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riental toilet opening frame comprises: a body unit (300) having a body unit external wall (310) in which a toilet (200) is mounted, a washing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port (350), and a toilet holder (370); a body height adjustment unit (400); a common duct unit (500); and a common duct height adjustment unit (600). Moreover, as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is closely fixated to a slab mold at a toilet position, when depositing a slab, an opening for mounting an oriental toilet is formed.
동양식변기 설치 시 변기두름테(250)가 화장실바닥에 밀착이 되며 개구된 하부를 통해 세척수급수관 및 오수관(290)을 연결하고 화장실바닥 및 변기주변을 훼손하거나 변형시키지 않고 변기의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에 있어서 변기테두리 모양의 하부가 개구된 타원통 형상으로 변기(200)가 안착되는 본체부외벽(310)과, 변기거치턱(230)이 거치되는 변기받침테(330)를, 성형하며 내부 전면상부에 형성된 세척수급수관연결구(350)와, 중앙 하부에 형성되어 변기사이펀부분의 외관이 거치되어 변기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변기거치대(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부(300)와; 본체부(300)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타설되는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본체부외벽(310) 높이를 조절하고 개구된 하부를 통해 오수관을 연결하며 덮개(430)로 하부를 개폐하는 본체높이조절부(400)와; 하부가 개구된 박스 형태로 하부에서 세척수급수관 및 세척수밸브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공동구부외벽(510)을 성형하며 상면 위로 세척수밸브고정구(530)와, 배관작업구(570)와, 세척수급수관인입구(550)를, 성형하는 공동구부(500)와; 공동구부(500)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타설되는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공동구부(500)의 높이를 조절하고 개구된 하부를 통해 세척수급수관 및 세척수밸브를 연결하며 덮개(630)로 하부를 개폐하는 공동구높이조절부(60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변기위치의 슬래브 거푸집에 하부가 밀착 고정되어 슬래브 타설 시 동양식변기안착용 개구부가 성형이 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riental toilet opening frame comprises: a body unit (300) having a body unit external wall (310) in which a toilet (200) is mounted, a washing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port (350), and a toilet holder (370); a body height adjustment unit (400); a common duct unit (500); and a common duct height adjustment unit (600). Moreover, as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is closely fixated to a slab mold at a toilet position, when depositing a slab, an opening for mounting an oriental toilet is formed.
동양식변기 설치 시 변기두름테(250)가 화장실바닥에 밀착이 되며 개구된 하부를 통해 세척수급수관 및 오수관(290)을 연결하고 화장실바닥 및 변기주변을 훼손하거나 변형시키지 않고 변기의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에 있어서 변기테두리 모양의 하부가 개구된 타원통 형상으로 변기(200)가 안착되는 본체부외벽(310)과, 변기거치턱(230)이 거치되는 변기받침테(330)를, 성형하며 내부 전면상부에 형성된 세척수급수관연결구(350)와, 중앙 하부에 형성되어 변기사이펀부분의 외관이 거치되어 변기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변기거치대(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부(300)와; 본체부(300)의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타설되는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본체부외벽(310) 높이를 조절하고 개구된 하부를 통해 오수관을 연결하며 덮개(430)로 하부를 개폐하는 본체높이조절부(400)와; 하부가 개구된 박스 형태로 하부에서 세척수급수관 및 세척수밸브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공동구부외벽(510)을 성형하며 상면 위로 세척수밸브고정구(530)와, 배관작업구(570)와, 세척수급수관인입구(550)를, 성형하는 공동구부(500)와; 공동구부(500) 내부 하부에 설치되어 타설되는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공동구부(500)의 높이를 조절하고 개구된 하부를 통해 세척수급수관 및 세척수밸브를 연결하며 덮개(630)로 하부를 개폐하는 공동구높이조절부(60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변기위치의 슬래브 거푸집에 하부가 밀착 고정되어 슬래브 타설 시 동양식변기안착용 개구부가 성형이 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에 관한 것이다.
Oriental toilet opening frame
동양식변기개구부 성형틀
HAN EUN HYE (Autor:in)
14.02.2018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3D
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
Wasserklosetts oder Urinale mit Spülvorrichtungen
TOILET DOOR OPENING/CLOSING SWITCH AND AUTOMATIC TOILET DOOR SYSTEM
Europäisches Patentamt | 2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