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tform for research: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placing leveler, which is coupled to a steel bar arranged on the floor during a concrete placing process so as to form the placing height of the concrete corresponding to a designed valu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first coupling units in which a pair of hooks of a crescent shape are formed, and a concave groove which is upwardly recessed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oks; a pair of second coupling units which are form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coupling units, and in which a pair of hooks of a crescent shape are formed, and a concave groove which is upwardly recessed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oks; an indicator coupling unit whic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units and the second coupling units; an upper plate mutually connecting the first coupling units to the second coupling units; a marker unit which is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and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and an opening groove which is formed after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coupling units and the second coupling units are completely opened to the upper sid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바닥에 배근되는 철근과 결합되어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설계치에 맞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갈고리 형상의 한 쌍의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의 상부에 상측으로 오목한 요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되고, 갈고리 형상의 한 쌍의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의 상부에 상측으로 오목한 요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표시기 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측이면서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마커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상부가 상측으로 완전히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방홈;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placing leveler, which is coupled to a steel bar arranged on the floor during a concrete placing process so as to form the placing height of the concrete corresponding to a designed valu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first coupling units in which a pair of hooks of a crescent shape are formed, and a concave groove which is upwardly recessed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oks; a pair of second coupling units which are form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coupling units, and in which a pair of hooks of a crescent shape are formed, and a concave groove which is upwardly recessed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oks; an indicator coupling unit whic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units and the second coupling units; an upper plate mutually connecting the first coupling units to the second coupling units; a marker unit which is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and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and an opening groove which is formed after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coupling units and the second coupling units are completely opened to the upper sid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바닥에 배근되는 철근과 결합되어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설계치에 맞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갈고리 형상의 한 쌍의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의 상부에 상측으로 오목한 요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되고, 갈고리 형상의 한 쌍의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의 상부에 상측으로 오목한 요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표시기 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측이면서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마커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상부가 상측으로 완전히 개방되어 형성되는 개방홈;을 포함한다.
Concrete-stacked height reference machine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SONG DO GEUN (author)
2021-05-17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E04G
SCAFFOLDING
,
Baugerüste