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THE FILTERING NET OF A WATERWAY FOR A SIN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filter net for a sink.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users to easily brush food wastes out. According to the drain filter net for a sink, the drain filter net (6) comprises: a filter net (4); and a filter net cover (5). According to the filter net (4),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11) are formed at intervals on an upper surface of a ring-shaped upper flange (10), and a floor plate (14) is installed to be spaced from the upper flange (10) formed below the upper flange (10).
본 발명은 싱크대용 배수구거름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름망의 원형관부를 부드러운 철망이나 질긴 망사와 같은 플랙시블 망체로 형성한 뒤에 이 플랙시블 망체가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신축되고 구성하며, 거름망커버를 거름망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되 거름망커버의 중앙부 저면에 거름망의 내부에 받쳐진 음식물찌꺼기를 압축하는 하방누름부를 형성하고, 거름망의 내측 바닥면에는 플랙시블 망체를 탄력적으로 털기 위한 털기손잡이를 설치함으로써, 거름망의 내부로 음식물찌꺼기가 물과 함께 유입될 때 물기가 빠르게 배수되게 함과 아울러 거름망커버를 눌러서 음식물찌꺼기를 압착할 때에도 음식물찌꺼기에서 짜지는 물기가 빠르게 배수되게 하며, 음식물찌꺼기를 제거한 뒤에 털기손잡이를 당겼다 놓으면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바닥판이 튕겨나갔다가 정지할 때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해 플랙시블 망체에 묻은 음식물찌꺼기를 간편하게 털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싱크대 개수통(2)의 중앙부 저부에 배수통(3)이 설치되며, 이 배수통(3)에는 배수구거름망(6)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싱크대용 배수구거름망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거름망(6)은 상부가 개방된 통형태의 거름망(4)과 그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거름망커버(5)를 포함하며, 상기 거름망(4)은 링형 상부플랜지(10)의 상면에 수개의 걸림구멍(1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부플랜지(10)의 하방에는 다수개의 배수통공(15)을 구비한 바닥판(14)을 상부플랜지(10)와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상부플랜지(10)의 수직부(13)와 바닥판(14)의 수직부(16) 사이에는 튜브형 플랙시블 망체(18)가 스프링(19)에 의해 신축되게 설치되고, 상기 플랙시블 망체(18)의 상하부는 상부플랜지(10)의 수직부(13)와, 바닥판(14)의 수직부(16)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설치되며, 상기 거름망커버(5)는 원반형으로 형성되는 본체(23)의 외주연에 상부플랜지(10)에 얹히는 상부걸림테(24)가 형성되고, 이 상부걸림테(24)의 저면에는 상부플랜지(10)의 걸림구멍(11)과 착탈식으로 걸리는 걸림핀(25)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본체(23)의 중앙부에는 저면이 하향 돌출된 하방누름부(26)가 본체(23)의 상면보다 낮게 경사부(27)와 연결 형성되며, 경사부(27)의 하부와 하방누름부(26)의 외주연 사이에는 수개의 배수구멍(28)이 하측을 향하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LTERING NET OF A WATERWAY FOR A SIN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filter net for a sink.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users to easily brush food wastes out. According to the drain filter net for a sink, the drain filter net (6) comprises: a filter net (4); and a filter net cover (5). According to the filter net (4),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11) are formed at intervals on an upper surface of a ring-shaped upper flange (10), and a floor plate (14) is installed to be spaced from the upper flange (10) formed below the upper flange (10).
본 발명은 싱크대용 배수구거름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름망의 원형관부를 부드러운 철망이나 질긴 망사와 같은 플랙시블 망체로 형성한 뒤에 이 플랙시블 망체가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신축되고 구성하며, 거름망커버를 거름망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되 거름망커버의 중앙부 저면에 거름망의 내부에 받쳐진 음식물찌꺼기를 압축하는 하방누름부를 형성하고, 거름망의 내측 바닥면에는 플랙시블 망체를 탄력적으로 털기 위한 털기손잡이를 설치함으로써, 거름망의 내부로 음식물찌꺼기가 물과 함께 유입될 때 물기가 빠르게 배수되게 함과 아울러 거름망커버를 눌러서 음식물찌꺼기를 압착할 때에도 음식물찌꺼기에서 짜지는 물기가 빠르게 배수되게 하며, 음식물찌꺼기를 제거한 뒤에 털기손잡이를 당겼다 놓으면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바닥판이 튕겨나갔다가 정지할 때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해 플랙시블 망체에 묻은 음식물찌꺼기를 간편하게 털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싱크대 개수통(2)의 중앙부 저부에 배수통(3)이 설치되며, 이 배수통(3)에는 배수구거름망(6)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싱크대용 배수구거름망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거름망(6)은 상부가 개방된 통형태의 거름망(4)과 그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거름망커버(5)를 포함하며, 상기 거름망(4)은 링형 상부플랜지(10)의 상면에 수개의 걸림구멍(1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부플랜지(10)의 하방에는 다수개의 배수통공(15)을 구비한 바닥판(14)을 상부플랜지(10)와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상부플랜지(10)의 수직부(13)와 바닥판(14)의 수직부(16) 사이에는 튜브형 플랙시블 망체(18)가 스프링(19)에 의해 신축되게 설치되고, 상기 플랙시블 망체(18)의 상하부는 상부플랜지(10)의 수직부(13)와, 바닥판(14)의 수직부(16)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설치되며, 상기 거름망커버(5)는 원반형으로 형성되는 본체(23)의 외주연에 상부플랜지(10)에 얹히는 상부걸림테(24)가 형성되고, 이 상부걸림테(24)의 저면에는 상부플랜지(10)의 걸림구멍(11)과 착탈식으로 걸리는 걸림핀(25)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본체(23)의 중앙부에는 저면이 하향 돌출된 하방누름부(26)가 본체(23)의 상면보다 낮게 경사부(27)와 연결 형성되며, 경사부(27)의 하부와 하방누름부(26)의 외주연 사이에는 수개의 배수구멍(28)이 하측을 향하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LTERING NET OF A WATERWAY FOR A SINK
싱크대용 배수구거름망
MUN PIL JUN (Autor:in)
23.09.2016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3C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
Hausinstallationen für Frisch- oder Abwasser
Compressor - Type a double filtering net of a waterway for a sink
Europäisches Patentamt | 2018
|FILTERING NET OF A WATERWAY FOR A SINK AND FOOD WASTES REFRIGERATOR USED FOR THE SAME
Europäisches Patentamt |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