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Hybrid partition with function for removing fine dust etc.
Provided is a partition for removing fine dust that can remove fine dust with low energy without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while partitioning an indoor space. The hybrid partition partitioning a space and having a fine dust removing unit comprises: a partition frame for supporting the partition on a floor; external finishing plates coupled to the frame while facing each other at an interval; dust attachment plates installed inside the external finishing plates to form an air flow space; an air introduction part formed in a lower side of the partition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space; fine dust combination parts formed on the dust attachment plates; a dust collection part formed in the air flow space to collect the combined fine dust; a dust removing part for removing the collected fine dust; and an air discharge part formed in an upper side of the partition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space formed in the lower side so that air from which the fine dust is removed can be discharged. The air discharge part is position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air introduction part so that the air containing the fine dust introduced in the air introduction par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art by the chimney effect.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공간을 구획하면서도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없이 저에너지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제거하는 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으로, 간을 구획하고 미세 먼지 제거 수단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를 바닥에 지지하는 칸막이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는 외부 마감판, 상기 외부 마감판의 내측에 설치되어 공기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먼지부착판, 상기 칸막이의 하측에 형성되어 공기 유동공간과 연통하는 공기도입부, 상기 먼지부착판에 형성되는 미세먼지 결합부와, 공기 유동공간(에 형성되되 결합된 미세먼지가 수집되는 먼지 수집부, 수집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먼지 제거부 및, 상기 칸막이의 상측에 칸막이의 하측에 공기 유동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배출부는 공기도입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여 공기도입부에서 유입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굴뚝효과에 의해 공기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미세 먼지 제거 수단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칸막이로 이루어진다
Hybrid partition with function for removing fine dust etc.
Provided is a partition for removing fine dust that can remove fine dust with low energy without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while partitioning an indoor space. The hybrid partition partitioning a space and having a fine dust removing unit comprises: a partition frame for supporting the partition on a floor; external finishing plates coupled to the frame while facing each other at an interval; dust attachment plates installed inside the external finishing plates to form an air flow space; an air introduction part formed in a lower side of the partition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space; fine dust combination parts formed on the dust attachment plates; a dust collection part formed in the air flow space to collect the combined fine dust; a dust removing part for removing the collected fine dust; and an air discharge part formed in an upper side of the partition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space formed in the lower side so that air from which the fine dust is removed can be discharged. The air discharge part is position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air introduction part so that the air containing the fine dust introduced in the air introduction par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art by the chimney effect.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공간을 구획하면서도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없이 저에너지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제거하는 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으로, 간을 구획하고 미세 먼지 제거 수단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칸막이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를 바닥에 지지하는 칸막이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는 외부 마감판, 상기 외부 마감판의 내측에 설치되어 공기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먼지부착판, 상기 칸막이의 하측에 형성되어 공기 유동공간과 연통하는 공기도입부, 상기 먼지부착판에 형성되는 미세먼지 결합부와, 공기 유동공간(에 형성되되 결합된 미세먼지가 수집되는 먼지 수집부, 수집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먼지 제거부 및, 상기 칸막이의 상측에 칸막이의 하측에 공기 유동공간(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배출부는 공기도입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여 공기도입부에서 유입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굴뚝효과에 의해 공기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미세 먼지 제거 수단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칸막이로 이루어진다
Hybrid partition with function for removing fine dust etc.
미세 먼지 제거 수단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칸막이
CHANG HYUN SOO (author)
2021-01-27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HYBRID PARTITION EQUIPPED WITH MEANS FOR REMOVING FINE DUST
European Patent Office | 2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