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Connecting apparatus of composit pile
본 발명은 복합말뚝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PHC말뚝의 상부에 강관말뚝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말뚝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말뚝연결구를 통해 다양한 직경과 두께를 갖는 강관말뚝의 이음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말뚝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링형태로 형성되어 PHC말뚝의 두부에 설치되고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말뚝의 선단이 놓여지게 되는 연결판몸체와, 상기 연결판몸체의 하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PHC말뚝의 두부에 안착되고 돌출된 사이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받침부와, 상기 연결판몸체의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홈과 동일 선상에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연결판몸체와 받침부를 관통하여 PHC말뚝의 두부에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나사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말뚝연결판; 상기 말뚝연결판의 슬라이딩홈으로 삽입되어 말뚝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일측단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으로 끼워지고 연결판몸체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강관말뚝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밀착되어 체결부재를 통해 강관말뚝에 체결됨으로써 강관말뚝을 고정해주는 말뚝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Connecting apparatus of composit pile
본 발명은 복합말뚝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PHC말뚝의 상부에 강관말뚝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말뚝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말뚝연결구를 통해 다양한 직경과 두께를 갖는 강관말뚝의 이음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말뚝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링형태로 형성되어 PHC말뚝의 두부에 설치되고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말뚝의 선단이 놓여지게 되는 연결판몸체와, 상기 연결판몸체의 하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PHC말뚝의 두부에 안착되고 돌출된 사이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받침부와, 상기 연결판몸체의 가장자리에서 내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홈과 동일 선상에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연결판몸체와 받침부를 관통하여 PHC말뚝의 두부에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나사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말뚝연결판; 상기 말뚝연결판의 슬라이딩홈으로 삽입되어 말뚝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일측단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으로 끼워지고 연결판몸체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강관말뚝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밀착되어 체결부재를 통해 강관말뚝에 체결됨으로써 강관말뚝을 고정해주는 말뚝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Connecting apparatus of composit pile
복합말뚝 이음장치
CHOI SEONG HEE (Autor:in)
09.06.2017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2D
FOUNDATIONS
,
Gründungen
Online Contents | 2011
British Library Online Contents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