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SEWER COVER ON FLO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drainage for a layered pipe, which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easily installed, comprising: a cover frame provided with a water catchment area; a main body unit formed in an enclosure shape; an internal member; and a drainage connecto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unit.
욕실 바닥의 잡배수를 집수하여 외부의 배수관으로 배수하는 배수육가(1)를 개시한다. 이러한 배수육가(1)는, 커버틀(11)과, 본체부(12), 내입부재(20) 및 배수연결관(13)을 가진다. 상기 커버틀(11)은, 욕실 바닥의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집수부(11b)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부(12)는, 집수부(11b)의 내측으로 내입부재 장착홀(H)이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틀(11)과 일체로 연결된 측벽(12a), 및 내입부재 장착홀(H)을 향해 바닥면(12b)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측벽(12a)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 봉수막(14)을 구비하여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입부재(20)는, 내입부재 장착홀(H)에 끼워져서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본체부(12)에 안착되는 내입관부(22), 및 내입관부(22)에 연통하여 잡배수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되며 봉수막(14)과의 사이에서 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봉수막(14)의 내측에서 봉수막(14)보다 낮은 높이로 본체부(12)의 바닥면(12b)부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는 봉수관(2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연결관(13)은, 봉수막(14)을 통과한 잡배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부(12)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배수육가(1)는, 커버틀(11)과 본체부(12)가 일체로 성형되고 봉수막(14)이 본체부(12) 내에 일체로 성형되고 있어 부품수가 줄고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한 구조로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어 낮은 높이의 층상배관 바닥층 시공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SEWER COVER ON FLO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drainage for a layered pipe, which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easily installed, comprising: a cover frame provided with a water catchment area; a main body unit formed in an enclosure shape; an internal member; and a drainage connecto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unit.
욕실 바닥의 잡배수를 집수하여 외부의 배수관으로 배수하는 배수육가(1)를 개시한다. 이러한 배수육가(1)는, 커버틀(11)과, 본체부(12), 내입부재(20) 및 배수연결관(13)을 가진다. 상기 커버틀(11)은, 욕실 바닥의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집수부(11b)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부(12)는, 집수부(11b)의 내측으로 내입부재 장착홀(H)이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틀(11)과 일체로 연결된 측벽(12a), 및 내입부재 장착홀(H)을 향해 바닥면(12b)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고 측벽(12a)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 봉수막(14)을 구비하여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입부재(20)는, 내입부재 장착홀(H)에 끼워져서 잡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본체부(12)에 안착되는 내입관부(22), 및 내입관부(22)에 연통하여 잡배수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되며 봉수막(14)과의 사이에서 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봉수막(14)의 내측에서 봉수막(14)보다 낮은 높이로 본체부(12)의 바닥면(12b)부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는 봉수관(2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연결관(13)은, 봉수막(14)을 통과한 잡배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부(12)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배수육가(1)는, 커버틀(11)과 본체부(12)가 일체로 성형되고 봉수막(14)이 본체부(12) 내에 일체로 성형되고 있어 부품수가 줄고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한 구조로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어 낮은 높이의 층상배관 바닥층 시공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SEWER COVER ON FLOOR
층상배관용 배수육가
KIM BEOMJU (Autor:in) / HA HUNIL (Autor:in)
17.04.2023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3F
SEWERS
,
Abwasserkanä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