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에코리프블록이 개시된다. 상기 에코리프블록은 바닥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세워질 시 하단부가 바닥면에 면접촉되도록 하단부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모따기된 형태의 소파블록지지면과, 상부 및 하부가 연결되도록 하고 어로 및 식생공간을 이루는 소파블록식생공간과, 소파블록식생공간의 양측 상부면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소파블록결합돌부와, 상단 상부면에 돌출되고 물결이 부딪히면서 파감쇄되는 소파턱과,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소파블록결합홈과, 좌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만입되어 형성되는 제1 접합홈과, 좌우 측면 중 다른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접합돌기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측으로 들린 상태를 유지하여서 바닥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며 좌우 방향으로 맞닿은 상태로 연속 배열되어서 파감쇄 및 식생공간을 형성하는 단위소파블록들; 바닥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세워질 시 하단부가 바닥면에 면접촉되도록 하단부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모따기된 형태의 제1연결블록지지면과, 상부 및 하부가 연결되도록 하고 식생공간을 이루는 제1연결블록식생공간과, 상부면에 볼록하게 형성되어서 단위소파블록이 결합되는 제1연결블록결합돌부와,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단위소파블록에 결합되는 제1연결블록결합홈과, 좌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만입되어 형성되는 제2 접합홈과, 좌우 측면 중 다른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접합돌기로 이루어지며, 좌우방향으로 연속배열된 단위소파블록들 중 최외측의 두 단위소파블록들을 지지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단위소파블록들 사이의 공간들에 각각 구비되어서 파감쇄 및 식생공간을 형성하는 제1연결블록들; 바닥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세워질 시 하단부가 바닥면에 면접촉되도록 하단부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모따기된 형태의 제2연결블록지지면과, 상부 및 하부가 연결되도록 하고 어도 및 식생공간을 이루는 제2연결블록식생공간과, 상부면에 볼록하게 형성되어서 단위소파블록이 결합되는 제2연결블록결합돌부와,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단위소파블록에 결합되는 제2연결블록결합홈과, 좌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만입되어 형성되는 제3 접합홈과, 좌우 측면 중 다른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 접합돌기로 이루어지며,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두 단위소파블록들의 이음부위 및 전후방향으로 배열된 단위소파블록들 사이에 구비되어서 배열된 다수의 단위소파블록들이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파감쇄 및 식생공간을 형성하는 제2연결블록들; 전체가 바닥면에 면접촉되는 받침블록지지면과, 상부면이 단위소파블록, 제1연결블록, 제2연결블록이 이루는 예각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이들을 지지하는 블록지지면과, 블록지지면에 볼록하게 돌출되어서 단위소파블록이 결합되는 받침블록결합돌부와, 좌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만입되어 형성되는 제4접합홈과, 좌우 측면 중 다른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4접합돌기로 이루어지며, 최후방에 좌우방향으로 배열된 단위소파블록들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어서 단위소파블록들, 제1연결블록들, 제2연결블록들이 바닥면에 대해 예각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받침블록들로 이루어지며; 소파블록결합홈, 제1연결블록결합홈, 제2연결블록결합홈은,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때 사다리꼴 홈 형태로 이루어지고, 소파블록결합돌부, 제1연결블록결합돌부, 제2연결블록결합돌부, 받침블록결합돌부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때 사다리꼴 돌부 형태로 이루어져서, 제1연결블록, 제2연결블록을 수직 하부로 내려서 받침블록 상에 안착시키거나, 단위소파블록을 수직 하부로 내려서 제1연결블록, 제2연결블록 상에 안착시킬 때에, 소파블록결합홈, 제1연결블록결합홈, 제2연결블록결합홈의 경사면 일부가 소파블록결합돌부, 제1연결블록결합돌부, 제2연결블록결합돌부, 받침블록결합돌부의 경사면 일부에 접촉되면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며, 상기 단위소파블록들, 상기 제1연결블록들, 상기 제2연결블록들,상기 받침블록들은 좌우 방향으로 맞닿은 상태로 연속 배열될 때 각 블록들의 상기 접합홈 및 상기 접합돌기가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코리프블록이 개시된다. 