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Variable Type Water Saving Water Closet with Fresh Water Tank for Bow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direct-water 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a fresh water tank for a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direct-water 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a fresh water tank for a bowl comprises: a toilet bowl body part (10) having a bowl (12), a connection pipe (13), and a cover part (15); a fresh water tank (20) for a bowl; a direct-water discharge induction part (30); a corrugated pipe (40); a direct-water branch part (50); a sewage discharge pipe (60); and an elastic par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mage to the fresh water tank for a bowl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보울용 담수탱크를 갖는 가변식 직수 절수양변기는,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직수 유입수로(11)와,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2)과, 연결관(13)과, 커버부(15)가 구비된 양변기 몸체부(10); 지수밸브(1)에 의한 직수 공급시 보울(12)을 세척하도록 하고, 지수밸브(1)에 의한 직수 차단시 보울(12)에 담수되도록 하는 보울용 담수탱크(20); 보울용 담수탱크(20) 내부에 구비되며 직수공급관(2)으로부터 공급되는 직수를 안내하여 직수유입공(11a)을 통해 직수 유입수로(11)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며,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여 보울용 담수탱크(20)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직수 배출유도부(30); 연결관(13)에 연결되는 주름관(40); 직수 유입수로(11)와 연결되어 보울(12)로의 직수 유입시 직수 유입수로(11)으로부터 직수의 일부가 분기되도록 하는 직수분기부(50); 주름관(40)에 연결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주 배출관(61)과, 주 배출관(61)의 외주에 구비되고, 직수분기부(50)로부터 분기된 직수가 공급되며 보조 배출홀(62a)이 구비된 보조 탱크(62)로 이루어지며, 직수분기부(50)로부터 분기된 직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주 배출관(61)을 통해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오수배출관(60); 연결관(13)과 오수배출관(6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직수 차단시 오수배출관(60)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70)를 포함한다.
Variable Type Water Saving Water Closet with Fresh Water Tank for Bow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direct-water 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a fresh water tank for a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direct-water 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a fresh water tank for a bowl comprises: a toilet bowl body part (10) having a bowl (12), a connection pipe (13), and a cover part (15); a fresh water tank (20) for a bowl; a direct-water discharge induction part (30); a corrugated pipe (40); a direct-water branch part (50); a sewage discharge pipe (60); and an elastic par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mage to the fresh water tank for a bowl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보울용 담수탱크를 갖는 가변식 직수 절수양변기는,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직수 유입수로(11)와,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2)과, 연결관(13)과, 커버부(15)가 구비된 양변기 몸체부(10); 지수밸브(1)에 의한 직수 공급시 보울(12)을 세척하도록 하고, 지수밸브(1)에 의한 직수 차단시 보울(12)에 담수되도록 하는 보울용 담수탱크(20); 보울용 담수탱크(20) 내부에 구비되며 직수공급관(2)으로부터 공급되는 직수를 안내하여 직수유입공(11a)을 통해 직수 유입수로(11)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며,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여 보울용 담수탱크(20)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직수 배출유도부(30); 연결관(13)에 연결되는 주름관(40); 직수 유입수로(11)와 연결되어 보울(12)로의 직수 유입시 직수 유입수로(11)으로부터 직수의 일부가 분기되도록 하는 직수분기부(50); 주름관(40)에 연결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주 배출관(61)과, 주 배출관(61)의 외주에 구비되고, 직수분기부(50)로부터 분기된 직수가 공급되며 보조 배출홀(62a)이 구비된 보조 탱크(62)로 이루어지며, 직수분기부(50)로부터 분기된 직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주 배출관(61)을 통해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오수배출관(60); 연결관(13)과 오수배출관(6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직수 차단시 오수배출관(60)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70)를 포함한다.
Variable Type Water Saving Water Closet with Fresh Water Tank for Bowl
보울용 담수탱크를 갖는 가변식 직수 절수양변기
LEE JONG IN (author) / KIM YEON TAE (author)
2020-10-07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3D
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
Wasserklosetts oder Urinale mit Spülvorrichtun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