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A movable waterproof wall
본 발명은 제방시설과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부체도로의 폐쇄 및 개방시켜 물의 범람 방지 및 통행을 제한하기 위한 가동식 차수판에 관한 것으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제방시설과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부체도로에 설치하여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가동식 차수판에 있어서, 상기 제방시설과 부체도로 사이에 형성되며, 물의 범람을 막기 위한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을 기립 및 전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유압기기와, 상기 유압기기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유압기기의 작동에 의해 차단판을 기립 또는 전도시키기 위한 제1, 2 지지대로 구성된 차단부와; 상기 차단판을 기립 및 전도시킬 수 있도록 차단판에 연결되어 있는 유압기기와, 상기 차단판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판으로 구성된 차단부와; 하천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하천변에 설치되는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와 제방시설에 설치되어 제방시설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로 구성된 센서부와; 상기 차단부 및 센서부와 연동되어 차단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져 있어,평상시에는 부체도로에서 매립되어 있다가 하천 범람시에는 차단부의 차단판이 기립되어 파라펫과 함께 하천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방시설과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부체도로 상에 설치되어 하천변 또는 제방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수위가 상승하였을 경우에 차단부의 차단판이 기립되어 하천 또는 제방시설의 물이 도로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제방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차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지지대를 통해 중량이 많이 나가는 차단판의 기립 및 전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에 경사판을 추가로 구성하여 제방역할을 하지 않을 때에는 방지턱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제방시설 내의 물의 수위와 하천의 수위가 일정 레벨까지 내려간 상황에서만 차단부의 차단판이 작동하기 때문에 위험 수위시 차량 또는 사람의 통행을 제한할 수 있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부 및 센서부와 연동되는 제어부를 중앙관제실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제방변의 통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movable waterproof wall
본 발명은 제방시설과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부체도로의 폐쇄 및 개방시켜 물의 범람 방지 및 통행을 제한하기 위한 가동식 차수판에 관한 것으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제방시설과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부체도로에 설치하여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가동식 차수판에 있어서, 상기 제방시설과 부체도로 사이에 형성되며, 물의 범람을 막기 위한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을 기립 및 전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유압기기와, 상기 유압기기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유압기기의 작동에 의해 차단판을 기립 또는 전도시키기 위한 제1, 2 지지대로 구성된 차단부와; 상기 차단판을 기립 및 전도시킬 수 있도록 차단판에 연결되어 있는 유압기기와, 상기 차단판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판으로 구성된 차단부와; 하천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하천변에 설치되는 하천변 수위 감지센서와 제방시설에 설치되어 제방시설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제방변 수위 감지센서로 구성된 센서부와; 상기 차단부 및 센서부와 연동되어 차단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져 있어,평상시에는 부체도로에서 매립되어 있다가 하천 범람시에는 차단부의 차단판이 기립되어 파라펫과 함께 하천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방시설과 도로 사이를 연결하는 부체도로 상에 설치되어 하천변 또는 제방변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수위가 상승하였을 경우에 차단부의 차단판이 기립되어 하천 또는 제방시설의 물이 도로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제방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차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지지대를 통해 중량이 많이 나가는 차단판의 기립 및 전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에 경사판을 추가로 구성하여 제방역할을 하지 않을 때에는 방지턱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제방시설 내의 물의 수위와 하천의 수위가 일정 레벨까지 내려간 상황에서만 차단부의 차단판이 작동하기 때문에 위험 수위시 차량 또는 사람의 통행을 제한할 수 있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부 및 센서부와 연동되는 제어부를 중앙관제실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제방변의 통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movable waterproof wall
가동식 차수판
2015-08-06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2B
HYDRAULIC ENGINEERING
,
Wasserbau
Waterproof structure of movable heat preservation formwork
European Patent Office | 2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