의 작동에 의한 랙기어수평바의 수평이동 작동으로 인해 채광개폐구의 개폐몸체 회동으로 손쉽게 개방 또는 폐쇄시킴으로써 도어의 채광부위가 크게 형성되어 실내 넓은 부위의 충분한 채광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작동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져 제작이 손쉽고, 모터와 같은 전기장치가 없어 고장의 염려가 없고 유지비용이 적게 소요되며, 도어가 닫혀 있는 방범기능이 부여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간단한 조작으로 자연 채광이 가능한 자연채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A door for an apartment house for easy natural ligh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for an apartment house for easy natural lighting, comprising a door vertical outer plate (11) standing vertic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10); a door vertical inner plate (12)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door vertical outer plate (11) and vertically stand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door vertical outer plate (11); left-side inner left and right side plates (13a, 13b), right-side inner left and right side plates (14a, 14b), left-end inner left and right side plates (15a, 15b), and right-end inner left and right side plates (16a, 16b) which connect and support the door vertical inner and outer plates (12, 11); upper and lower end finishing plates (17, 17a) and left and right end finishing plates (17b, 17c) which are positioned to finish at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door vertical outer and inner plates (11, 12), respectively; center upper and lower operation support plates (18, 18a) fixed horizontally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iddle side between the left end inner left side plate (15a) and the left end finishing plate (17b), respectively; a rack gear horizontal bar (20); a lighting operation tool (30); and lighting opening and closing members (40, 40a, 40b, 40c).
본 발명은 도어(10) 외측면에 수직기립된 판체로, 중심부 좌우측에 일정간격을 갖고 상하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통공형성되어 외부세로투명창(11aa,11ba)이 각각 고정설치되는 좌우측세로창통공(11a,11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세로창통공(11a,11b)의 좌우측으로는 각각 외부세로투명창(11ca,11da)을 갖는 좌우측단부세로창통공(11c,11d)이 각각 형성되며, 우측 중심측에 도어레버홈(11e)을 갖는 도어수직외판(11); 상기 도어수직외판(11)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도어수직외판(11)과 일정간격 도어(10) 내측면에 수직기립된 판체로, 상기 좌우측세로창통공(11a,11b) 내측 연장선상에 내부세로투명창(12aa,12ba)을 갖는 좌우측세로창통공(12a,12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단부세로창통공(11c,11d) 내측 연장선상에 내부세로투명창(12ca,12da)을 갖는 좌우측단부세로창통공(12c,12d)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도어레버홈(11e) 내측 연장선상에 도어레버홈(12e)을 갖는 도어수직내판(12); 상기 도어수직내외판(12,11)을 이음연결하고 지지하는 수직기립된 판체로, 상기 도어수직내외판(12,11)의 좌측세로장통공(12a,11a)을 각각 연결이음하되, 상단부의 서로 마주보는 동일 높이의 내측면에는 수평판(13c)이 상측에서 걸림안착되게 안착요부턱(13aa,13b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착요부턱(13aa,13ba)이 형성된 내측 상부에는 동일 높이로 사각형상의 사각가이드공(13ab,13bb)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사각가이드공(13ab,13bb) 내부 중심측 선단 상하측에는 각각 상하부로 돌출되데 직사각형상인 상하측가이드돌기(13aba,13abb)(13bba,13bb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13c) 