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Flat Concrete Ceiling
본 발명은 지점-지지 요소 또는 평탄한 콘크리트 천장(BD)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지지 수직 축(A)상에서 테이퍼되는 격자 비임(1)이 통합되는 횡단력 및 천공 강화부(B)를 포함하고, 격자 비임은 하부 코드(U) 및 연속적인 상부 코드(O) 또는 서로의 사이에 개방 간격(Z)을 가지고 배치되는 고정 요소(10) 및, 각각의 2 개의 연속적인 대각선 스트럿(S1,S2) 사이에 상부 및 하부 굽힘 부분(11,12)들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사행형 대각선 스트럿 섹션(D)을 포함하고, 상기 굽힘 부분들은 고정 지점(SO,SU)에 고정된다. 대각선 스트럿(S1,S2)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상방향으로 그리고 지지부(T)의 방향으로 각도가 형성된다. 지지부에 가장 인접한 대각선 스트럿(S1)은 하부 코드(U)에 대하여 90 도 보다 작은 급경사 각도(α)로 경사지고, 지지부로부터의 다른 선행의 대각선 스트럿(S2)은 적어도 10°더 완만한, 45°≤α2 < 90°인 각도로 경사짐으로써, 지지부에 가장 가까운 대각선 스트럿(S1)에 의해 형성된 콘크리트 고정 영역(VO,VU)중에서 상부 콘크리트 고정 영역(VO)은 하부 콘크리트 고정 영역(VU) 보다 지지 수직축(A)에 더 인접하게 놓인다.
Flat Concrete Ceiling
본 발명은 지점-지지 요소 또는 평탄한 콘크리트 천장(BD)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지지 수직 축(A)상에서 테이퍼되는 격자 비임(1)이 통합되는 횡단력 및 천공 강화부(B)를 포함하고, 격자 비임은 하부 코드(U) 및 연속적인 상부 코드(O) 또는 서로의 사이에 개방 간격(Z)을 가지고 배치되는 고정 요소(10) 및, 각각의 2 개의 연속적인 대각선 스트럿(S1,S2) 사이에 상부 및 하부 굽힘 부분(11,12)들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사행형 대각선 스트럿 섹션(D)을 포함하고, 상기 굽힘 부분들은 고정 지점(SO,SU)에 고정된다. 대각선 스트럿(S1,S2)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상방향으로 그리고 지지부(T)의 방향으로 각도가 형성된다. 지지부에 가장 인접한 대각선 스트럿(S1)은 하부 코드(U)에 대하여 90 도 보다 작은 급경사 각도(α)로 경사지고, 지지부로부터의 다른 선행의 대각선 스트럿(S2)은 적어도 10°더 완만한, 45°≤α2 < 90°인 각도로 경사짐으로써, 지지부에 가장 가까운 대각선 스트럿(S1)에 의해 형성된 콘크리트 고정 영역(VO,VU)중에서 상부 콘크리트 고정 영역(VO)은 하부 콘크리트 고정 영역(VU) 보다 지지 수직축(A)에 더 인접하게 놓인다.
Flat Concrete Ceiling
평탄 콘크리트 천장
2017-01-09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4C
STRUCTURAL ELEMENTS
,
Bauelemente
European Patent Office | 2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