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The multifunctional saddle apparatus for water pi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ddle device for multifunctional water supply pipes. Specifically, a lower saddle portion (4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pipe (70), and an upper saddle portion (41)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pipe (70). As such, the saddle device for multifunctional water supply pipes facilitates effective response to leakage and subsequent maintenance.
본 발명은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이다. 그 구체적인 수단은, 상수도관(70)에서 외주면의 저부에는 하부새들부(40)가 위치되고, 상수도관(70)에서 외주면의 상부에는 상부새들부(41)가 위치되어 안착볼트(44)로 결합되되, 상기 안착볼트(44)는 상부새들부(41)와 하부새들부(40)의 사이에 끼워지는 볼트보호구(50)의 관통부(51)를 관통하면서 장착되고, 상기 상부새들부(41)의 상부에는 안착부(42)가 돌출 형성되며, 안착부(42)의 중앙에는 통수부(4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새들부(41)의 안착부(42)에는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의 대면부(12)가 면대면으로 맞닿으면서 결합볼트(13)로 체결되며,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의 몸체부(11)에는 표면으로 세개의 개구부(3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끼움홈(31)이 형성된 삼방볼(30)이 내장되고, 상기 몸체부(11)에서 일측방에는 기어박스(2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박스(20)의 대면쪽 몸체부(11)의 타측방에는 분기관(71)을 연결하기 위한 수평통수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1)의 직상방에는 상기 수평통수부(14)와 수직하게 수직통수부(15)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박스(20)의 수평측에는 중앙에 제1기어(23)가 형성된 수평조작대(22)가 설치되되, 상기 제1기어(23)의 선단에는 끼움구(24)가 형성되어 상기 삼방볼(30)의 끼움홈(31)에 끼워지고, 상기 기어박스(20)의 수직측으로는 선단에 제2기어(26)가 형성된 수직조작대(25)가 장착되어, 상기 수평조작대(22)의 제1기어(23)와 수직조작대(25)의 제2기어(26)가 교차 방식으로 치합되며, 상기 기어박스(20)의 상부에는 수직조작대(25)를 관통하면서 박스덮개(21)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조작대(25)에는 수직조작연장부(81)가 끼워지며, 상기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는 새들장치부보호통(90)으로 둘러 싸이고, 상기 새들장치부보호통(90)의 상부에는 수직조작연장부(81)가 내장되도록 철개부보호통(83)이 입설되며, 상기 철개부보호통(83)의 상부에는 지수철개(84)가 안착되는 구성이다.
The multifunctional saddle apparatus for water pi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ddle device for multifunctional water supply pipes. Specifically, a lower saddle portion (4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pipe (70), and an upper saddle portion (41)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pipe (70). As such, the saddle device for multifunctional water supply pipes facilitates effective response to leakage and subsequent maintenance.
본 발명은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이다. 그 구체적인 수단은, 상수도관(70)에서 외주면의 저부에는 하부새들부(40)가 위치되고, 상수도관(70)에서 외주면의 상부에는 상부새들부(41)가 위치되어 안착볼트(44)로 결합되되, 상기 안착볼트(44)는 상부새들부(41)와 하부새들부(40)의 사이에 끼워지는 볼트보호구(50)의 관통부(51)를 관통하면서 장착되고, 상기 상부새들부(41)의 상부에는 안착부(42)가 돌출 형성되며, 안착부(42)의 중앙에는 통수부(4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새들부(41)의 안착부(42)에는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의 대면부(12)가 면대면으로 맞닿으면서 결합볼트(13)로 체결되며,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의 몸체부(11)에는 표면으로 세개의 개구부(3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끼움홈(31)이 형성된 삼방볼(30)이 내장되고, 상기 몸체부(11)에서 일측방에는 기어박스(2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박스(20)의 대면쪽 몸체부(11)의 타측방에는 분기관(71)을 연결하기 위한 수평통수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1)의 직상방에는 상기 수평통수부(14)와 수직하게 수직통수부(15)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박스(20)의 수평측에는 중앙에 제1기어(23)가 형성된 수평조작대(22)가 설치되되, 상기 제1기어(23)의 선단에는 끼움구(24)가 형성되어 상기 삼방볼(30)의 끼움홈(31)에 끼워지고, 상기 기어박스(20)의 수직측으로는 선단에 제2기어(26)가 형성된 수직조작대(25)가 장착되어, 상기 수평조작대(22)의 제1기어(23)와 수직조작대(25)의 제2기어(26)가 교차 방식으로 치합되며, 상기 기어박스(20)의 상부에는 수직조작대(25)를 관통하면서 박스덮개(21)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조작대(25)에는 수직조작연장부(81)가 끼워지며, 상기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는 새들장치부보호통(90)으로 둘러 싸이고, 상기 새들장치부보호통(90)의 상부에는 수직조작연장부(81)가 내장되도록 철개부보호통(83)이 입설되며, 상기 철개부보호통(83)의 상부에는 지수철개(84)가 안착되는 구성이다.
The multifunctional saddle apparatus for water pipe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
YOON BYUNG HWA (Autor:in)
08.12.2017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3B
Anlagen oder Verfahren zum Gewinnen, Sammeln oder Verteilen von Wasser
,
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SADDLE APPARATUS FOR STOP VALVE INTEGRATED TYPE MULTI-FUNCTION WATER PIPE
Europäisches Patentamt | 2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