내측면 좌측에는 축공(13ca)이 형성되며, 하단부 내측면에는 하단부수평고정판(13d)이 삽입고정되는 좌우측삽입요부(13ac,13bc)가 각각 형성되고, 하단부수평고정판(13d)의 상기 축공(13ca) 연장선상에는 축지지공(13da)이 형성되는 좌측내부좌우측판(13a,13b); 상기 좌측내부좌우측판(13a,13b)의 우측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수직내외판(12,11)을 이음연결하고 지지하는 수직기립된 판체로, 상기 도어수직내외판(12,11)의 우측세로장통공(12b,11b)을 각각 연결이음하되, 상단부의 서로 마주보는 동일 높이의 내측면에는 수평판(14c)이 상측에서 걸림안착되게 안착요부턱(14aa,14b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착요부턱(14aa,14ba)이 형성된 내측 상부에는 상기 사각가이드공(13ab,13bb)과 동일 높이로 사각형상의 사각가이드공(14ab,14bb)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사각가이드공(14ab,14bb) 내부 중심측 선단 상하측에는 각각 상하부로 돌출되데 직사각형상인 상하측가이드돌기(14aba,14abb)(14bba,14bb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14c) 내측면 좌측에는 축공(14ca)이 형성되며, 하단부 내측면에는 하단부수평고정판(14d)이 삽입고정되는 좌우측삽입요부(14ac,14bc)가 각각 형성되고, 하단부수평고정판(14d)의 상기 축공(14ca) 연장선상에는 축지지공(14da)이 형성되는 우측내부좌우측판(14a,14b); 상기 좌측내부좌우측판(13a,13b)의 좌측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수직내외판(12,11)을 이음연결하고 지지하는 수직기립된 판체로, 상기 도어수직내외판(12,11)의 좌측단부세로장통공(12c,11c)을 각각 연결이음하되, 상단부의 서로 마주보는 동일 높이의 내측면에는 수평판(15c)이 상측에서 걸림안착되게 안착요부턱(15aa,15b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착요부턱(15aa,15ba)이 형성된 내측 상부에는 상기 사각가이드공(13ab,13bb)과 동일 높이로 사각형상의 사각가이드공(15ab,15bb)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사각가이드공(15ab,15bb) 내부 중심측 선단 상하측에는 각각 상하부로 돌출되데 직사각형상인 상하측가이드돌기(15aba,15abb)(15bba,15bb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15c) 내측면 좌측에는 축공(15ca)이 형성되며, 하단부 내측면에는 하단부수평고정판(15d)이 삽입고정되는 좌우측삽입요부(15ac,15bc)가 각각 형성되고, 하단부수평고정판(15d)의 상기 축공(15ca) 연장선상에는 축지지공(15da)이 형성되는 좌측단부내부좌우측판(15a,15b); 상기 우측내부좌우측판(14a,14b)의 우측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수직내외판(12,11)을 이음연결하고 지지하는 수직기립된 판체로, 상기 도어수직내외판(12,11)의 우측단부세로장통공(12d,11d)을 각각 연결이음하되, 상단부의 서로 마주보는 동일 높이의 내측면에는 수평판(16c)이 상측에서 걸림안착되게 안착요부턱(16aa,16b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착요부턱(16aa,16ba)이 형성된 내측 상부에는 상기 사각가이드공(13ab,13bb)과 동일 높이로 사각형상의 사각가이드공(16ab,16bb)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사각가이드공(16ab,16bb) 내부 중심측 선단 상하측에는 각각 상하부로 돌출되데 직사각형상인 상하측가이드돌기(16aba,16abb)(16bba,16bb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16c) 내측면 좌측에는 축공(16ca)이 형성되며, 하단부 내측면에는 하단부수평고정판(16d)이 삽입고정되는 좌우측삽입요부(16ac,16bc)가 각각 형성되고, 하단부수평고정판(16d)의 상기 축공(16ca) 연장선상에는 축지지공(16da)이 형성되는 우측단부내부좌우측판(16a,16b); 상기 도어수직외판(11)과 상기 도어수직내판(12)의 상하단과 좌우측단에 각각 위치되어 마감하는 상하단마감판(17,17a)과 좌우측단마감판(17b,17c); 상기 좌측단부내부좌측판(15a)과 상기 좌측단마감판(17b) 사이의 중간측 상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중심상하측작동지지판(18,18a); 상기 수평판(15c)의 좌측연장선상으로 수평연장되고 상기 중심상하측작동지지판(18,18a) 상측에서 상기 좌측단마감판(17b)에 고정설치되는 상단부작동지지판(18b); 측단면이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좌우측으로 수평을 이루는 기어바로, 일단은 상기 상단부작동지지판(18b) 상부 중심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순차적으로 상기 좌측단부내부좌우측판(15a,15b)의 사각가이드공(15ab,15bb)을 관통하며, 상기 좌측내부좌우측판(13a,13b)의 사각가이드공(13ab,13bb)을 관통하고, 상기 우측내부좌우측판(14a,14b)의 사각가이드공(14ab,14bb)을 관통하며, 상기 우측단부내부좌우측판(16a,16b)의 사각가이드공(16ab,16bb)을 관통하되, 