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tensile device for tensile angle adjustment and easy to re-tensile
본 발명은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판과 지압판을 포함하여 흙막이띠장에 밀착 고정되는 앵커브래킷은 매설된 인장재와 이룰 수 있는 각도의 원호를 따른 각도조절홈이 측판에 형성되고, 측판에서 각도조절홈의 상부 변은 원호를 이루는 원호부로 구성되며, 원호부에 안착되는 지압판은 각도조절홈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성되어 각도조절홈의 원호각도만큼 유동되며; 지압판에 안착되어 인장된 어스앵커의 인장재를 고정하는 앵커헤드는 인장재와 수직되는 방향의 외주연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되어 앵커헤드가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되, 삽입된 앵커헤드의 걸림홈 위치에 고정구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고정구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걸림홈에 걸리는 고정구가 구성되며, 상부로 재인장수단이 연결되는 재인장연결기를 포함하여; 인장재와 수직이 되도록 지압판을 조정 후, 인장재를 인장하여 앵커헤드에 고정하며, 인장재의 인장력이 약해졌을 시, 앵커헤드를 재인장연결기로 덮고, 고정구로 걸림홈을 걸어 재인장수단으로 재인장함으로써, 인장재를 인장 시, 인장재의 꺽임이 없고, 재인장연결기와의 연결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tensile device for tensile angle adjustment and easy to re-tensile
본 발명은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판과 지압판을 포함하여 흙막이띠장에 밀착 고정되는 앵커브래킷은 매설된 인장재와 이룰 수 있는 각도의 원호를 따른 각도조절홈이 측판에 형성되고, 측판에서 각도조절홈의 상부 변은 원호를 이루는 원호부로 구성되며, 원호부에 안착되는 지압판은 각도조절홈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성되어 각도조절홈의 원호각도만큼 유동되며; 지압판에 안착되어 인장된 어스앵커의 인장재를 고정하는 앵커헤드는 인장재와 수직되는 방향의 외주연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구되어 앵커헤드가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되, 삽입된 앵커헤드의 걸림홈 위치에 고정구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고정구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걸림홈에 걸리는 고정구가 구성되며, 상부로 재인장수단이 연결되는 재인장연결기를 포함하여; 인장재와 수직이 되도록 지압판을 조정 후, 인장재를 인장하여 앵커헤드에 고정하며, 인장재의 인장력이 약해졌을 시, 앵커헤드를 재인장연결기로 덮고, 고정구로 걸림홈을 걸어 재인장수단으로 재인장함으로써, 인장재를 인장 시, 인장재의 꺽임이 없고, 재인장연결기와의 연결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tensile device for tensile angle adjustment and easy to re-tensile
인장각도조절과 재인장이 용이한 인장장치
2015-06-22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2D
FOUNDATIONS
,
Gründungen
European Patent Office | 2018
|TENSILE FORCE ADJUSTMENT APPARATUS AND CONSTRUCTION MACHINE
European Patent Office | 2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