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BRANCHING DEVICE AND RAIL TRANSPORTATION SYSTEM
이 분기 장치(D)는,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로부터 분기선 주행로(Rc)에 걸쳐, 이들 주행로의 인측에 배치되어 있는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과,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로부터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에 걸쳐, 이들 주행로의 아웃측에 배치되어 있는 본선 측방 안내 레일(10b)과,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의 가동 레일(25c)의 위치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의 가동 레일(25b)의 위치를 분기선 안내 위치(BP)와 본선 안내 위치(MP)로 전환하는 전환 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이 분기 장치(D)에서는,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분기선 주행로(Rc)에 교차하는 부분(b) 및 분기선 주행로(Rc)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에 교차하는 부분(c)에는 중앙 안내 레일(10)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BRANCHING DEVICE AND RAIL TRANSPORTATION SYSTEM
이 분기 장치(D)는,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로부터 분기선 주행로(Rc)에 걸쳐, 이들 주행로의 인측에 배치되어 있는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과, 근위측 본선 주행로(Ra)로부터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에 걸쳐, 이들 주행로의 아웃측에 배치되어 있는 본선 측방 안내 레일(10b)과, 분기선 측방 안내 레일(20c)의 가동 레일(25c)의 위치 및 본선 측방 안내 레일(20b)의 가동 레일(25b)의 위치를 분기선 안내 위치(BP)와 본선 안내 위치(MP)로 전환하는 전환 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이 분기 장치(D)에서는,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분기선 주행로(Rc)에 교차하는 부분(b) 및 분기선 주행로(Rc)의 주행로 폭 방향의 중앙 위치가 원위측 본선 주행로(Rb)에 교차하는 부분(c)에는 중앙 안내 레일(10)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