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평면의 벽 및 곡면의 가구 외면에 부착하여 마감하는 인테리어 내장재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내장재는 판상의 파형(波形)으로 구비되며, 부착면의 외측으로 볼록한 장식부와, 부착면 방향으로 오목한 'U'형태의 탄성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의 폭은 장식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장식부는 곡선형의 호(弧) 형상, '┍┑'형상 및 '∩'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테리어 내장재(10)의 일면은 도장(塗裝) 또는 장식시트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테리어 내장재는 탄성적으로 휘어져 평면은 물론 오목, 볼록 곡면에도 시공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부분의 인테리어 장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탄성력이 있는 경량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가공 및 시공이 간편하고 작업자가 원활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습도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욕실 벽면이나 욕실장의 외측면을 장식하는 마감재로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평면의 벽 및 곡면의 가구 외면에 부착하여 마감하는 인테리어 내장재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내장재는 판상의 파형(波形)으로 구비되며, 부착면의 외측으로 볼록한 장식부와, 부착면 방향으로 오목한 'U'형태의 탄성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의 폭은 장식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장식부는 곡선형의 호(弧) 형상, '┍┑'형상 및 '∩'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테리어 내장재(10)의 일면은 도장(塗裝) 또는 장식시트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테리어 내장재는 탄성적으로 휘어져 평면은 물론 오목, 볼록 곡면에도 시공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부분의 인테리어 장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탄성력이 있는 경량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가공 및 시공이 간편하고 작업자가 원활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습도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욕실 벽면이나 욕실장의 외측면을 장식하는 마감재로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terior material
인테리어 내장재
KIM SANG WOO (Autor:in)
19.02.2024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METAL INTERIOR MATERIAL AND INTERIOR MATERIAL ATTACHMENT STRUCTURE
Europäisches Patentamt | 2023
|METAL INTERIOR MATERIAL AND INTERIOR MATERIAL ATTACHMENT STRUCTURE
Europäisches Patentamt | 2021
|INTERIOR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IOR MATERIAL
Europäisches Patentamt | 2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