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Plattform für die Wissenschaft: Bauingenieurwesen, Architektur und Urbanistik
APPARATUS FOR ENGAGING CONCRETE PIPE
본 발명은 장치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안전하게 콘크리트관의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 단축 및 경제성이 높은 콘크리트관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관 체결장치는, 관절형 건설장비의 관절 단부에 장착가능한 콘크리트관 체결장치로서, 상부가 상기 관절 단부에 체결하여 고정되고, 하부에 틸팅축이 구비된 접속부; 상기 접속부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틸팅축과 축회전 가능한 틸팅브라켓이 구비된 틸팅부; 상기 틸팅부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틸팅부의 하방 가상축에 대해 축회전이 가능한 축회전부; 상기 축회전부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축회전부의 좌우 방향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부에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집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PPARATUS FOR ENGAGING CONCRETE PIPE
본 발명은 장치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안전하게 콘크리트관의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 단축 및 경제성이 높은 콘크리트관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관 체결장치는, 관절형 건설장비의 관절 단부에 장착가능한 콘크리트관 체결장치로서, 상부가 상기 관절 단부에 체결하여 고정되고, 하부에 틸팅축이 구비된 접속부; 상기 접속부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틸팅축과 축회전 가능한 틸팅브라켓이 구비된 틸팅부; 상기 틸팅부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틸팅부의 하방 가상축에 대해 축회전이 가능한 축회전부; 상기 축회전부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축회전부의 좌우 방향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부에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한 쌍의 집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PPARATUS FOR ENGAGING CONCRETE PIPE
콘크리트관 체결장치
KIM BONG CHAN (Autor:in) / LEE GI SEOK (Autor:in) / LEE SANG HYUN (Autor:in)
26.11.2024
Patent
Elektronische Ressource
Koreanisch
Engaging type pipe pile connection construction method
Europäisches Patentamt | 2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