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Double blind curtain with tape-belt divided into two
A double blind curtain includes: a body frame (100) comprising an upper plate (110) forming an upper surface, a side plate (120) and one or more dividing plates (130); a B driving part (200) comprising a first rotation direction selecting part (501), a winding rod connector (290a), a second auxiliary pulley gear (511d) and a tape belt B (28B); a D driving part (300) comprising a second rotation direction selecting part (502), a winding rod connector (290b), a second auxiliary pulley gear (512d) and a tape belt D (28D); a connection driving part (400) comprising a third rotation direction selecting part (503) and a fourth rotation direction selecting part (504); and a curtain part (600). Therefore, the double blind curtain can innovatively innovate a functional limitation of an existing technique to maximize practicality and durability.
상면을 이루는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의 저면 양측에 구비되되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측면판(120)과, 상기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1개 이상의 구획판(130)으로 이루어진 몸체프레임(100)과;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 걸림돌기(55-1)가 구비된 센터축(551)과, 상기 센터축(551) 일측면에 설치되며 볼체인(571c)이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센터스프로켓(571)과, 센터축(551)에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일측면에 일방향연결구(52-b)가 구비되고 주풀리1차기어(511a)에 치합되는 제2아이들기어클러치(521b)와, 센터축(551)에 공회전하고 제2아이들기어클러치(521b)에 소정의 간격 및 마주보는 일 측면에 일방향연결구(52-a)가 구비되고 보조풀리1차기어(511c)와 치합하는 제1아이들기어클러치(521a)와, 제1,2아이들기어클러치(521a,521b) 사이에 위치하며 몸체 내측면에 너트홈(53-1)이 구비되고 몸체가 구획판(130)의 축공(15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센터너트(531)와, 상기 센터너트(531) 내측부에서 회동하는 것으로서 몸통중심에 미끄럼홀(54-2)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55-1)의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볼트몸통(54-1) 양측면에 일방향연결구(54-a,54-b)가 구비되며 볼트몸통(54-1) 외주면에 볼트나사산(54-3)이 구비된 센터볼트(541)로 구성된 제1회전방향선택부(501)와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주풀리축(27B1)과 주풀리축(27B1)에 상시결합되어 회동하는 주풀리(26B1)와 상기 제1회전방향선택부(501)의 제2아이들기어클러치(521b)와 치합되어 주풀리(26B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풀리1차기어(511a)와 주풀리(26B1)에 전달된 회전력을 연결구동부(400)의 센터기어(563)으로 치합 전달하는 주풀리2차기어(511b)와 주풀리(26B1)에 생성된 회전력을 권취봉(630a)에 연결하는 권취봉연결구(290a)와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보조풀리축(27B2)에 상시결합되어 회동하는 보조풀리(26B2)와 상기 제1회전방향선택부(501)의 제1아이들기어클러치(521a)와 치합되어 보조풀리(26B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보조풀리1차기어(511c)와 보조풀리(26B2)에 전달된 회전력을 연결구동부(400)의 센터기어(564)로 치합 전달하는 보조풀리2차기어(511d)와 상기 주풀리(26B1)의 회전력 혹은 보조풀리(26B2)의 회전력을 상호 연결하고 주풀리(26B1)와 보조풀리(26B2)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적층식으로 권취되는 테잎벨트B(28B)로 구성된 B구동부(200)와;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에 설치되고 제1회전방향선택부(50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 제2회전방향선택부(502)와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주풀리축(27D1)과 주풀리축(27D1)에 상시결합되어 회동하는 주풀리(26D1)와 상기 제2회전방향선택부(502)의 제1아이들기어클러치(522a)와 치합되어 주풀리(26D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풀리1차기어(512a)와 주풀리(26D1)에 전달된 회전력을 연결구동부(400)의 연결기어셋(240)으로 치합 전달하는 주풀리2차기어(512b)와 주풀리(27D1)에 생성된 회전력을 권취봉(630b)에 연결하는 