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DOOR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WINGBODY TRU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to open/close a door of a gullwing doored truck, comprising: a front frame (14) to block a front side; a rear frame (16) to block a rear side; a floor part (18) install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frames (14, 16), forming a floor surface, and supporting a bottom of a plurality of loaded matters; first and second gullwing doors (24, 26) installed in a top center of a cargo box to be able to rotate to selectively open/close a ceiling part and a side of the cargo box; and an opening/closing cylinder (20)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gullwing doors (24, 26) to open both sides of the cargo box. Accordingly, provided are advantages capable of preventing the gullwing door from being damaged when cargo is loaded and capable of loading the cargo in a somewhat narrow space.
본 발명은 윙바디 트럭의 적재함 전방에 설치되며, 벽체로 이루어져 전방을 차단하는 전면프레임(14)과; 윙바디 트럭의 적재함 후방에 설치되며, 벽체로 이루어져 후방을 차단하는 후면프레임(16)과;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 사이에 설치되며, 바닥면을 형성하고, 다수의 적재물 하단을 지지하는 바닥부(18)와;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의 상측에 설치되며, 적재함의 중앙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함의 천정부와 측면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제1,2윙바디 도어(24,26)와;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의 상단에 설치되며,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제1,2윙바디 도어(24,26)를 회동시켜 상기 적재함의 양측면을 개방하는 개폐실린더(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2윙바디 도어(24,26)는, 단면이 "┎"자 형상을 가지며,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제2습동도어삽입홈(32)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실린더(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습동도어(30)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내부에 제3습동도어삽입홈(4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습동도어삽입홈(32)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습동도어(40)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3습동도어삽입홈(42)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3습동도어(48)와; 상기 제1습동도어(30)의 양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습동바(52)의 선단이 상기 제3습동도어(48)의 양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3습동도어(40,48)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습동도어(30)의 내부에 삽입 및 배출하는 습동실린더(50);를 포함하는 윙바디 트럭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윙바디 도어가 다수개의 습동도어로 이루어지며, 절접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2윙바디 도어의 개방시 작동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화물의 적재시 도어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따라서, 제1습동도어의 내부에 제2,3습동도어가 삽입되어, 적재함의 측면으로 상기 제1,2윙바디 도어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화물의 적재시 윙바디 도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다소 좁은 공간에서도 화물의 적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DOOR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WINGBODY TRU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to open/close a door of a gullwing doored truck, comprising: a front frame (14) to block a front side; a rear frame (16) to block a rear side; a floor part (18) install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frames (14, 16), forming a floor surface, and supporting a bottom of a plurality of loaded matters; first and second gullwing doors (24, 26) installed in a top center of a cargo box to be able to rotate to selectively open/close a ceiling part and a side of the cargo box; and an opening/closing cylinder (20)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gullwing doors (24, 26) to open both sides of the cargo box. Accordingly, provided are advantages capable of preventing the gullwing door from being damaged when cargo is loaded and capable of loading the cargo in a somewhat narrow space.
본 발명은 윙바디 트럭의 적재함 전방에 설치되며, 벽체로 이루어져 전방을 차단하는 전면프레임(14)과; 윙바디 트럭의 적재함 후방에 설치되며, 벽체로 이루어져 후방을 차단하는 후면프레임(16)과;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 사이에 설치되며, 바닥면을 형성하고, 다수의 적재물 하단을 지지하는 바닥부(18)와;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의 상측에 설치되며, 적재함의 중앙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함의 천정부와 측면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제1,2윙바디 도어(24,26)와; 상기 전면프레임(14)과 상기 후면프레임(16)의 상단에 설치되며,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제1,2윙바디 도어(24,26)를 회동시켜 상기 적재함의 양측면을 개방하는 개폐실린더(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2윙바디 도어(24,26)는, 단면이 "┎"자 형상을 가지며,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제2습동도어삽입홈(32)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실린더(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습동도어(30)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내부에 제3습동도어삽입홈(4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습동도어삽입홈(32)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습동도어(40)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3습동도어삽입홈(42)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3습동도어(48)와; 상기 제1습동도어(30)의 양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습동바(52)의 선단이 상기 제3습동도어(48)의 양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3습동도어(40,48)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습동도어(30)의 내부에 삽입 및 배출하는 습동실린더(50);를 포함하는 윙바디 트럭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윙바디 도어가 다수개의 습동도어로 이루어지며, 절접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2윙바디 도어의 개방시 작동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화물의 적재시 도어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따라서, 제1습동도어의 내부에 제2,3습동도어가 삽입되어, 적재함의 측면으로 상기 제1,2윙바디 도어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화물의 적재시 윙바디 도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다소 좁은 공간에서도 화물의 적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DOOR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WINGBODY TRUCK
윙바디 트럭의 도어 개폐장치
LEE MYEONG (author)
2017-11-10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