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CEILING ATTACHMENT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material attachment structure capable of combining a ceiling finishing member with a bottom of a carrying clip in a carrying channel through an attaching unit. The ceiling finishing member comprises: an indented part and the other indented part formed on both ends respectively; and a hook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upper part of the indented parts. The attaching unit is formed into an L-shape to insert a lower horizontal insertion piece of the attaching unit into the indented part and the other indented part of the finishing member. A vertical hooking piece, curved upwards, is integrated with a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insertion piece. The vertical hooking piece is hung on the bottom of the carrying clip.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eventing pollution of the surroundings by improving a work environment as well as being easily combined with the bottom of the carrying channel through the carrying clip.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nhancing productivity while reducing costs, and extend its lifespan using a stronger steel than an existing attaching unit.
이 발명은 천정재 탈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발명은 캐링찬넬에 구비된 캐링클립의 하부로 천정마감재가 부착구에 의하여 결합된 천정재 탈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천정마감재는 양측단부에 각각 일측요부와 타측요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일측요부와 타측요부의 내측상부에 걸림홈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부착구는 L자형태로 형성되어 천정마감재의 일측요부 또는 타측요부에 상기 부착구의 하부 수평삽입편이 삽입되어지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평삽입편의 일측 또는 타측에 상부를 향하여 절곡된 수직걸림편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수직걸림편이 캐링클립의 하부에 걸려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발명은 캐링클립에 의하여 캐링찬넬의 하부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작업환경이 개선되도록 하여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가격을 더 낮출 수 있도록 하고, 기존 부착구에 비해 강도가 높은 스틸로 구비되도록 하여 수명이 더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EILING ATTACHMENT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material attachment structure capable of combining a ceiling finishing member with a bottom of a carrying clip in a carrying channel through an attaching unit. The ceiling finishing member comprises: an indented part and the other indented part formed on both ends respectively; and a hook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upper part of the indented parts. The attaching unit is formed into an L-shape to insert a lower horizontal insertion piece of the attaching unit into the indented part and the other indented part of the finishing member. A vertical hooking piece, curved upwards, is integrated with a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insertion piece. The vertical hooking piece is hung on the bottom of the carrying clip.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eventing pollution of the surroundings by improving a work environment as well as being easily combined with the bottom of the carrying channel through the carrying clip.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nhancing productivity while reducing costs, and extend its lifespan using a stronger steel than an existing attaching unit.
이 발명은 천정재 탈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발명은 캐링찬넬에 구비된 캐링클립의 하부로 천정마감재가 부착구에 의하여 결합된 천정재 탈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천정마감재는 양측단부에 각각 일측요부와 타측요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일측요부와 타측요부의 내측상부에 걸림홈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부착구는 L자형태로 형성되어 천정마감재의 일측요부 또는 타측요부에 상기 부착구의 하부 수평삽입편이 삽입되어지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평삽입편의 일측 또는 타측에 상부를 향하여 절곡된 수직걸림편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수직걸림편이 캐링클립의 하부에 걸려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발명은 캐링클립에 의하여 캐링찬넬의 하부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작업환경이 개선되도록 하여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가격을 더 낮출 수 있도록 하고, 기존 부착구에 비해 강도가 높은 스틸로 구비되도록 하여 수명이 더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EILING ATTACHMENT STRUCTURE
천정재 부착 구조
KIM SUNG JU (Autor:in) / CHOE AN SUK (Autor:in) / KIM JONG HWA (Autor:in)
02.03.2017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4B
Allgemeine Baukonstruktionen
,
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Ceiling baffle attachment structure and ceiling system
Europäisches Patentamt | 2024
|CEILING BAFFLE ATTACHMENT STRUCTURE AND CEILING SYSTEM
Europäisches Patentamt | 2023
|CEILING BAFFLE ATTACHMENT STRUCTURE AND CEILING SYSTEM
Europäisches Patentamt | 2023
|CEILING JOIST ATTACHMENT MEMBER AND SUSPENDED CEILING STRUCTURE
Europäisches Patentamt | 2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