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본 발명은 송전탑에 올라 송전탑 또는 고압전선을 유지보수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추락방지기구(B)가 개구부(24)를 통과하여 지지구(A)의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개폐바(40)는 토션스프링(44)의 탄성에 의해 다시 수평방향으로 복귀되고, 상기 데드볼트(42)는 상기 결합공(26)에 결합되어, 다시 개구부(24)를 막음으로써, 지지프레임(20)의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와이로프(13)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반대로, 작업자가 추락방지기구(B)의 상면으로 캠부재(43)의 하단을 상측으로 눌러 가압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원리로, 데드볼트(42)와 결합공(26)의 결합이 해제되고, 개폐바(40)가 상측으로 회동됨으로써, 추락방지기구(B)가 지지구(A)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지구(A)가 설치된 위치에서, 추락방지기구(B)를 와이로프(13)에서 분리한 후, 추락방지기구(B)를 와이어의 다른 부분에 다시 결합할 필요가 없음으로, 작업이 더욱 용이해지고, 추락방지기구(B)를 풀어서 다시 결합하는 사이에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송전탑에 올라 송전탑 또는 고압전선을 유지보수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추락방지기구(B)가 개구부(24)를 통과하여 지지구(A)의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개폐바(40)는 토션스프링(44)의 탄성에 의해 다시 수평방향으로 복귀되고, 상기 데드볼트(42)는 상기 결합공(26)에 결합되어, 다시 개구부(24)를 막음으로써, 지지프레임(20)의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와이로프(13)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반대로, 작업자가 추락방지기구(B)의 상면으로 캠부재(43)의 하단을 상측으로 눌러 가압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원리로, 데드볼트(42)와 결합공(26)의 결합이 해제되고, 개폐바(40)가 상측으로 회동됨으로써, 추락방지기구(B)가 지지구(A)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지구(A)가 설치된 위치에서, 추락방지기구(B)를 와이로프(13)에서 분리한 후, 추락방지기구(B)를 와이어의 다른 부분에 다시 결합할 필요가 없음으로, 작업이 더욱 용이해지고, 추락방지기구(B)를 풀어서 다시 결합하는 사이에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afety device for power line tower
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HO KYONG HEE (Autor:in)
12.04.2024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Safety construction device for power transmission line iron tower assembly
Europäisches Patentamt | 2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