측단면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좌우연속적으로 내측랙기어부(21)와 외측랙이어부(21a)가 각각 형성되고, 측단면 상단면과 하단면에는 상기 사각가이드공(15ab,15bb)(13ab,13bb)(14ab,14bb)(16ab,16bb)의 상하측가이드돌기(15aba,15abb,15bba,15bbb)(13aba,13abb,13bba,13bbb)(14aba,14abb,14bba,14bbb)(16aba,16abb,16bba,16bbb)가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가이드되는 가이드상하단장홈(22,22a)이 각각 내측으로 요부형성되는 랙기어수평바(20); 수직기립된 축으로 상기 중심상하측작동지지판(18.18a) 사이에 위치되어 축결합되고 중심측에 기어부(31a)를 갖는 레버축(31)이 형성되고, 원형판체로 상기 레버축(31)의 기어부(31a) 상하측에서 각각 축결합되어 동반회동되면서 내측 일부가 실내측으로 돌출되는 상하레버작동판(31b,31c)이 형성되며, 수직기립된 축으로 하단부는 상기 중심상하측작동지지판(18.18a) 사이에 위치되어 축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상단부작동지지판(18b)을 관통하여 축결합되데 하단부에는 상기 레버축(31)의 기어부(31a)와 체인(32b)에 의해 동력연결되는 구동기어(32a)를 갖고 상단부에는 상기 랙기어수평바(20)의 외측기어부(21a)에 기어결합되는 피니언연동기어(32c)가 축결합되는 연동수직축(32)이 형성되는 채광작동구(30); 및 상기 좌측내부좌우측단판(13a,13b) 및 수평판(13c)과 하단부수평고정판(13d) 사이와, 우측내부좌우측단판(14a,14b) 및 수평판(14c)과 하단부수평고정판(14d) 사이와, 좌측단부내부좌우측단판(15a,15b) 및 수평판(15c)과 하단부수평고정판(15d) 사이와, 우측단부내부좌우측단판(16a,16b) 및 수평판(16c)과 하단부수평고정판(16d) 사이에 각각 수직기립되어 상기 도어수직내판(12)의 좌측세로장통공(12a)과 우측세로장통공(12b)과 좌측단부세로장통공(12c)과 우측단부세로장통공(12d)을 각각 개폐시키는 판체인 개폐몸체(4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폐몸체(41) 좌측단 상단면에서 직상부로 돌출되는 상단원형축바(42)가 형성되며, 상단원형축바(42)가 상기 수평판(13c,14c,15c,16c)의 축공(13ca,14ca,15ca,16ca)을 관통하여서는 평단면이 사각형상인 사각축바(43)로 형성되고, 사각축바(43)에는 상기 랙기어수평바(20)의 내측랙기어부(21)에 기어결합되는 회동피니언기어(44)가 축결합되며, 상기 상단원형축바(42)가 형성된 개폐몸체(41) 상단면에서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직상부로 수직기립된 걸림바(45)가 형성되고, 표면이 반원형상인 탄성스프링으로 일단은 사각축바(43)가 삽입되는 사각공(46a)을 갖고 타단은 걸림바(45)가 삽입되는 바공(46b)을 갖는 장력스프링(46)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몸체(41) 하단면 상단원형축바(42) 연장선상에는 직하부로 돌출되어 하단부수평고정판(13d,14d,15d,16d)의 축지지공(13da,14da,15da,16da)에 각각 축삽입되는 하단원형축바(42a)가 각각 형성되는 채광개폐구(40,40a,40b,40c)를 구비하는 자연채광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외부세로투명창과 이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내부세로투명창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내부세로투명창을 채광작동구의 작동에 의한 랙기어수평바의 수평이동 작동으로 인해 채광개폐구의 개폐몸체 회동으로 손쉽게 개방 또는 폐쇄시킴으로써 도어의 채광부위가 크게 형성되어 실내 넓은 부위의 충분한 채광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작동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져 제작이 손쉽고, 모터와 같은 전기장치가 없어 고장의 염려가 없고 유지비용이 적게 소요되며, 도어가 닫혀 있는 방범기능이 부여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간단한 조작으로 자연 채광이 가능한 자연채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A door for an apartment house for easy natural lighting
자연채광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도어
KIM KI NAM (Autor:in) / LEE MIN HYEON (Autor:in)
27.02.2023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6B
Feste oder bewegliche Abschlüsse für Öffnungen in Bauwerken, Fahrzeugen, Zäunen oder ähnlichen Einfriedungen allgemein, z.B. Türen, Fenster, Läden, Tore
,
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Apartment house door that natural lighting can achieve
Europäisches Patentamt |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