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Bonded Type Ring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vegetation block, which is constructed on a slope (1). The vegetation block includes: lower blocks (100)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lope (1); and upper blocks (200) coupling a plurality of the lower blocks (100)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block can be easily constructed on the vegetation slope for greening the slope and can secure an increasing number of vegetation spaces only by using fewer materials. Additionally, coupling force between the blocks can be maximized so that the vegetation bloc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본 발명에 따르면 사면(1)에 시공되는 식생블록에 있어서, 사면(1)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 블록(100); 및 복수의 상기 하부 블록(100)을 결합시키는 상부 블록(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은 사면 녹화를 위한 식생 사면의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적은 수의 부재만으로도 더 많은 수의 식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블록 간의 결합력을 극대화하여 식생블록의 유실이나 망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Bonded Type Ring Vegeta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vegetation block, which is constructed on a slope (1). The vegetation block includes: lower blocks (100)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lope (1); and upper blocks (200) coupling a plurality of the lower blocks (100)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block can be easily constructed on the vegetation slope for greening the slope and can secure an increasing number of vegetation spaces only by using fewer materials. Additionally, coupling force between the blocks can be maximized so that the vegetation bloc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본 발명에 따르면 사면(1)에 시공되는 식생블록에 있어서, 사면(1)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 블록(100); 및 복수의 상기 하부 블록(100)을 결합시키는 상부 블록(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은 사면 녹화를 위한 식생 사면의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적은 수의 부재만으로도 더 많은 수의 식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블록 간의 결합력을 극대화하여 식생블록의 유실이나 망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Bonded Type Ring Vegetation Block
결합 고리형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식생 사면을 형성하는 방법
KIM MYOUNGHWAN (Autor:in) / LEE DU HAN (Autor:in) / KIM JONG MIN (Autor:in)
18.06.2020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