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Pile connecting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e connection device connecting an upper pile (1) and a lower pile (2) comprises: an upper unit (100) comprising multiple upper protrusion units (110) and an upper connection unit (120) and having a first insertion groove (130) between a side wall of the two upper protrusion units (110)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connection unit (120) between the side walls, wherein the upper unit (100) also has a second insertion groove (140) formed between the side wall of the two upper connection units (120) and the bottom of the upper protrusion unit (110) between the side walls; a lower unit (200) comprising a lower protrusion unit (210)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40) on the side and a lower connection unit (220) in which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30) on a plane, wherein the lower unit (200) has a disk shape with a hollow unit (10) at the center while the upper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lower unit (200); an upper bolt (300) fixing the upper unit (100) and the upper pile (1); a lower bolt (400) fixing the lower unit (200) and the lower pile (2); and a side bolt (500) connecting the upper unit (100) and the lower unit (200) in a later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e connection device can minimize deformation at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piles and can stably support a load.
본 발명은 파일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일 연결 장치는 상부파일(1)과 하부파일(2)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에 있어서, 중심을 기준으로 다수 개가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상부돌출유닛(110)과, 상기 상부돌출유닛(110)들의 사이에 위치하되, 저면은 상기 상부돌출유닛(110)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상부돌출유닛(110)보다 두꺼운 두께를 이루며, 외주면(122)에는 중심을 향해 상부측벽볼트홀(123)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연결유닛(120)으로 구성되며, 평면상에서 서로 인접한 두 상부돌출유닛(110)의 측벽면과 그 사이의 상부연결유닛(120) 외주면 사이로 제1끼움홈(130)이 형성되고, 측면상에서 서로 인접한 두 상부연결유닛(120)의 측벽면과 그 사이의 상부돌출유닛(110)의 저면 사이로 제2끼움홈(140)이 형성된 상부유닛(100)과; 측면상에서 상기 제2끼움홈(140)에 삽입되는 하부돌출유닛(210)과, 평면상에서 상기 제1끼움홈(130)에 하부가 삽입되는 하부연결유닛(220)으로 구성되어 상부유닛(100)가 결합한 상태에서 중앙에 중공부(10)가 형성된 원판 형상을 이루는 하부유닛(200)과; 상기 상부유닛(100)과 상부파일(1)을 고정하는 상부볼트(300), 상기 하부유닛(200)과 하부파일(2)을 고정하는 하부볼트(400), 상기 상부유닛(100)과 하부유닛(200)을 측방향에서 결합하는 측방볼트(5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상부유닛이 평면상에 방사상으로 홈이 형성되고, 측면상에서도 방사상으로 홈이 형성되는 구조되는 한편, 하부유닛이 상기 평면상의 홈 및 측면상의 홈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의 견고한 맞물림에 의해 측면 볼트 체결 방식을 취하면서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이 일체화된 연결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고, 특히,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판상의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연결구가 차지하는 높이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비틀림을 강제하는 하중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연결구의 변형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파일간의 연결 지점에서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하중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Pile connecting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e connection device connecting an upper pile (1) and a lower pile (2) comprises: an upper unit (100) comprising multiple upper protrusion units (110) and an upper connection unit (120) and having a first insertion groove (130) between a side wall of the two upper protrusion units (110)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connection unit (120) between the side walls, wherein the upper unit (100) also has a second insertion groove (140) formed between the side wall of the two upper connection units (120) and the bottom of the upper protrusion unit (110) between the side walls; a lower unit (200) comprising a lower protrusion unit (210)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40) on the side and a lower connection unit (220) in which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30) on a plane, wherein the lower unit (200) has a disk shape with a hollow unit (10) at the center while the upper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lower unit (200); an upper bolt (300) fixing the upper unit (100) and the upper pile (1); a lower bolt (400) fixing the lower unit (200) and the lower pile (2); and a side bolt (500) connecting the upper unit (100) and the lower unit (200) in a later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e connection device can minimize deformation at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piles and can stably support a load.
본 발명은 파일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일 연결 장치는 상부파일(1)과 하부파일(2)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에 있어서, 중심을 기준으로 다수 개가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상부돌출유닛(110)과, 상기 상부돌출유닛(110)들의 사이에 위치하되, 저면은 상기 상부돌출유닛(110)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상부돌출유닛(110)보다 두꺼운 두께를 이루며, 외주면(122)에는 중심을 향해 상부측벽볼트홀(123)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연결유닛(120)으로 구성되며, 평면상에서 서로 인접한 두 상부돌출유닛(110)의 측벽면과 그 사이의 상부연결유닛(120) 외주면 사이로 제1끼움홈(130)이 형성되고, 측면상에서 서로 인접한 두 상부연결유닛(120)의 측벽면과 그 사이의 상부돌출유닛(110)의 저면 사이로 제2끼움홈(140)이 형성된 상부유닛(100)과; 측면상에서 상기 제2끼움홈(140)에 삽입되는 하부돌출유닛(210)과, 평면상에서 상기 제1끼움홈(130)에 하부가 삽입되는 하부연결유닛(220)으로 구성되어 상부유닛(100)가 결합한 상태에서 중앙에 중공부(10)가 형성된 원판 형상을 이루는 하부유닛(200)과; 상기 상부유닛(100)과 상부파일(1)을 고정하는 상부볼트(300), 상기 하부유닛(200)과 하부파일(2)을 고정하는 하부볼트(400), 상기 상부유닛(100)과 하부유닛(200)을 측방향에서 결합하는 측방볼트(5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상부유닛이 평면상에 방사상으로 홈이 형성되고, 측면상에서도 방사상으로 홈이 형성되는 구조되는 한편, 하부유닛이 상기 평면상의 홈 및 측면상의 홈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의 견고한 맞물림에 의해 측면 볼트 체결 방식을 취하면서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이 일체화된 연결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고, 특히,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판상의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연결구가 차지하는 높이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비틀림을 강제하는 하중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연결구의 변형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파일간의 연결 지점에서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하중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Pile connecting apparatus
파일 연결 장치
CHOI YOUNG DEOK (author) / PARK IN SU (author)
2017-08-24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2D
FOUNDATIONS
,
Gründun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