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he device for a public toilet door. The lathe device comprises: a lathe member; a lathe fixing support; a latch member; a slide bar; a tensile coil spring; and a lathe support cover.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door to be easily locked and unlocked.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중화장실 도어의 내측면에 90도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각종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반장치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 회전축부 및 회전축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연결축부와, 상기 연결축부가 형성된 회전축부의 반대 측에 형성되어 소지품을 받쳐두기 위한 선반부와, 상기 연결축부와 선반부 사이의 회전축부 양측에 내부와 통하는 안내홈부가 형성된 선반부재와; 전면 횡 방향에 상기 선반부재의 회전축부를 수용하는 호형의 축수용부와, 축수용부 내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재의 안내홈부가 후면측으로 노출되고, 연결축부가 관통되는 통공부와, 통공부의 후면 상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힌지축부와, 제1힌지축부 일측에 나란히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편과, 가이드편이 형성된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2힌지축부와, 상기 축수용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스프링지지축부와, 상기 제1힌지축부가 형성된 양 측면에 형성되는 작동홈부가 포함되는 구성으로 도어에 체결나사의 체결로서 고정되는 선반고정대와; 상기 선반고정대의 제1힌지축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와 경계를 이루는 고정패널측의 걸림부재에 걸려져 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시키거나 해제하는 걸쇠부재와; 상기 선반고정대의 제2힌지축부에 안내되는 장공부를 갖고, 상기 장공부 일측에는 선반부재의 연결축부에 결합되는 연결공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편에 안내되어 걸쇠부재의 일측을 밀어 회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바와; 상기 선반고정대의 스프링지지축부와 걸쇠부재에 양단이 연결되어 걸쇠부재에 탄성을 부여하는 인장코일스프링과; 상기 선반고정대의 축수용부의 전면에 고정설치되어 90도 각도로 회동된 선반부의 저면 측을 받쳐 지지하는 선반받침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선반부의 간단한 올림과 내림 동작으로 걸쇠부재를 통한 도어를 손쉽게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고, 선반부를 통해서는 소지품을 올려놓고, 용변을 마치고 도어를 열고 나올 때 잊지 않고 챙길 수 있으며, 선반의 폴딩은 도어측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반부로 하여금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도어의 경첩 및 고정패널의 위치에 따라 좌우 구분없이 걸쇠부재, 슬라이딩바, 인장코일스프링의 위치만 손쉽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he device for a public toilet door. The lathe device comprises: a lathe member; a lathe fixing support; a latch member; a slide bar; a tensile coil spring; and a lathe support cover.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door to be easily locked and unlocked.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중화장실 도어의 내측면에 90도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각종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반장치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 회전축부 및 회전축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연결축부와, 상기 연결축부가 형성된 회전축부의 반대 측에 형성되어 소지품을 받쳐두기 위한 선반부와, 상기 연결축부와 선반부 사이의 회전축부 양측에 내부와 통하는 안내홈부가 형성된 선반부재와; 전면 횡 방향에 상기 선반부재의 회전축부를 수용하는 호형의 축수용부와, 축수용부 내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재의 안내홈부가 후면측으로 노출되고, 연결축부가 관통되는 통공부와, 통공부의 후면 상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힌지축부와, 제1힌지축부 일측에 나란히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편과, 가이드편이 형성된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2힌지축부와, 상기 축수용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스프링지지축부와, 상기 제1힌지축부가 형성된 양 측면에 형성되는 작동홈부가 포함되는 구성으로 도어에 체결나사의 체결로서 고정되는 선반고정대와; 상기 선반고정대의 제1힌지축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와 경계를 이루는 고정패널측의 걸림부재에 걸려져 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시키거나 해제하는 걸쇠부재와; 상기 선반고정대의 제2힌지축부에 안내되는 장공부를 갖고, 상기 장공부 일측에는 선반부재의 연결축부에 결합되는 연결공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편에 안내되어 걸쇠부재의 일측을 밀어 회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바와; 상기 선반고정대의 스프링지지축부와 걸쇠부재에 양단이 연결되어 걸쇠부재에 탄성을 부여하는 인장코일스프링과; 상기 선반고정대의 축수용부의 전면에 고정설치되어 90도 각도로 회동된 선반부의 저면 측을 받쳐 지지하는 선반받침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선반부의 간단한 올림과 내림 동작으로 걸쇠부재를 통한 도어를 손쉽게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고, 선반부를 통해서는 소지품을 올려놓고, 용변을 마치고 도어를 열고 나올 때 잊지 않고 챙길 수 있으며, 선반의 폴딩은 도어측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반부로 하여금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도어의 경첩 및 고정패널의 위치에 따라 좌우 구분없이 걸쇠부재, 슬라이딩바, 인장코일스프링의 위치만 손쉽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Lathe device for public toilet door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CHO KWANG IL (Autor:in)
20.04.2017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Non-contact lock for public toilet door and public toilet door applying the same
Europäisches Patentamt | 2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