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Seismic reinforcement lightweight partition wall using fixed wi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reinforcement lightweight partition wall using a fixing wire which fastens a fixing wire to penetrate a lightweight partition wall, and fixes an end of the fixing wire to a settling part on the outside of a lightweight board to increase the internal force of the lightweight partition wall when an earthquake breaks out to minimize deformation or damage and allow quick and easy restoration to the original state when deformation occu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ismic reinforcement lightweight partition wall using a fixing wire comprises: a pair of runners consisting of a pair of sidewall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connection plate connecting the pair of sidewalls and fixed on a slab to be fixed on the lower surface of a ceiling and the upper surface of a lower slab; a stud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insert an end thereof between the sidewalls of the runners; a pair of lightweight board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tud and the runners; a plurality of fixing wires fastened through the stud, the sidewalls of the runners, and the lightweight boards; and a settling part fixed on ends of the fixing wires on the outside of the lightweight boards.
본 발명은 경량칸막이벽을 관통하도록 고정와이어를 체결하되, 고정와이어의 단부를 경량보드의 외측면에서 정착구로 고정함으로써, 지진 발생 시 경량칸막이벽의 내력을 증가시켜 변형이나 손상을 최소화하고 변형 발생 시 원상태로 복원이 신속하고 용이한 고정와이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경량칸막이벽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고정와이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경량칸막이벽은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을 연결하는 것으로 슬래브에 고정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어, 각각 하부 슬래브의 상면과 천장의 하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런너; 각 런너의 측벽 사이에 단부가 삽입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터드; 상기 런너와 스터드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경량보드; 상기 경량보드와 런너의 측벽과 스터드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복수의 고정와이어; 및 상기 경량보드의 외측면에서 고정와이어의 단부에 고정되는 정착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eismic reinforcement lightweight partition wall using fixed wi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reinforcement lightweight partition wall using a fixing wire which fastens a fixing wire to penetrate a lightweight partition wall, and fixes an end of the fixing wire to a settling part on the outside of a lightweight board to increase the internal force of the lightweight partition wall when an earthquake breaks out to minimize deformation or damage and allow quick and easy restoration to the original state when deformation occu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ismic reinforcement lightweight partition wall using a fixing wire comprises: a pair of runners consisting of a pair of sidewall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connection plate connecting the pair of sidewalls and fixed on a slab to be fixed on the lower surface of a ceiling and the upper surface of a lower slab; a stud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insert an end thereof between the sidewalls of the runners; a pair of lightweight board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tud and the runners; a plurality of fixing wires fastened through the stud, the sidewalls of the runners, and the lightweight boards; and a settling part fixed on ends of the fixing wires on the outside of the lightweight boards.
본 발명은 경량칸막이벽을 관통하도록 고정와이어를 체결하되, 고정와이어의 단부를 경량보드의 외측면에서 정착구로 고정함으로써, 지진 발생 시 경량칸막이벽의 내력을 증가시켜 변형이나 손상을 최소화하고 변형 발생 시 원상태로 복원이 신속하고 용이한 고정와이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경량칸막이벽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고정와이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경량칸막이벽은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을 연결하는 것으로 슬래브에 고정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어, 각각 하부 슬래브의 상면과 천장의 하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런너; 각 런너의 측벽 사이에 단부가 삽입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터드; 상기 런너와 스터드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경량보드; 상기 경량보드와 런너의 측벽과 스터드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복수의 고정와이어; 및 상기 경량보드의 외측면에서 고정와이어의 단부에 고정되는 정착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eismic reinforcement lightweight partition wall using fixed wire
고정와이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경량칸막이벽
KIM TAE JIN (Autor:in) / CHU YURIM (Autor:in)
15.09.2023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Seismic reinforcement lightweight partition wall using fixed wire
Europäisches Patentamt | 2024
Brick wall partition for seismic reinforcement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of
Europäisches Patentamt | 2020
Brick wall partition for seismic reinforcement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of
Europäisches Patentamt | 2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