권취봉연결구(290b)와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보조풀리축(27D2)에 상시결합되어 회동하는 보조풀리(26D2)와 상기 제2회전방향선택부(502)의 제2아이들기어클러치(522b)와 치합되어 보조풀리(26D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보조풀리1차기어(512c)와 보조풀리(26D2)에 전달된 회전력을 연결구동부(400)의 연결기어셋(230)로 치합 전달하는 보조풀리2차기어(512d)와 상기 주풀리(26D1)의 회전력 혹은 보조풀리(26D2)의 회전력을 상호 연결하고 주풀리(26D1)와 보조풀리(26D2)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적층식으로 권취되는 테잎벨트D(28D)로 구성된 D구동부(300)과;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제1회전방향선택부(501)과 같은 구성이나 센터스프로켓(571)을 대체한 센터기어(563)이 구비되고, 상기 B구동부(200)의 주풀리2차기어(511b)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D구동부(300)의 보조풀리2차기어(512d)에 전달하기 위해 제2아이들기어클러치(523b)와 치합하여 설치된 연결기어셋(230)이 구비된 제3회전방향선택부(503)과,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제1회전방향선택부(501)과 같은 구성이나 센터스프로켓(571)을 대체한 센터기어(564)가 구비되고, 상기 B구동부(200)의 보조풀리2차기어(511d)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D구동부(300)의 주풀리2차기어(512b)에 전달하기 위해 제1아이들기어클러치(524a)와 치합하여 설치된 연결기어셋(240)이 구비된 제4회전방향선택부(504)를 포함하는 연결구동부(400)과;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과 측면판(12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주풀리축(27B1,27D1)의 회전력이 권취봉연결구(290a,290b)에 의해 연결된 권취봉(630a)에 일단이 권취 되어 있고 타단은 또다른 권취봉(630b)에 권취되어 있되 1장 이상의 다양한 패턴지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커튼지(610)와, 상기 양단에 권취 되어 있는 커튼지(610)의 중앙에 중량바(620)가 구비되어 있는 커튼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블라인드 커튼.
Double blind curtain with tape-belt divided into two
A double blind curtain includes: a body frame (100) comprising an upper plate (110) forming an upper surface, a side plate (120) and one or more dividing plates (130); a B driving part (200) comprising a first rotation direction selecting part (501), a winding rod connector (290a), a second auxiliary pulley gear (511d) and a tape belt B (28B); a D driving part (300) comprising a second rotation direction selecting part (502), a winding rod connector (290b), a second auxiliary pulley gear (512d) and a tape belt D (28D); a connection driving part (400) comprising a third rotation direction selecting part (503) and a fourth rotation direction selecting part (504); and a curtain part (600). Therefore, the double blind curtain can innovatively innovate a functional limitation of an existing technique to maximize practicality and durability.
상면을 이루는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의 저면 양측에 구비되되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측면판(120)과, 상기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1개 이상의 구획판(130)으로 이루어진 몸체프레임(100)과;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 걸림돌기(55-1)가 구비된 센터축(551)과, 상기 센터축(551) 일측면에 설치되며 볼체인(571c)이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센터스프로켓(571)과, 센터축(551)에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일측면에 일방향연결구(52-b)가 구비되고 주풀리1차기어(511a)에 치합되는 제2아이들기어클러치(521b)와, 센터축(551)에 공회전하고 제2아이들기어클러치(521b)에 소정의 간격 및 마주보는 일 측면에 일방향연결구(52-a)가 구비되고 보조풀리1차기어(511c)와 치합하는 제1아이들기어클러치(521a)와, 제1,2아이들기어클러치(521a,521b) 사이에 위치하며 몸체 내측면에 너트홈(53-1)이 구비되고 몸체가 구획판(130)의 축공(15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센터너트(531)와, 상기 센터너트(531) 내측부에서 회동하는 것으로서 몸통중심에 미끄럼홀(54-2)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55-1)의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볼트몸통(54-1) 