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H H-beam having tube upper-flange
본 발명은 H형 본체의 상부 플랜지의 상부에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압축저항요소로 작용하도록 압축 플랜지 보강체를 부착함으로써, 단면의 중립축을 순수 강재로 이루어진 H형강의 수평대칭축 보다 중립축 위치가 상부로 이동하여 하부 플랜지의 효율성이 증대되어 단면의 휨강도와 휨강성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압축 플랜지 보강체는 단면의 수직대칭축(약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 값을 증가시켜서 일반 H형강 단면 보다 우수하여 휨-비틀림좌굴에 대한 저항성도 증가하여 비틀림에도 우수한 성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시공중 공사 작업자의 이동을 위한 안전로프지주홀 및 발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플랫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플랫판을 갖는 압축 플랜지 보강체가 구성된 H형 단면의 강재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수평 판형상의 상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에서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성되는 하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폭방향 중앙부를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H형 본체와; 수평 판 형상의 플랫판과 플랫판의 폭방향 양측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복수의 콘크리트 타설구가 통공되어 구성되는 측면판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측면판의 거리가 상부 플랜지의 폭보다 일정거리 짧게 형성되며, 측면판의 하단부가 H형 본체의 상부 플랜지의 상부면에 구성되는 압축 플랜지 보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H H-beam having tube upper-flange
본 발명은 H형 본체의 상부 플랜지의 상부에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압축저항요소로 작용하도록 압축 플랜지 보강체를 부착함으로써, 단면의 중립축을 순수 강재로 이루어진 H형강의 수평대칭축 보다 중립축 위치가 상부로 이동하여 하부 플랜지의 효율성이 증대되어 단면의 휨강도와 휨강성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압축 플랜지 보강체는 단면의 수직대칭축(약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 값을 증가시켜서 일반 H형강 단면 보다 우수하여 휨-비틀림좌굴에 대한 저항성도 증가하여 비틀림에도 우수한 성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시공중 공사 작업자의 이동을 위한 안전로프지주홀 및 발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플랫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플랫판을 갖는 압축 플랜지 보강체가 구성된 H형 단면의 강재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수평 판형상의 상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에서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성되는 하부 플랜지와,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폭방향 중앙부를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H형 본체와; 수평 판 형상의 플랫판과 플랫판의 폭방향 양측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복수의 콘크리트 타설구가 통공되어 구성되는 측면판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측면판의 거리가 상부 플랜지의 폭보다 일정거리 짧게 형성되며, 측면판의 하단부가 H형 본체의 상부 플랜지의 상부면에 구성되는 압축 플랜지 보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H H-beam having tube upper-flange
안전 플랫판을 갖는 압축 플랜지 보강체가 구성된 H형 단면의 강재보
05.10.2023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