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COUNTER BALANCE VALVE FOR HEAVY EQUIP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nter balance valve to control flow of a working fluid discharged from a hydraulic pump to be transmitted to a hydraulic motor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counter balance valve for heavy equipment, which can stably maintain an output to drive heavy equipment when the heavy equipment is driven at a low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nter balance valve for heavy equipment comprises: a valve body wherein a plurality of flow paths, a spool mounting unit, and a damping chamber are formed; a spool mounted in the spool mounting unit, wherein a through hole interconnecting the flow paths and the damping chamber is formed; a damping member placed in the damping chamber, wherein a first connection path and an accommodating unit are formed; and a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damping member. The damping member includes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accommodating unit.
본 발명은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어 유압모터로 전달되는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중장비용 카운터 밸런스 밸브로서, 특히 저속 주행시에 중장비의 주행을 위한 출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중장비용 카운터 밸런스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중장비용 카운터 밸런스 밸브는, 유압펌프와 유압모터를 연결하는 복수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스풀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풀장착부 양측에 각각 댐핑실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본체; 상기 스풀장착부에 장착되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유로를 개폐하여 상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유로와 댐핑실을 연통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스풀; 상기 댐핑실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공과 댐핑실을 연통시키는 제1 연결로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유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댐핑부재; 및 상기 댐핑부재를 상기 스풀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댐핑부재는 서로 결합하여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댐핑실과 연통되는 제1 오리피스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제2 오리피스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 오리피스와 제2 오리피스를 연결하여 상기 수용부로 상기 작동유가 유입되거나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작동유가 배출되도록 하는 제2 연결로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유가 통과하는 상기 제2 연결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1 오리피스 및 제2 오리피스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COUNTER BALANCE VALVE FOR HEAVY EQUIP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nter balance valve to control flow of a working fluid discharged from a hydraulic pump to be transmitted to a hydraulic motor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counter balance valve for heavy equipment, which can stably maintain an output to drive heavy equipment when the heavy equipment is driven at a low sp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nter balance valve for heavy equipment comprises: a valve body wherein a plurality of flow paths, a spool mounting unit, and a damping chamber are formed; a spool mounted in the spool mounting unit, wherein a through hole interconnecting the flow paths and the damping chamber is formed; a damping member placed in the damping chamber, wherein a first connection path and an accommodating unit are formed; and a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damping member. The damping member includes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accommodating unit.
본 발명은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어 유압모터로 전달되는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중장비용 카운터 밸런스 밸브로서, 특히 저속 주행시에 중장비의 주행을 위한 출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중장비용 카운터 밸런스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중장비용 카운터 밸런스 밸브는, 유압펌프와 유압모터를 연결하는 복수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스풀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풀장착부 양측에 각각 댐핑실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본체; 상기 스풀장착부에 장착되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유로를 개폐하여 상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유로와 댐핑실을 연통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스풀; 상기 댐핑실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공과 댐핑실을 연통시키는 제1 연결로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유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댐핑부재; 및 상기 댐핑부재를 상기 스풀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댐핑부재는 서로 결합하여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댐핑실과 연통되는 제1 오리피스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제2 오리피스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 오리피스와 제2 오리피스를 연결하여 상기 수용부로 상기 작동유가 유입되거나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작동유가 배출되도록 하는 제2 연결로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유가 통과하는 상기 제2 연결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1 오리피스 및 제2 오리피스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COUNTER BALANCE VALVE FOR HEAVY EQUIPMENT
중장비용 카운터 밸런스 밸브
LEE SEUNG HYUN (Autor:in)
12.01.2016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COUNTER BALANCE VALVE AND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PROVIDED WITH COUNTER BALANCE VALVE
Europäisches Patentamt | 2018
|COUNTER BALANCE VALVE AND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PROVIDED WITH COUNTER BALANCE VALVE
Europäisches Patentamt |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