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DAMPER ASSEMBLY AND APPARATUS FOR ROTATING DO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의 회전 속도를 달리하여 사용감을 고급스럽게 할 수 있는 댐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는 하우징, 슬라이딩부, 탄성부재 그리고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우징은 점성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다. 슬라이딩부는 일단부에는 제1캠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축 방향으로 안내공이 관통 형성되며, 수용부에 구비되어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탄성부재는 수용부에 구비되고, 일단부는 수용부의 바닥면에 접하며, 타단부는 슬라이딩부에 접하여 슬라이딩부를 제1방향으로 탄발 지지한다. 그리고, 회전부는 안내공으로 삽입되는 축부와, 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캠과 접하는 제2캠을 가지며 하우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2캠은 회전하면서 제1캠을 밀어내어 슬라이딩부가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제1캠이 제1방향으로 이동시 회전하면서 축부를 회전시킨다.
DAMPER ASSEMBLY AND APPARATUS FOR ROTATING DO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의 회전 속도를 달리하여 사용감을 고급스럽게 할 수 있는 댐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퍼 조립체는 하우징, 슬라이딩부, 탄성부재 그리고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우징은 점성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다. 슬라이딩부는 일단부에는 제1캠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축 방향으로 안내공이 관통 형성되며, 수용부에 구비되어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탄성부재는 수용부에 구비되고, 일단부는 수용부의 바닥면에 접하며, 타단부는 슬라이딩부에 접하여 슬라이딩부를 제1방향으로 탄발 지지한다. 그리고, 회전부는 안내공으로 삽입되는 축부와, 축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캠과 접하는 제2캠을 가지며 하우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2캠은 회전하면서 제1캠을 밀어내어 슬라이딩부가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제1캠이 제1방향으로 이동시 회전하면서 축부를 회전시킨다.
DAMPER ASSEMBLY AND APPARATUS FOR ROTATING DOOR HAVING THE SAME
댐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도어 회전장치
2015-06-10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B60J
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
Fenster, Windschutzscheiben und bewegbare Dächer, Türen oder Ähnliches für Fahrzeuge
/
E05F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
Vorrichtungen zum Bewegen der Flügel in die Offen- oder Schließstellung
/
F16F
SPRINGS
,
Federn
A DOOR DAMPER UNIT AND DOOR AUTOMATIC CLO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uropean Patent Office | 2020
|A DOOR DAMPER UNIT AND DOOR AUTOMATIC CLO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uropean Patent Office | 2020
DOOR POSITIONING APPARATUS AND DOOR ASSEMBLY HAVING THE SAME
European Patent Office | 2015
|DOOR POSITIONING APPARATUS AND DOOR ASSEMBLY HAVING THE SAME
European Patent Office |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