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A balcony structure having emergency exit of a apartment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cony structure for fire prevention having an emergency exit of an apartment building in case of fire, wherein a safety zone from smoke is formed on a balcony. A resident can be safely and quickly evacuated to be protected using a handrail installed on the balcon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lcony structure for fire prevention having an emergency exit of an apartment building in case of fire comprises: a balcony body (10); a handrail (20); an air blowing fan (30); an air blowing duct (40); an evacuation guide rod (50); a hanging rod (60); and a hanging rod support (70).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에 관한 것으로, 발코니에 연기로부터 안전한 안전지대를 조성하고 발코니에 설치되는 난간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여 거주자를 보호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 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는, 공동주택의 거실과 연장되어 시공되는 발코니 본체(10)와; 상기 발코니 본체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다수의 수직봉(21), 상기 수직봉들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발코니 본체의 벽체에 앵커링으로 고정되는 핸드레일(22)로 이루어지는 난간(20)과; 상기 난간의 다수의 수직봉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직봉인 팬 덕트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여 송풍하는 송풍팬(30)과; 상기 송풍팬이 설치된 수직봉인 팬 덕트의 내부에 상부로 인출되도록 조립되며 화재 발생시 인출되어 상기 송풍팬에서 송풍되는 에어를 토출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발코니 본체의 끝쪽에 대피 공간을 조성하는 송풍 덕트(40)와; 상기 난간의 핸드레일 안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상기 발코니 벽체의 내벽면을 향해 세워지고 상기 발코니 벽체에 매설된 앵커봉을 통해 고정되는 대피 안내봉(50)과; 일측이 상기 대피 안내봉에 연결되어 평상시 상기 난간의 수직봉들 사이에서 난간을 구성하면서 화재 발생시 상기 대피 안내봉과 함께 상기 난간에서 인출되어 난간의 수직봉들 사이에 대피통로를 형성하고 완강기의 조속기가 설치되는 걸이봉(60)과; 상기 걸이봉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나사선에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부(71)와 이 암나사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걸이봉의 힌지와 상기 대피 안내봉의 힌지 보스를 감싸는 고정 캡(72)으로 구성되어 상기 걸이봉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이봉 지지대(70)로 구성된다.
A balcony structure having emergency exit of a apartment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cony structure for fire prevention having an emergency exit of an apartment building in case of fire, wherein a safety zone from smoke is formed on a balcony. A resident can be safely and quickly evacuated to be protected using a handrail installed on the balcon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lcony structure for fire prevention having an emergency exit of an apartment building in case of fire comprises: a balcony body (10); a handrail (20); an air blowing fan (30); an air blowing duct (40); an evacuation guide rod (50); a hanging rod (60); and a hanging rod support (70).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에 관한 것으로, 발코니에 연기로부터 안전한 안전지대를 조성하고 발코니에 설치되는 난간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여 거주자를 보호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재 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는, 공동주택의 거실과 연장되어 시공되는 발코니 본체(10)와; 상기 발코니 본체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다수의 수직봉(21), 상기 수직봉들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의 양측이 각각 발코니 본체의 벽체에 앵커링으로 고정되는 핸드레일(22)로 이루어지는 난간(20)과; 상기 난간의 다수의 수직봉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직봉인 팬 덕트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여 송풍하는 송풍팬(30)과; 상기 송풍팬이 설치된 수직봉인 팬 덕트의 내부에 상부로 인출되도록 조립되며 화재 발생시 인출되어 상기 송풍팬에서 송풍되는 에어를 토출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발코니 본체의 끝쪽에 대피 공간을 조성하는 송풍 덕트(40)와; 상기 난간의 핸드레일 안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상기 발코니 벽체의 내벽면을 향해 세워지고 상기 발코니 벽체에 매설된 앵커봉을 통해 고정되는 대피 안내봉(50)과; 일측이 상기 대피 안내봉에 연결되어 평상시 상기 난간의 수직봉들 사이에서 난간을 구성하면서 화재 발생시 상기 대피 안내봉과 함께 상기 난간에서 인출되어 난간의 수직봉들 사이에 대피통로를 형성하고 완강기의 조속기가 설치되는 걸이봉(60)과; 상기 걸이봉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나사선에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부(71)와 이 암나사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걸이봉의 힌지와 상기 대피 안내봉의 힌지 보스를 감싸는 고정 캡(72)으로 구성되어 상기 걸이봉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이봉 지지대(70)로 구성된다.
A balcony structure having emergency exit of a apartment building
화재 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PARK JONG MIN (author)
2017-03-13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4B
Allgemeine Baukonstruktionen
,
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
A62B
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Vorrichtungen, Geräte oder Verfahren zur Lebensrettung
/
A62C
FIRE-FIGHTING
,
Feuerbekämpfung
/
E04F
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Ausbau von Bauwerken, z.B. Treppen, Fußböden
/
E05F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
Vorrichtungen zum Bewegen der Flügel in die Offen- oder Schließstell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