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HYBRID JOINT APPARATUS AND JOINT METHOD FOR TUBULAR STEEL POLE
본 발명은 관형지지물용 하이브리드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측 관재(100)의 하부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볼트삽입공(101)과 내측 관재(200)의 상부 둘레를 따라 상기 외측 관재(100)의 볼트삽입공(101)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볼트관통공(201)과 상기 내측 관재(200)의 내주면에 상기 볼트관통공(201)을 사이에 두고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 또는 하나의 너트가이드 고정링(300)과 상기 내측 관재(200)의 내주면에서 상기 볼트관통공(20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너트(501)와 상기 너트가이드 고정링(30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너트(501)가 지지되는 너트공(411)이 형성된 너트고정판(400)과 상기 내측 관재(200)의 상부 둘레가 상기 외측 관재(100)의 하부 둘레와 겹쳐지고, 상기 볼트관통공(20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너트(501)와 상기 너트고정판(400)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삽입공(101)과 상기 볼트관통공(201)을 통해 상기 고정너트(501)에 체결되어 상기 외측 관재(100), 상기 내측 관재(200) 및 상기 너트고정판(400)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0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관재의 연결이 용이하고 강도 보강 기능의 기능과 중량 절감의 기능과 외관상 미려함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HYBRID JOINT APPARATUS AND JOINT METHOD FOR TUBULAR STEEL POLE
본 발명은 관형지지물용 하이브리드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측 관재(100)의 하부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볼트삽입공(101)과 내측 관재(200)의 상부 둘레를 따라 상기 외측 관재(100)의 볼트삽입공(101)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볼트관통공(201)과 상기 내측 관재(200)의 내주면에 상기 볼트관통공(201)을 사이에 두고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 또는 하나의 너트가이드 고정링(300)과 상기 내측 관재(200)의 내주면에서 상기 볼트관통공(20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너트(501)와 상기 너트가이드 고정링(30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너트(501)가 지지되는 너트공(411)이 형성된 너트고정판(400)과 상기 내측 관재(200)의 상부 둘레가 상기 외측 관재(100)의 하부 둘레와 겹쳐지고, 상기 볼트관통공(20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너트(501)와 상기 너트고정판(400)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삽입공(101)과 상기 볼트관통공(201)을 통해 상기 고정너트(501)에 체결되어 상기 외측 관재(100), 상기 내측 관재(200) 및 상기 너트고정판(400)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0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관재의 연결이 용이하고 강도 보강 기능의 기능과 중량 절감의 기능과 외관상 미려함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HYBRID JOINT APPARATUS AND JOINT METHOD FOR TUBULAR STEEL POLE
관형지지물용 하이브리드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2020-07-30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HYBRID JOINT APPARATUS AND JOINT METHOD FOR TUBULAR STEEL POLE
European Patent Office | 2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