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eramic tile for a salt farm is in the shape of a square with a side of approximately 13-15 cm and the thickness of approximately 12-16 mm, has angles of inclination of approximately 45° in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and is made of a raw material including Korean kaolin, pottery soil, Malaysian white clay, and Malaysian kaolin. Preferably, a black glaze is applied to the ceramic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an evaporation effect of seawater by using radiant heat. The raw material preferably contains 30-40 wt% of Korean kaolin, 40-50 wt% of pottery soil, 5-15 wt% of Malaysian white clay, and 5-15 wt% of Malaysian kaolin. The ceramic tile for a salt fa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mixing the Korean kaolin, the pottery soil, the Malaysian white clay, and the Malaysian kaolin at a mixing ratio stated earlier and grinding the same in a ball mill; sieving the ground raw material composition by using a 200 mesh powder sieve; making the sieved raw material composition into the shape of a ceramic tile by a press process; drying the ceramic tile shape for 24 hours; applying a glaze to an upper side of the dried tile; and sintering the tile to which the glaze has been applied in a fire furnace at 1250°C for three hours.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세라믹 타일은 한 변이 약 13 내지 15cm이고, 두께가 약 12 내지 16mm인 정사각형 형태로서, x축과 y축 방향으로 각각 약 45°의 기울기를 갖고, 국내산 고령토, 옹기토, 말레이시아산 백토, 및 말레이시아산 카올린을 포함하는 원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라믹 타일은 복사열을 이용한 바닷물의 증발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부에 검정색 유약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내산 고령토는 30 내지 40 중량%, 옹기토는 40 내지 50 중량%, 말레이시아산 백토는 5 내지 15 중량%, 말레이시아산 카올린은 5 내지 1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의 국내산 고령토, 옹기토, 말레이시아산 백토 및 말레이시아산 카올린을 혼합하여 볼 밀(ball mill)에서 분쇄하고, 분쇄된 원료조성물을 200 메쉬 분체로 거르고, 분체된 원료조성물을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하여 세라믹 타일 형상을 제조하고, 상기 세라믹 타일 형상을 24시간 건조시키고, 건조된 타일 상부면에 유약을 도포하고, 유약이 도포된 타일을 1250℃ 불가마에서 3시간 소성시켜 본 발명의 염전용 세라믹 타일을 제조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eramic tile for a salt farm is in the shape of a square with a side of approximately 13-15 cm and the thickness of approximately 12-16 mm, has angles of inclination of approximately 45° in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and is made of a raw material including Korean kaolin, pottery soil, Malaysian white clay, and Malaysian kaolin. Preferably, a black glaze is applied to the ceramic t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an evaporation effect of seawater by using radiant heat. The raw material preferably contains 30-40 wt% of Korean kaolin, 40-50 wt% of pottery soil, 5-15 wt% of Malaysian white clay, and 5-15 wt% of Malaysian kaolin. The ceramic tile for a salt fa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mixing the Korean kaolin, the pottery soil, the Malaysian white clay, and the Malaysian kaolin at a mixing ratio stated earlier and grinding the same in a ball mill; sieving the ground raw material composition by using a 200 mesh powder sieve; making the sieved raw material composition into the shape of a ceramic tile by a press process; drying the ceramic tile shape for 24 hours; applying a glaze to an upper side of the dried tile; and sintering the tile to which the glaze has been applied in a fire furnace at 1250°C for three hours.
본 발명에 따른 염전용 세라믹 타일은 한 변이 약 13 내지 15cm이고, 두께가 약 12 내지 16mm인 정사각형 형태로서, x축과 y축 방향으로 각각 약 45°의 기울기를 갖고, 국내산 고령토, 옹기토, 말레이시아산 백토, 및 말레이시아산 카올린을 포함하는 원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라믹 타일은 복사열을 이용한 바닷물의 증발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부에 검정색 유약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내산 고령토는 30 내지 40 중량%, 옹기토는 40 내지 50 중량%, 말레이시아산 백토는 5 내지 15 중량%, 말레이시아산 카올린은 5 내지 1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의 국내산 고령토, 옹기토, 말레이시아산 백토 및 말레이시아산 카올린을 혼합하여 볼 밀(ball mill)에서 분쇄하고, 분쇄된 원료조성물을 200 메쉬 분체로 거르고, 분체된 원료조성물을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하여 세라믹 타일 형상을 제조하고, 상기 세라믹 타일 형상을 24시간 건조시키고, 건조된 타일 상부면에 유약을 도포하고, 유약이 도포된 타일을 1250℃ 불가마에서 3시간 소성시켜 본 발명의 염전용 세라믹 타일을 제조한다.
CERAMIC TILE FOR SALT FIELD
염전용 타일
YUN SANG TAE (Autor:in)
10.12.2015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C04B
Kalk
,
LIME
Seawater Block Structure with Frame and Ceramic Tile for Salt Field
Europäisches Patentamt | 2017
|Heating ceramic tile, ceramic tile structure and preparation method for heating ceramic tile
Europäisches Patentamt | 2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