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installed on a door of a house, an office, a warehouse, or the like. more specifically, a switching operator flowing from the inside of one side of a ratchet bolt is inserted, the ratchet bolt is rotated by a rotation guider, a constraint bar slid through the rotation guider is provided, rotation of the switching operator and the ratchet bolt is restricted by the constraint bar,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based on the ratchet bolt is switched in accordance with a coupling position of the switching operator and the constraint bar.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a door is changed or the direction of a factory-shipped digital door lock does not match an already installed door, in conventional, a digital door lock is dissembled, a direction for a ratchet bolt is changed, and then the digital door lock is assembled agai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a locking direction of the ratchet bolt due to the switching operator and an interlocked and operated constraint bar by easily moving only the inner switching operation,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ratchet bolt. Accordingly, convenience of use is excellent, built-in components and parts are relatively simple, costs are reduced, and productivity is improved.
본 발명은 주택이나 사무실 또는 창고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래칫볼트의 일측 내부로부터 유동되는 전환작동구를 삽입하고, 상기 래칫볼트는 회전가이더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가이더를 관통하여 슬라이딩되는 구속바를 구비하여 상기 구속바에 의해 전환작동구 및 래칫볼트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전환작동구와 구속바 간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래칫볼트에 의한 도어 개폐방향이 전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개폐방향을 바꾸거나 혹은 공장 출고 상태의 디지털 도어락과 이미 설치된 도어의 개폐방향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 기존과 같이 디지털 도어락을 분해하여 래칫볼트에 대한 방향 전환 후 재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래칫볼트의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내부의 전환작동구 만을 간단하게 이동시켜 상기 전환작동구 및 연계 작동하는 구속바로 인해 상기 래칫볼트의 잠금 방향이 간단하게 변경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고, 내장되는 구성품 및 부속이 비교적 단순하여 원가 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이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installed on a door of a house, an office, a warehouse, or the like. more specifically, a switching operator flowing from the inside of one side of a ratchet bolt is inserted, the ratchet bolt is rotated by a rotation guider, a constraint bar slid through the rotation guider is provided, rotation of the switching operator and the ratchet bolt is restricted by the constraint bar,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based on the ratchet bolt is switched in accordance with a coupling position of the switching operator and the constraint bar.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a door is changed or the direction of a factory-shipped digital door lock does not match an already installed door, in conventional, a digital door lock is dissembled, a direction for a ratchet bolt is changed, and then the digital door lock is assembled agai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a locking direction of the ratchet bolt due to the switching operator and an interlocked and operated constraint bar by easily moving only the inner switching operation,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ratchet bolt. Accordingly, convenience of use is excellent, built-in components and parts are relatively simple, costs are reduced, and productivity is improved.
본 발명은 주택이나 사무실 또는 창고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래칫볼트의 일측 내부로부터 유동되는 전환작동구를 삽입하고, 상기 래칫볼트는 회전가이더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가이더를 관통하여 슬라이딩되는 구속바를 구비하여 상기 구속바에 의해 전환작동구 및 래칫볼트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전환작동구와 구속바 간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래칫볼트에 의한 도어 개폐방향이 전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개폐방향을 바꾸거나 혹은 공장 출고 상태의 디지털 도어락과 이미 설치된 도어의 개폐방향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 기존과 같이 디지털 도어락을 분해하여 래칫볼트에 대한 방향 전환 후 재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래칫볼트의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내부의 전환작동구 만을 간단하게 이동시켜 상기 전환작동구 및 연계 작동하는 구속바로 인해 상기 래칫볼트의 잠금 방향이 간단하게 변경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고, 내장되는 구성품 및 부속이 비교적 단순하여 원가 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이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igital door rock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JEON BYONG HWA (author)
2017-08-04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5B
LOCKS
,
Schlös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