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COMPOSITE INTERGRATED OPTIMIZED CROSS-SECTION
본 발명은 철골보 부재 간에 합성된 구조를 이룰 수 있게 상호 보강연결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철골보의 구간별로 구분된 단면을 선정하여 휨모멘트에 따라 각 부재의 단면을 효과적으로 최적화하는 동시에 시공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함을 제공하도록,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되 좌우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강재기둥에 서로 대응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복합보에 있어서, 상기 강재기둥 상에 접합설치되는 강재보와; 상기 강재보의 한쪽 접합단부에 일단이 연결브라켓을 통해 결합하여 고정설치되고, 수직웨브 및 상하로 수평플랜지를 구비토록 형성되는 제1철골보와; 상기 제1철골보의 한쪽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좌우로 연장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되어 하부플레이트 및 좌우로 측벽웨브를 구비토록 형성되는 제2철골보와; 상기 제1철골보와 상기 제2철골보를 연결 보강하되 상기 제2철골보의 측벽웨브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의 수직웨브를 향해 경사방향으로 연장하여 상호 연결하는 제1보강플랜지와, 상기 제2철골보 측벽웨브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의 상측 수평플랜지를 향해 연장하여 상호 연결하는 제2보강플랜지와, 상기 제2철골보의 하부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의 하측 수평플랜지를 향해 연장하여 상호 연결하는 제3보강플랜지로 구성되는 보강연결부;를 포함하는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를 제공한다.
COMPOSITE INTERGRATED OPTIMIZED CROSS-SECTION
본 발명은 철골보 부재 간에 합성된 구조를 이룰 수 있게 상호 보강연결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철골보의 구간별로 구분된 단면을 선정하여 휨모멘트에 따라 각 부재의 단면을 효과적으로 최적화하는 동시에 시공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함을 제공하도록,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되 좌우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강재기둥에 서로 대응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복합보에 있어서, 상기 강재기둥 상에 접합설치되는 강재보와; 상기 강재보의 한쪽 접합단부에 일단이 연결브라켓을 통해 결합하여 고정설치되고, 수직웨브 및 상하로 수평플랜지를 구비토록 형성되는 제1철골보와; 상기 제1철골보의 한쪽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좌우로 연장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되어 하부플레이트 및 좌우로 측벽웨브를 구비토록 형성되는 제2철골보와; 상기 제1철골보와 상기 제2철골보를 연결 보강하되 상기 제2철골보의 측벽웨브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의 수직웨브를 향해 경사방향으로 연장하여 상호 연결하는 제1보강플랜지와, 상기 제2철골보 측벽웨브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의 상측 수평플랜지를 향해 연장하여 상호 연결하는 제2보강플랜지와, 상기 제2철골보의 하부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철골보의 하측 수평플랜지를 향해 연장하여 상호 연결하는 제3보강플랜지로 구성되는 보강연결부;를 포함하는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를 제공한다.
COMPOSITE INTERGRATED OPTIMIZED CROSS-SECTION
단면이 최적화된 복합보
2018-03-05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NTERGRATED STRUCTURE TRANSITIONAL ZONE USING DAMPING SEC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European Patent Office | 2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