양측면에 일방향연결구(54-a,54-b)가 구비되며 볼트몸통(54-1) 외주면에 볼트나사산(54-3)이 구비된 센터볼트(541)로 구성된 제1회전방향선택부(501)와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주풀리축(27B1)과 주풀리축(27B1)에 상시결합되어 회동하는 주풀리(26B1)와 상기 제1회전방향선택부(501)의 제2아이들기어클러치(521b)와 치합되어 주풀리(26B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풀리1차기어(511a)와 주풀리(26B1)에 전달된 회전력을 연결구동부(400)의 센터기어(563)으로 치합 전달하는 주풀리2차기어(511b)와 주풀리(26B1)에 생성된 회전력을 권취봉(630a)에 연결하는 권취봉연결구(290a)와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보조풀리축(27B2)에 상시결합되어 회동하는 보조풀리(26B2)와 상기 제1회전방향선택부(501)의 제1아이들기어클러치(521a)와 치합되어 보조풀리(26B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보조풀리1차기어(511c)와 보조풀리(26B2)에 전달된 회전력을 연결구동부(400)의 센터기어(564)로 치합 전달하는 보조풀리2차기어(511d)와 상기 주풀리(26B1)의 회전력 혹은 보조풀리(26B2)의 회전력을 상호 연결하고 주풀리(26B1)와 보조풀리(26B2)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적층식으로 권취되는 테잎벨트B(28B)로 구성된 B구동부(200)와;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에 설치되고 제1회전방향선택부(50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 제2회전방향선택부(502)와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주풀리축(27D1)과 주풀리축(27D1)에 상시결합되어 회동하는 주풀리(26D1)와 상기 제2회전방향선택부(502)의 제1아이들기어클러치(522a)와 치합되어 주풀리(26D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풀리1차기어(512a)와 주풀리(26D1)에 전달된 회전력을 연결구동부(400)의 연결기어셋(240)으로 치합 전달하는 주풀리2차기어(512b)와 주풀리(27D1)에 생성된 회전력을 권취봉(630b)에 연결하는 권취봉연결구(290b)와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보조풀리축(27D2)에 상시결합되어 회동하는 보조풀리(26D2)와 상기 제2회전방향선택부(502)의 제2아이들기어클러치(522b)와 치합되어 보조풀리(26D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보조풀리1차기어(512c)와 보조풀리(26D2)에 전달된 회전력을 연결구동부(400)의 연결기어셋(230)로 치합 전달하는 보조풀리2차기어(512d)와 상기 주풀리(26D1)의 회전력 혹은 보조풀리(26D2)의 회전력을 상호 연결하고 주풀리(26D1)와 보조풀리(26D2)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적층식으로 권취되는 테잎벨트D(28D)로 구성된 D구동부(300)과;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제1회전방향선택부(501)과 같은 구성이나 센터스프로켓(571)을 대체한 센터기어(563)이 구비되고, 상기 B구동부(200)의 주풀리2차기어(511b)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D구동부(300)의 보조풀리2차기어(512d)에 전달하기 위해 제2아이들기어클러치(523b)와 치합하여 설치된 연결기어셋(230)이 구비된 제3회전방향선택부(503)과,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제1회전방향선택부(501)과 같은 구성이나 센터스프로켓(571)을 대체한 센터기어(564)가 구비되고, 상기 B구동부(200)의 보조풀리2차기어(511d)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D구동부(300)의 주풀리2차기어(512b)에 전달하기 위해 제1아이들기어클러치(524a)와 치합하여 설치된 연결기어셋(240)이 구비된 제4회전방향선택부(504)를 포함하는 연결구동부(400)과; 상기 몸체프레임(100) 상판(110)의 저면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축공(150)이 천공되어 있는 구획판(130)과 측면판(120)에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주풀리축(27B1,27D1)의 회전력이 권취봉연결구(290a,290b)에 의해 연결된 권취봉(630a)에 일단이 권취 되어 있고 타단은 또다른 권취봉(630b)에 권취되어 있되 1장 이상의 다양한 패턴지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커튼지(610)와, 상기 양단에 권취 되어 있는 커튼지(610)의 중앙에 중량바(620)가 구비되어 있는 커튼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블라인드 커튼.
Double blind curtain with tape-belt divided into two
분할된 테잎벨트가 구비된 이중블라인드커튼
CHEN CHOON KOO (Autor:in)
08.10.2020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6B
Feste oder bewegliche Abschlüsse für Öffnungen in Bauwerken, Fahrzeugen, Zäunen oder ähnlichen Einfriedungen allgemein, z.B. Türen, Fenster, Läden, Tore
,
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