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Boundary Guide Structure Between Adjacent Areas
본 발명은 잔디구역, 화단, 산책로 등의 배수(排水) 및 투수(透水)가 요구되는 경계구역을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되는 인접구역간의 경계가이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ㄴ'자로 절곡되어 배수구가 형성된 수직부와 절곡홈이 형성되어 바닥면과 접하는 수평부로 형성된 가이드 본체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직선으로 형성된 구역의 시공뿐 아니라 수평부의 절곡홈을 절곡시켜 곡선으로 형성된 구역의 시공도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연장부재를 고정하여 수직부의 높이를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가이드 본체를 연결하여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시 모서리 부분의 연결이 브라켓에 의하여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져 구조체의 조립성이 매우 향상되어 잔디를 식재할 수 있는 잔디블럭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인접구역간의 경계가이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Boundary Guide Structure Between Adjacent Areas
본 발명은 잔디구역, 화단, 산책로 등의 배수(排水) 및 투수(透水)가 요구되는 경계구역을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되는 인접구역간의 경계가이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ㄴ'자로 절곡되어 배수구가 형성된 수직부와 절곡홈이 형성되어 바닥면과 접하는 수평부로 형성된 가이드 본체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직선으로 형성된 구역의 시공뿐 아니라 수평부의 절곡홈을 절곡시켜 곡선으로 형성된 구역의 시공도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연장부재를 고정하여 수직부의 높이를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가이드 본체를 연결하여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시 모서리 부분의 연결이 브라켓에 의하여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져 구조체의 조립성이 매우 향상되어 잔디를 식재할 수 있는 잔디블럭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인접구역간의 경계가이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Boundary Guide Structure Between Adjacent Areas
인접구역간의 경계가이드 구조체
PARK JOON SEOG (Autor:in)
16.10.2024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Europäisches Patentamt | 2016
|Seismicity of Israel and adjacent areas
British Library Conference Proceedings | 1994
|Land acquisition and control of adjacent areas
Engineering Index Backfile | 19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