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Pile for Earth self-retaining wall using double I beam
본 발명은 도심지의 대지경계선이 좁은 구간에서 근입장이 짧더라도 깊은 깊이로 터파기가 가능한 더블 아이 빔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에 관한 것으로, ㅍ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더블 아이 빔과, 주동토압에 의한 저항력이 발생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더블 아이 빔에 결합하는 수평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 대지경계선이 부족할 경우에도 깊은 깊이로 터파기를 실시할 수 있고, 주동토압에 의한 저항력을 형성할 수 있는 수평보강부재가 현장타설콘크리트 파일에 결합되어 있어 현장타설콘크리트 파일의 근입장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더 깊은 깊이로 현장타설콘크리트 파일을 근입시키 않더라도 깊은 깊이의 터파기 실시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현장타설콘크리트와 결합한 수평보강부재를 연결하는 작은 크기의 경사보강부재 및 수직 저항 보강말뚝을 형성하여 주동토압에 대응하는 추가 지지력이 형성됨으로써 수동토압 형성을 위한 근입장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충분히 흙막이 시공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약지반일 경우에도 깊은 깊이로 터파기를 실시할 수 있는 더블 아이 빔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을 제공한다.
Pile for Earth self-retaining wall using double I beam
본 발명은 도심지의 대지경계선이 좁은 구간에서 근입장이 짧더라도 깊은 깊이로 터파기가 가능한 더블 아이 빔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에 관한 것으로, ㅍ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더블 아이 빔과, 주동토압에 의한 저항력이 발생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더블 아이 빔에 결합하는 수평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 대지경계선이 부족할 경우에도 깊은 깊이로 터파기를 실시할 수 있고, 주동토압에 의한 저항력을 형성할 수 있는 수평보강부재가 현장타설콘크리트 파일에 결합되어 있어 현장타설콘크리트 파일의 근입장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더 깊은 깊이로 현장타설콘크리트 파일을 근입시키 않더라도 깊은 깊이의 터파기 실시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현장타설콘크리트와 결합한 수평보강부재를 연결하는 작은 크기의 경사보강부재 및 수직 저항 보강말뚝을 형성하여 주동토압에 대응하는 추가 지지력이 형성됨으로써 수동토압 형성을 위한 근입장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충분히 흙막이 시공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약지반일 경우에도 깊은 깊이로 터파기를 실시할 수 있는 더블 아이 빔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을 제공한다.
Pile for Earth self-retaining wall using double I beam
더블 아이 빔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2020-12-24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2D
FOUNDATIONS
,
Gründungen
Pile for earth self-retaining wall using cast in place concrete pile with double I beam
European Patent Office | 2020
Pile for earth self-retaining wall using cast in place concrete pile with double I beam
European Patent Office | 2020
|DOUBLE PILE SELF-RELIANC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European Patent Office | 2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