상기 에코리프블록은 바닥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세워질 시 하단부가 바닥면에 면접촉되도록 하단부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모따기된 형태의 소파블록지지면과, 상부 및 하부가 연결되도록 하고 어로 및 식생공간을 이루는 소파블록식생공간과, 소파블록식생공간의 양측 상부면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소파블록결합돌부와, 상단 상부면에 돌출되고 물결이 부딪히면서 파감쇄되는 소파턱과,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소파블록결합홈과, 좌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만입되어 형성되는 제1 접합홈과, 좌우 측면 중 다른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접합돌기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측으로 들린 상태를 유지하여서 바닥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며 좌우 방향으로 맞닿은 상태로 연속 배열되어서 파감쇄 및 식생공간을 형성하는 단위소파블록들; 바닥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세워질 시 하단부가 바닥면에 면접촉되도록 하단부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모따기된 형태의 제1연결블록지지면과, 상부 및 하부가 연결되도록 하고 식생공간을 이루는 제1연결블록식생공간과, 상부면에 볼록하게 형성되어서 단위소파블록이 결합되는 제1연결블록결합돌부와,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단위소파블록에 결합되는 제1연결블록결합홈과, 좌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만입되어 형성되는 제2 접합홈과, 좌우 측면 중 다른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접합돌기로 이루어지며, 좌우방향으로 연속배열된 단위소파블록들 중 최외측의 두 단위소파블록들을 지지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단위소파블록들 사이의 공간들에 각각 구비되어서 파감쇄 및 식생공간을 형성하는 제1연결블록들; 바닥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세워질 시 하단부가 바닥면에 면접촉되도록 하단부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모따기된 형태의 제2연결블록지지면과, 상부 및 하부가 연결되도록 하고 어도 및 식생공간을 이루는 제2연결블록식생공간과, 상부면에 볼록하게 형성되어서 단위소파블록이 결합되는 제2연결블록결합돌부와,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단위소파블록에 결합되는 제2연결블록결합홈과, 좌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만입되어 형성되는 제3 접합홈과, 좌우 측면 중 다른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 접합돌기로 이루어지며,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두 단위소파블록들의 이음부위 및 전후방향으로 배열된 단위소파블록들 사이에 구비되어서 배열된 다수의 단위소파블록들이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파감쇄 및 식생공간을 형성하는 제2연결블록들; 전체가 바닥면에 면접촉되는 받침블록지지면과, 상부면이 단위소파블록, 제1연결블록, 제2연결블록이 이루는 예각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이들을 지지하는 블록지지면과, 블록지지면에 볼록하게 돌출되어서 단위소파블록이 결합되는 받침블록결합돌부와, 좌우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만입되어 형성되는 제4접합홈과, 좌우 측면 중 다른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4접합돌기로 이루어지며, 최후방에 좌우방향으로 배열된 단위소파블록들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어서 단위소파블록들, 제1연결블록들, 제2연결블록들이 바닥면에 대해 예각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받침블록들로 이루어지며; 소파블록결합홈, 제1연결블록결합홈, 제2연결블록결합홈은,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때 사다리꼴 홈 형태로 이루어지고, 소파블록결합돌부, 제1연결블록결합돌부, 제2연결블록결합돌부, 받침블록결합돌부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때 사다리꼴 돌부 형태로 이루어져서, 제1연결블록, 제2연결블록을 수직 하부로 내려서 받침블록 상에 안착시키거나, 단위소파블록을 수직 하부로 내려서 제1연결블록, 제2연결블록 상에 안착시킬 때에, 소파블록결합홈, 제1연결블록결합홈, 제2연결블록결합홈의 경사면 일부가 소파블록결합돌부, 제1연결블록결합돌부, 제2연결블록결합돌부, 받침블록결합돌부의 경사면 일부에 접촉되면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며, 상기 단위소파블록들, 상기 제1연결블록들, 상기 제2연결블록들,상기 받침블록들은 좌우 방향으로 맞닿은 상태로 연속 배열될 때 각 블록들의 상기 접합홈 및 상기 접합돌기가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CO REEF BLOCK
에코리프블록
KIM KYU HAN (Autor:in)
04.09.2024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IPC:
E02B
HYDRAULIC ENGINEERING
,
Wasserb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