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Food waste treatment device with sludge separation pi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treatment device with a sludge separation pipe, which improves use convenience, comprising: a base housing (20); a stirring tank (25); a stirring means (30) for mixing a sludge; a storage tank (40) for collecting the sludge; a submersible pump (45)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tank (40); a sludge separation pipe (50); and a pressure sensor unit (44).
본 발명은 슬러지분리관을 갖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슬러지 중에서 허용된 크기의 슬러지를 폐수와 함께 하수구에 배출되도록 하고, 남은 슬러지는 수거함에 용이하게 분리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싱크대(10)를 베이스프레임(15)의 상부에 고정하고, 싱크볼(11)의 싱크대배수구(13)와 연결된 슬러지공급구(21)가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5)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하우징(20)과; 상기 베이스하우징(20)의 내부에서 슬러지공급구(21)와 연통되어 음식물쓰레기를 슬러지 상태로 공급받는 교반탱크(25)와; 상기 베이스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모터(31)의 작동으로 교반탱크(25)의 내부에 구비된 교반날개(32)를 회전시켜 슬러지를 혼합 시키는 교반수단(30)과; 상기 교반탱크(25)의 교반배출망(27)을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를 포집하는 저장탱크(40)와; 상기 저장탱크(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어부(24)의 전기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저장탱크(40)의 슬러지를 자동배수구(42)를 통해 배출시키는 수중펌프(45)와; 상기 수중펌프(45)와 자동배수구(42) 사이에 배치되며, 공급된 슬러지를 분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타공직경을 갖는 적어도 2개의 타공관을 외관케이싱(51)의 내부에 조립시켜 구성한 슬러지분리관(50)과; 상기 수중펌프(45)와 슬러지분리관(50) 사이에 배치되어, 타공관의 막힘 상태를 센싱하여 제어부(24)에 전달하는 압력센서부(44)를 포함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분쇄된 슬러지를 교반 숙성시키면서 수중펌프의 압력을 이용해 슬러지와 폐수를 분리하며 허용된 크기의 슬러지를 폐수와 함께 배출시켜 음식물쓰레기를 간편하게 하수처리하면서도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타공관 및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슬러지가 허용된 크기로 강제 배출되게 하여 타공관의 내부청소와 하수관의 배관 막힘 및 역류현상을 방지하고, 관리 및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상품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추고 있다.
Food waste treatment device with sludge separation pi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treatment device with a sludge separation pipe, which improves use convenience, comprising: a base housing (20); a stirring tank (25); a stirring means (30) for mixing a sludge; a storage tank (40) for collecting the sludge; a submersible pump (45)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tank (40); a sludge separation pipe (50); and a pressure sensor unit (44).
본 발명은 슬러지분리관을 갖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슬러지 중에서 허용된 크기의 슬러지를 폐수와 함께 하수구에 배출되도록 하고, 남은 슬러지는 수거함에 용이하게 분리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싱크대(10)를 베이스프레임(15)의 상부에 고정하고, 싱크볼(11)의 싱크대배수구(13)와 연결된 슬러지공급구(21)가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5)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하우징(20)과; 상기 베이스하우징(20)의 내부에서 슬러지공급구(21)와 연통되어 음식물쓰레기를 슬러지 상태로 공급받는 교반탱크(25)와; 상기 베이스하우징(20)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모터(31)의 작동으로 교반탱크(25)의 내부에 구비된 교반날개(32)를 회전시켜 슬러지를 혼합 시키는 교반수단(30)과; 상기 교반탱크(25)의 교반배출망(27)을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를 포집하는 저장탱크(40)와; 상기 저장탱크(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어부(24)의 전기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저장탱크(40)의 슬러지를 자동배수구(42)를 통해 배출시키는 수중펌프(45)와; 상기 수중펌프(45)와 자동배수구(42) 사이에 배치되며, 공급된 슬러지를 분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타공직경을 갖는 적어도 2개의 타공관을 외관케이싱(51)의 내부에 조립시켜 구성한 슬러지분리관(50)과; 상기 수중펌프(45)와 슬러지분리관(50) 사이에 배치되어, 타공관의 막힘 상태를 센싱하여 제어부(24)에 전달하는 압력센서부(44)를 포함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분쇄된 슬러지를 교반 숙성시키면서 수중펌프의 압력을 이용해 슬러지와 폐수를 분리하며 허용된 크기의 슬러지를 폐수와 함께 배출시켜 음식물쓰레기를 간편하게 하수처리하면서도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타공관 및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슬러지가 허용된 크기로 강제 배출되게 하여 타공관의 내부청소와 하수관의 배관 막힘 및 역류현상을 방지하고, 관리 및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상품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추고 있다.
Food waste treatment device with sludge separation pipe
슬러지분리관을 갖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O HAE HOON (Autor:in)
10.05.2023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BYPASS PIPE
Europäisches Patentamt | 2018
|Anaerobic treatment of sludge, industrial waste water and industrial waste from food industry
BASE | 2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